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659Y1 -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 Google Patents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659Y1
KR200391659Y1 KR20-2005-0014639U KR20050014639U KR200391659Y1 KR 200391659 Y1 KR200391659 Y1 KR 200391659Y1 KR 20050014639 U KR20050014639 U KR 20050014639U KR 200391659 Y1 KR200391659 Y1 KR 200391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ewing
finishing member
sewing machin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라
Original Assignee
강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라 filed Critical 강진라
Priority to KR20-2005-0014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Abstract

본 고안은 돗자리(나무자리)의 테두리를 보호하기 위해 돗자리의 가장자리에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된 마감부재를 감싸 재봉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재봉기가 설치된 재봉기테이블과, 이 재봉기테이블에 설치되어 마감부재를 안내함과 동시에 마감부재를 반으로 자동 접어주는 마감부재가이드와, 재봉기의 니들부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상기 마감부재가이드를 통과한 마감부재의 측단부가 접하도록 해주는 기준대와, 돗자리를 일직선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돗자리이송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자의 숙련도나 집중도에 관계없이 마감부재의 재봉상태를 균일·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품질의 돗자리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Apparatus for sewing a frame-matter of mat}
본 고안은 봉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돗자리의 테두리 보호를 위해 신축성을 가지며 직조된 마감부재가 돗자리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봉제될 수 있도록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편을 이어붙여 만들어지는 돗자리의 경우는 돗자리의 테두리 보호와 제품의 품질 제고 및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돗자리의 네 가장자리면에 신축성 밴드인 마감부재를 감싸 봉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 일 예를 보인 것이 도 1의 경우이다. 이 예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돗자리의 테두리에는 일정 폭의 마감부재가 정확히 반으로 접혀 위아래로 봉제되는데 돗자리에 감싸진 마감부재의 폭이 23㎜ 정도이고 실이 재봉되는 위치는 마감부재의 거의 끝단(1∼1.5㎜ 정도 남기고)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듯이 반으로 접혀 감싸진 마감부재를 불량 없이 봉제한다는 것이 고도의 숙련과 더불어 정밀한 봉제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었다.
또한, 나무편을 이용한 돗자리는 그 밑면에 쿠션재와 바닥재인 외장포가 부착되어 있어 일반 화문석돗자리나 천으로 된 돗자리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고중량의 돗자리를 움직여 그 가장자리에 마감부재를 봉제하는 데에는 재봉사 외에도 수 인의 보조자가 요구되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재봉기에 제공되는 마감부재가 자동으로 반으로 접히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어 돗자리 마감부재 봉제장치에 이 마감부재가이드를 적용할 수는 있었지만, 도 2의 예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봉제장치 구조에서는 마감부재가이드를 재봉면 위에 그대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마감부재와 재봉면과의 높이 차(h)가 발생하여 화문석이나 천으로 된 굽힘성이 양호한 자리와는 달리 빳빳한 성상을 갖는 나무돗자리의 경우는 돗자리(나무자리)의 가장자리 재봉부위가 재봉기(10)의 재봉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떠 재봉실이 자주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고도로 숙련된 재봉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마감부재가이드와 재봉기 및 재봉사의 기술에만 의존하여 마감부재의 봉제작업을 수행해 왔기 때문에 마감부재의 정밀·견고한 재봉이 어려웠었다. 