KR200391798Y1 -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798Y1
KR200391798Y1 KR20-2005-0009462U KR20050009462U KR200391798Y1 KR 200391798 Y1 KR200391798 Y1 KR 200391798Y1 KR 20050009462 U KR20050009462 U KR 20050009462U KR 200391798 Y1 KR200391798 Y1 KR 200391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ib
container
ink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20-2005-0009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직이나 마커펜 등 잉크로 사용되는 필기구에 있어서, 일면 혹은 양면이 코팅된 백판(White Board)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필기구에 잉크가 충진된 잉크통만을 교체함으로서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부품을 단순화 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잉크통을 밀폐시켜 사용 및 유통중 잉크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리필시 잉크통의 교환이 간단히 이루어지게 하여, 제조비용 절감과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첨단부(31)가 형성된 펜촉(30)이 결합되고 잉크통(50)을 게재 시킬 수 있는 홀더(21)를 갖는 본체(20)에, 용기(51)의 개구부(52)를 통해 잉크를 흡수부재(S)에 충만 시켜 관통부(55)를 형성한 패킹캡(53)의 결합홈(54)으로 개구부(52)를 밀폐시켜 홀더(21)에 게재시키고 리필캡(25)을 나사(27)결합하면 펜촉(30)의 첨단부(31)가 관통부(55)를 뚫고 패킹캡(53)이 지지턱(22)에 지지되어 잉크통(50)이 밀폐되면서 펜촉(30)과 잉크통(50)이 결속되어 펜촉(30)으로 잉크가 공급되게 한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Description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refill can for pen}
본 고안은 매직이나 마커펜 등 잉크로 사용되는 필기구에 있어서, 화이트보드(White Board)나 종이 등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필기구에 잉크가 충진된 잉크통만을 교체함으로서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용 필기구로 백묵이 이용되었으나 이 백묵은 알려진 바와 같이 많은 분진이 발생되어 강의자와 피 강의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근자에는 백묵색과 동일한 마커펜(Marker Pen)을 이용하거나 칠판을 일면 혹은 양면이 코팅된 백판으로 대체하여 유색의 마커펜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매직 또는 마커펜에 충진 되어진 잉크는 휘발성이 강한 유성 또는 수성의 잉크로서 사용성과 보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잉크가 충진된 튜브를 필기구 하우징 내에 개재 시킨 후 잉크가 펜촉 이외에서 증발되거나 누설되지 않게 밀폐시켜 사용된다.
상기 필기구의 전단으로 결합된 필기용 펜촉이 튜브와 접촉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펜촉에 지속적인 잉크를 공급함으로서 필기가 가능하였으나 튜브 내의 잉크가 고갈되면 필기구 자체를 폐기함으로서 자원이 낭비되는 단점을 보관하기 위하여 잉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이 가능한 칠판용 필기구(등록번호 20-0165413)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재활용이 가능한 매직과 칠판용 필기구는 잉크가 고갈되어 재충진을 위해서는 튜브 내로 충진된 함수부재에 발생하는 삼투압 및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별도의 도구로 잉크를 주입하는데 충진시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하는데,
충진시 휘발성이 강한 잉크에 중독될 우려가 있고, 잉크가 넘치면 튜브 및 케이스 그리고 작업자의 손 등이 오염되어 사용 시 불쾌감이 유발되며, 충진 작업의 반복으로 후면 캡의 밀폐가 완전하지 못하여 원치 않는 잉크의 증발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최근에 실용 제0211784호로 등록된 재사용이 가능한 칠판용 필기구가 잉크의 고갈시 잉크가 충진된 채로 공급되는 튜브만을 간단히 교체하고, 후면 캡과 일체로 성형된 이중 결합관 내로 튜브가 감싸지게 장전하여 케이스에 결합하여 완전한 기밀을 유지토록 한 재사용이 가능한 필기구가 제시 되었다.
이는 양단이 개구된 상태의 잉크튜브를 기밀용기에 게재시켜 수개의 패킹으로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있어 잉크튜브의 교환이 매우 복잡하며 부품이 많아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튜브내의 잉크가 개구된 상태로 별도의 포장에 의하여 시중에 유통되게 되므로 외부에서 밀폐를 시킨다 해도 사용 및 유통중 증발과 유출 가능성이 항시 내재 되어 있고 유통 중에 증발됨으로 인하여 유통기간을 한정하여야 하며 유통기간이 경과하면 폐기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품을 단순화 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잉크통을 밀폐시켜 사용 및 유통중 증발과 누출을 방지하여 유통기간을 갖지 않으며, 리필시 잉크통의 교환이 간단히 이루어지게 하여, 제조비용 절감과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로서, 펜촉(30)이 결합된 본체(20)에, 용기(51)에 잉크를 충만 시켜 패킹캡(53)을 결합하여 잉크통(50)을 구성하고, 잉크통(50)을 본체(20)의 홀더(21)에 게재시켜 리필캡(25)을 나사(27) 결합하여 리필캡(25)의 게재홈(26)에 삽입된 상태로 있던 잉크통(50)이 노출되어 리필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첨단부(31)가 형성된 펜촉(30)이 결합되고 잉크통(50)을 게재 시킬 수 있게 홀더(21)를 갖는 본체(20)에,
용기(51)의 개구부(52)를 통해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를 게재시켜 관통부(55)를 형성한 패킹캡(53)의 결합홈(54)으로 개구부(52)를 밀폐시킨 잉크통(50)을 홀더(21)에 게재시키고,
리필캡(25)을 나사(27)결합하면 리필캡(25)의 게재홈(26)에 삽입된 상태로 있던 잉크통(50)이 전진하면서 펜촉(30)의 첨단부(31)가 관통부(55)를 뚫고 패킹캡(53)이 지지턱(22)에 지지되어 잉크통(50)이 밀폐되면서 펜촉(30)과 잉크통(50)의 내부에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가 결속되어 펜촉(30)으로 잉크가 공급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잉크통(50)에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를 게재시켜 개구부(52)를 스티커(70)로 밀폐시킨 상태로 본체(20)의 홀더(21)에 게재시켜 리필캡(25)을 나사(27)결합하면 펜촉(30)의 첨단부(31)가 스티커(70)를 뚫고 펜촉(30)과 잉크통(50)의 흡수부재(S)와 결속되어 펜촉(30)으로 잉크가 공급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체(20)에는 잉크통(50)의 패킹캡(53)의 관통부(55)를 관통할 수 있게 끝이 뾰족한 첨단부(31)가 형성된 경질의 펜촉(30)이 결합되고, 패킹캡(53)이 지지되게 형성한 지지턱(22)과 잉크통(50)을 게재 시킬 수 있는 홀더(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패킹캡(53)은 실리콘과 같이 신축 유연한 연질의 소재가 바람직하며 펜촉(30)의 첨단부(31)가 관통부(55)를 관통하여도 자체 신축성에 의하여 펜촉(30)과 패킹캡(53) 사이에 틈이 없이 밀착 되므로 패킹역할이 이루어져 약간이라도 잉크누설이 발생 시 잉크의 누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에, 시험관 형태로 된 용기(51)의 개구부(52)를 통해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를 게재시켜 첨단부(31)의 뾰족한 부위가 통과되도록 관통부(55)를 형성한 패킹캡(53)의 결합홈(54)으로 개구부(52)를 결합하므로 잉크통(50)의 개구부(52)를 밀폐시켜 카트리지형태의 리필이 가능한 잉크통(50)으로 개구부(52)가 완전히 밀폐되어 유통중 또는 사용 중에 잉크의 누출을 막게 된다.
본체(20)의 홀더(21)에 잉크통(50)의 패킹캡(53)이 첨단부(31)측으로 향하게 잉크통(50)을 게재시키고 리필캡(25)을 나사(27)결합하면 도 4의 가와 나에 보인 바와 같이 펜촉(30)의 첨단부(31)가 얇게 형성된 관통부(55)를 뚫고 패킹캡(53)이 본체(20)의 지지턱(22)에 지지되어 패킹역할이 이루어진다.
패킹캡(53)에 의하여 잉크통(50)이 밀폐되면서 펜촉(30)과 잉크통(50)의 내부에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가 결속되어 필기부(32)를 통해 소모되는 잉크가 모세관의 현상에 의해 펜촉(30)으로 공급되게 구성한 것이다,
즉 카트리지 형태의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가 게재된 잉크통(50)을 본체(20)의 내측에 게재시켜 후단의 리필캡(25)을 나사(27) 결합하므로 결합시 잉크통(50)의 패킹캡(53)을 관통시켜 잉크가 모세관 현상으로 펜촉(30)의 필기부(32)를 통해 공급되어지며, 잉크통(50)이 완전 밀폐되므로 유통과 사용 중에 잉크의 증발과 누출이 방지되어 유통기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필기구(10)에 결합된 잉크를 모두 사용하고 잉크통(50)의 리필(교환)시, 리필캡(25)을 분리하게 되면 리필캡(25)의 게재홈(26)에 삽입된 상태로 있던 잉크통(50)이 본체(20)의 홀더(21) 후단에 용기(51)의 후미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노출된다.
노출된 잉크통(50)의 용기(51)를 본체(20)의 홀더(21)로부터 분리 제거하고 다시 잉크가 충만된 잉크통(50)을 결합한 다음 리필캡(25)을 이용하여 나사(27)결합하면 잉크의 리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를 게재시킨 상태에 개구부(52)를 스티커(70)로 밀폐시킨 상태의 잉크통(50)을 본체(20)의 홀더(21)에 게재시켜 리필캡(25)을 나사(27) 결합하면 펜촉(30)의 첨단부(31)가 스티커(70)를 뚫고 펜촉(30)과 잉크통(50)의 잉크가 흡수된 흡수부재(S)와 결속되어 흡수부재(S)에 젖어 있던 잉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펜촉(30)으로 잉크가 공급되는 것이다.