즉 아무리 돗자리(D)를 일직선으로 이송하면서 재봉을 한다고 하더라도 마감부재가이드(20)와 재봉기(10)의 니들부(11) 간에는 일정한 거리가 있기 때문에, 돗자리의 가장자리면에 씌워진 마감부재(B)가 니들부(11)에 다다르는 과정에서 재봉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도 3a 도시된 바와 같이 자칫 마감부재(B)가 돗자리 가장자리면에서 밀려나면서 재봉바늘이 부러지게 되고, 결국 도 3b와 같은 들쭉날쭉한 재봉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마감부재 봉제 방식은 작업자의 숙련도나 집중도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어 작업능률의 향상과 제품 품질의 제고를 기대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작업자의 숙련도나 집중도에 관계없이 마감부재의 재봉상태를 균일·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품질의 돗자리를 생산할 수 있는 봉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재봉기가 설치된 재봉기테이블과, 이 재봉기테이블에 설치되어 마감부재를 안내하며 동시에 마감부재를 반으로 자동 접어주는 마감부재가이드와, 재봉기의 니들부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상기 마감부재가이드를 통과한 마감부재의 측단부가 접하도록 해주는 기준대와, 돗자리를 일직선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돗자리이송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봉제장치를 사용한 작업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개략도로써 재봉기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준 것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써 마감부재이송플레이트에 탑재된 마감부재(B)가 기준대에 접하여 균일·견고하게 재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요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마감부재가이드(20)와 니들부(11) 사이에 위치한 돗자리의 재봉할 가장자리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돗자리의 가장자리면이 재봉기의 재봉면에 들뜸없이 밀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감부재 봉제장치는 니들부(11)를 구비한 재봉기(10)와, 상기 재봉기(10)가 설치된 재봉기테이블(13)과, 이 재봉기테이블(13)에 설치되어 마감부재(B)를 안내함과 동시에 마감부재(B)를 반으로 자동 접어주는 마감부재가이드(20)와, 상기 재봉기(10)의 니들부(11)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상기 마감부재가이드(20)를 통과한 마감부재(B)의 측단부가 접하도록 해주는 기준대(30)와, 돗자리(D)를 일직선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를 포함하며,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에 설치되는 이송롤러(41) 및 상기 이송롤러(41)가 안치되는 가이드레일(50)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재봉기(10)는 통상의 것과 동일하게 니들부(11)를 구비하며 재봉기베이스(12)와 일체로 구성되며, 이 재봉기베이스(12)는 사각의 재봉기테이블(13)에 설치된다.
상기 마감부재가이드(20)는 가이드베이스(21)를 구비하며 이 가이드베이스(21)에 의해 상기 재봉기테이블(13)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마감부재가이드(20)는 재봉기(10)의 니들부(11)로 공급되는 마감부재(B)가 반으로 접혀지도록 가이드 하는 수단이다. 이 마감부재가이드(20)의 구조는 마감부재(B)가 세워져 공급되도록 그 몸체가 수직인 타원홀 형체의 구성을 가지는데 그렇지만 출구 쪽의 구성은 호형상으로 90도 이상 절곡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세워져 공급되던 마감부재(B)가 이 호형상으로 꺾여진 부위에서 90도 이상 꺾이면서 반으로 접혀지기 시작하여 이송하는 돗자리(D)의 가장자리면을 완전히 감싸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부재가이드(2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마감부재가이드(20)의 가이드출구(22)의 아래 상면과 재봉면(재봉기베이스(12)의 상면)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즉 높이 차가 없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재봉기테이블(13)에는 일정 깊이의 가이드설치홈부(13a)가 마련되어 있고, 그 가이드설치홈부(13a)에 마감부재가이드(20)의 가이드베이스(21)를 안착시킴으로써 재봉기베이스(12)의 상면(재봉면)과 가이드출구(22)의 면(아래 상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돗자리 가장자리의 빳빳함과 관계없이 도 7도의 예시처럼 돗자리 가장자리면의 재봉할 부분이 재봉면에서 들뜸없이 밀착이동하게 되어 재봉실의 끊어짐 없이 원활한 재봉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상기 재봉기(10)의 니들부(11) 부근에는 기준대(30)가 설치되는데 기준대(30)의 설치 길이는 니들부(11)를 중심으로 재봉기베이스(12)의 폭보다 적으면(10㎝ 정도) 족하며(재봉기베이스를 젖힐 때 간섭이 없음), 만약 재봉기베이스(12)를 움직일 필요가 없다면 기준대(30)의 길이가 재봉기베이스(12)의 폭보다 커도 무방할 것이며 또한 가이드출구(22)에서 니들부(11) 쪽으로 길게 이어져 있어도 무방할 것이고, 나아가 상기 기준대(30)의 설치 위치는 꼭 니들부(11) 중심 부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니들부(11)와 가이드출구(22) 사이에 일정한 길이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기준대(30)는 마감부재가이드(20)를 지나면서 반으로 접혀진 마감부재(B)의 측단이 