흡수부재(S)에 젖어있는 잉크는 흡수부재(S)에 젖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단순히 얇은 스티커(70)에 펜촉(30)의 첨단부(31)가 관통되어 있어도 잉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되고 펜촉(30)의 필기부(32)를 통해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스티커의 재질은 알루미늄박이 바람직하며 이외 라미네이팅 된 종이나 얇은 합성수지 시트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잉크통(50)의 잉크는 전단이 밀폐되어짐으로 유통 중에 외부로의 유출이 없어 증발을 막아 항상 유통기간이 없이 새 것처럼 사용 할 수 있고, 잉크가 충진 되어진 잉크통(50)만 간단히 교체함으로서 잉크 충진시 휘발성이 강한 잉크 가스에 노출되어 중독될 우려가 없고, 사용 중 잉크 누출에 따른 본체(20) 및 잉크통(50)의 오염을 방지하여 필기구(10) 자체의 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에 따르면, 필기구와 완전히 밀폐된 잉크통을 별도로 유통시켜 사용 후 리필용 잉크통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1회용으로 사용되던 필기구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간단히 잉크가 충진된 잉크통을 교체함으로서 잉크 충진에 따르는 휘발성 가스에의 중독과 필기구 자체와 리필작업자의 잉크에 의한 오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부품을 단순화 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잉크통을 밀폐시켜 사용 및 유통중 누출을 방지하여 유통기간을 적용시키지 않으면서 리필시 잉크통의 교환이 간단히 이루어지게 하여, 제조비용 절감과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백판용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리필이 가능한 펜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해 보인 단면도.
도 4의 (가)와 (나)는 카드리지의 밀폐부와 결합상태를 보인 작용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 : 필기구
20 : 본체 21 : 홀더 22 : 지지턱
25 : 리필캡 26 : 게재홈 27 : 나사
30 : 펜촉 31 : 첨단부 32 : 필기부
50 : 잉크통 51 : 용기 52 : 개구부
53 : 패킹캡 54 : 결합홈 55 : 관통부
70 : 스티커
S : 흡수부재

Claims (2)

  1. 하우징의 전단으로는 필기용 팁이 부착되고 팁은 전면 캡에 의하여 개폐되어지고, 이중결합관이 후면 캡에 의하여 탈착되어지면서 잉크가 충진된 충진부재를 감싸고 있는 튜브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칠판용 필기구에 있어서,
    첨단부(31)가 형성된 펜촉(30)이 결합되고, 잉크통(50)을 게재 시킬 수 있는 홀더(21)를 갖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결합되는 용기(51)의 개구부(52)를 통해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를 게재시켜 관통부(55)를 형성한 패킹캡(53)의 결합홈(54)으로 개구부(52)를 밀폐시킨 잉크통(50)과;
    상기 본체(20)의 홀더(21)에 잉크통(50)을 게재시키고 리필캡(25)을 나사(27)결합으로 잉크통(50)이 결속되어 펜촉(30)으로 잉크가 공급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잉크통(50)에 잉크가 함침된 흡수부재(S)를 게재시켜 개구부(52)를 스티커(70)로 밀폐시킨 잉크통(50)과;
    상기 잉크통(50)을 본체(20)의 홀더(21)에 게재시켜 리필캡(25)을 나사(27)결합하므로 펜촉(30)이 잉크통(50)의 흡수부재(S)와 결속되어 펜촉(30)으로 잉크가 공급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KR20-2005-0009462U 2005-04-02 2005-04-02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KR200391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462U KR200391798Y1 (ko) 2005-04-02 2005-04-02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462U KR200391798Y1 (ko) 2005-04-02 2005-04-02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594A Division KR20050029195A (ko) 2005-02-28 2005-02-28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798Y1 true KR200391798Y1 (ko) 2005-08-09

Family

ID=4369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462U KR200391798Y1 (ko) 2005-04-02 2005-04-02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7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36A (ko) 2018-11-29 2020-06-08 감두엽 리필형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36A (ko) 2018-11-29 2020-06-08 감두엽 리필형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86755T3 (es) Cuerpo de fricción, instrumento de escritura y conjunto de instrumentos de escritura
JP5900776B2 (ja) 補給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909775B2 (ja) 液体供給装置
KR100916381B1 (ko) 마커펜
JP2013102910A (ja) 液体供給装置
JP2014076579A (ja) 筆記具リフィル及び筆記具
KR200391798Y1 (ko)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US9969205B2 (en) Pressure fluctuation buffering mechanism and applicator
WO1999062726A1 (fr) Article d'ecriture
KR880003025Y1 (ko) 필기구의 잉크건조 방지장치
KR20050029195A (ko)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JP2017505247A (ja) マーカー
JPH09202091A (ja) インク補給具及びマーキングペン
JP2004338374A (ja) 補充機能付密閉キャップ
KR100985587B1 (ko) 액상형 필기구
BRPI0514964A (pt) aparelho de distribuição de material volátil
US20060029459A1 (en) Pressure activated lubricating and cleaning instrument
KR102007785B1 (ko)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JP6042005B1 (ja) 塗布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11784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칠판용 필기구
KR100655426B1 (ko)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필기구
JPH0650886U (ja) 直液式筆記具
JPH09193598A (ja) 白板消し具
KR200368892Y1 (ko)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필기구
JP2004017648A (ja) マーカーペン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