접하도록 재봉기베이스(12)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기준대(30)의 높이는 마감부재(B)가 감싸진 돗자리(D)의 두께를 감안하여 4∼6㎜ 내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대(30)는 응용예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돗자리의 가장자리 단부가 이 기준대(20)에 접해진 상태로 재봉이 이루어지므로 마감부재(B)의 균일하고 견고한 재봉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돗자리(D)를 탑재해서 이송하는 수단으로서의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는 그 하단 양쪽에 한 쌍의 이송롤러(41)를 구비하며, 이 이송롤러(41)가 가이드레일(50)에 접하여 구동하면서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를 일직선상으로 왕복 이송시키게 되는데 따라서 돗자리(D)가 일직선상으로 이동면서 그 가장자리 단부가 기준대(30)에 접한 채로 재봉이 실시되므로 마감부재(B)의 정교한 재봉이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의 상면은 되도록 마찰계수가 적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돗자리의 네 가장자리면을 돌려가면서 봉제를 해야 하므로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의 상면이 마찰계수가 높으면 돗자리의 바닥면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돗자리를 회전시키는데 많은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가능하면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의 상면은 마찰계수가 적은 재질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마감부재 봉제장치에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 위에 재봉할 돗자리를 펼쳐 재봉할 해당 가장자리면의 모서리를 마감부재가이드(20)에 근접 위치시킨다.
재봉기(10)의 가동과 동시에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를 움직여 돗자리를 마감부재가이드(20)에 밀어 넣으면, 재봉할 돗자리의 가장자리면으로 반으로 접혀지는 마감부재(B)가 밀착 감싸져 기준대(30)에 접촉되어 니들부(11)를 통과하면서 마감부재(B)의 봉제가 실시되는 것이다.
이때 돗자리 가장자리면을 감싸고 있는 마감부재(B)의 측단부가 기준대(30)에 밀착이 되어 있는 관계로 마감부재(B)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바늘이 부러지는 일 없이 정교한 재봉(마감부재의 끝단으로부터 1∼1.5㎜ 정도의 여유를 남김)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마감부재가이드(20)의 가이드출구(22) 아래 상면이 재봉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관계로 재봉할 돗자리 가장자리면이 재봉면에서 들뜸없이 재봉면에 밀착된 채 이송이 되기 때문에 재봉실의 끊어짐 없이 재봉의 연속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마감부재 봉제장치는 마감부재가이드(20)의 가이드출구(22) 아래 상면이 재봉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마감부재가이드(2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재봉할 돗자리 가장자리면이 재봉면에서 들뜸없이 재봉면에 밀착된 채 이송이 될 수 있어 재봉실의 끊김없이 재봉의 연속작업을 가능케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재봉기(10)의 니들부(11)를 중심으로 기준대(30)를 설치함으로써 돗자리 가장자리면을 감싸고 있는 마감부재(B)의 측단부가 기준대(30)에 밀착 이송하는 관계로 마감부재(B)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바늘의 부러짐 없이 정교한 재봉(마감부재의 끝단으로부터 1㎜ 정도의 여유를 남김)을 가능케 하여 작업효율을 배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에 돗자리(D)의 일직선 이동과 더불어 돗자리 가장자리면에 씌여진 마감부재(B)의 측단부가 기준대(30)에 접하여 이송되면서 재봉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일층 정교하고 균일하며 견고한 재봉을 실시할 수 있어 돗자리의 품질을 제고하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돗자리(나무자리)의 가장자리에 마감부재(신축성 밴드)가 봉제된 일 예를 나타낸 돗자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봉제장치에 있어서 재봉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마감부재가이드와 니들부 사이에 위치한 돗자리의 가장자리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a, 3b는 종래 봉제장치에 있어서 기준대 없이 재봉시 마감부재가 돗자리가장자리 단부로부터 밖으로 밀려나 봉제된 경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및 부분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봉제장치를 사용한 작업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개략도로써, 재봉기를 제거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요부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마감부재가이드와 니들부 사이에 위치한 돗자리의 재봉할 가장자리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재봉기 11: 니들부
12: 재봉기베이스 13: 재봉기테이블
13a: 가이드설치홈부 20: 마감부재가이드
21: 가이드베이스 22: 가이드출구
30: 기준대 40: 돗자리이송플레이트
41: 이송롤러 50: 가이드레일
B: 마감부재 D: 돗자리(나무자리)

Claims (7)

  1. 니들부(11)를 구비한 재봉기(10)와;
    상기 재봉기(10)가 설치된 재봉기테이블(13)과;
    상기 재봉기테이블(13)에 설치되어 마감부재(B)를 안내함과 동시에 마감부재(B)를 반으로 자동 접어주는 마감부재가이드(20)와;
    상기 마감부재가이드(20)를 통과한 마감부재(B)의 측단부가 접하도록 해주는 기준대(30)와;
    돗자리(D)를 일직선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30)는 상기 재봉기(10)의 니들부(11)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30)는 니들부(11)와 가이드출구(22) 사이에 일정한 길이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30)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5. 니들부(11)를 구비한 재봉기(10)와;
    상기 재봉기(10)가 설치된 재봉기테이블(13)과;
    상기 재봉기테이블(13)에 설치되어 마감부재(B)를 안내함과 동시에 마감부재(B)를 반으로 자동 접어주는 마감부재가이드(20)와;
    하단 양쪽에 가이드레일(50)에 접하여 구동하는 이송롤러(41)를 구비하여 돗자리(D)를 일직선으로 이송시켜 주는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가이드(20)가 재봉면과 높이 차 없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상기 재봉기테이블(13)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설치홈부(13a)에 고정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돗자리이송플레이트(40)는 그 상면이 마찰력이 적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KR20-2005-0014639U 2005-05-24 2005-05-24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KR200391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39U KR200391659Y1 (ko) 2005-05-24 2005-05-24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39U KR200391659Y1 (ko) 2005-05-24 2005-05-24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659Y1 true KR200391659Y1 (ko) 2005-08-05

Family

ID=4369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639U KR200391659Y1 (ko) 2005-05-24 2005-05-24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95B1 (ko) 2007-12-14 2009-10-08 강일석 보온매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95B1 (ko) 2007-12-14 2009-10-08 강일석 보온매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0836B1 (en) Conveyor table of cutting machine
CN101648289B (zh) 刨床和刨板机
JPWO2005005709A1 (ja) 生地の裁断装置、裁断方法及び裁断積層方法
ATE293031T1 (de) Schneidemaschine für eine vielzahl von küchen- und/oder toilettenpapierrollen
ATE381412T1 (de) Maschine zur feinbearbeitung eines gegenstands wie eines profilierten elements, eines paneels o. ä.
US10882126B2 (en) Take-up and payoff system for vertical profiling cutting saw (VPX)
KR200391659Y1 (ko) 돗자리의 마감부재 봉제장치
JP5978081B2 (ja) 切断機
US4058040A (en) Slotted worktable
KR900003463A (ko) 자동봉제장치
ATE503631T1 (de) Verfahren zum aufziehen und/oder abnehmen eines aufzuges
JP2009202278A (ja) シート材切断装置
US994358A (en) Abrasive apparatus.
JP4726567B2 (ja) 玉縁縫いミシン
CA2308521A1 (en) Belt sanding machine
KR200389572Y1 (ko) 자수기의 스팽글 공급장치
JP4757777B2 (ja) 裁断機
US5090684A (en) Guide for a sheet aligning station of a package producing machine
KR200315322Y1 (ko) 재봉기용 노루발
KR20200020499A (ko) 개선절단 장치
AU2014286364B2 (en) Device for manipulating paper strips and machine for producing booklets of paper sheets
KR860700275A (ko) 유연한 직물의 재봉에 있어서의 개선방법 및 장치
KR910005477Y1 (ko) 레이스의 컷팅 장치
JP2006204823A (ja) 多頭ミシンの縫製台及び縫製枠
KR20100009547U (ko) 누비기용 시트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