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464Y1 -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 Google Patents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464Y1
KR200391464Y1 KR20-2005-0012664U KR20050012664U KR200391464Y1 KR 200391464 Y1 KR200391464 Y1 KR 200391464Y1 KR 20050012664 U KR20050012664 U KR 20050012664U KR 200391464 Y1 KR200391464 Y1 KR 200391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ire
fasteners
wir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진
Original Assignee
고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진 filed Critical 고경진
Priority to KR20-2005-0012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 어댑터, 데이터 케이블 등에 사용되는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부피가 작고 감고 푸는데 시간 소요가 적은 효율적인 권선 장구 혹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고리가 장착된 체결구(2a,2b)에 전선(1)을 구속시켜 권선 시에는 체결구(2a,2b)를 잡아당김으로써 전선(1)을 포개놓은 듯이 신속히 감고 해체시에는 전선(1)을 잡아당겨 원래대로 복원하는, 유연성을 갖는 전선(1)의 권선기 혹은 권선구이다. 이러한 권선 방법은 시간과 부피에 대한 장점뿐 아니라 간단한 원리로 인해 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외관에 변화를 줄 수 있어 심미적으로도 유리하다.

Description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Method to Winch Flex able Electric Wire and Appliance}
본 고안은 이어폰, 어댑터, 데이터 케이블 등에 사용되는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갖는 전선을 부피를 작게 차지하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권선할 수 있는 도구나 혹은 기구에 관한 구조를 개발하는 데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권선 방법은 상기한 전선이 그 부속되는 본체에 둘둘 감거나 주머니 혹은 상자에 본체와 같이 구겨 넣는 것이고, 일부에서는 이어폰의 권선 수단으로써 원통형 케이스에 내재한 회전 원통을 감아서 케이스에 보관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둘둘 감아서 사용하거나 설비가 구비되지 않은 주머니 혹은 상자에 보관하는 방법은 전선이 부속한 본체에 같이 구겨넣음으로써 보기에 좋지 않을뿐더러 때로는 전선이 엉키어 나중에 세심히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원통형 케이스는 전선을 모두 집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그 원리상 부피가 상당하며 전선을 권선 하는데 시간 또한 많이 걸린다.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한 본 고안은 이어폰, 어댑터, 데이터 케이블 등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수단으로써 부피가 작고 감고 푸는데 시간 소요가 적은 효율적인 권선 장구 혹은 기구에 관한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와 작용을 보여주는 개시도이다. 본 고안의 권선수단으로써 전선(1)을 다수의 고리로 감은 체결구(2a,2b)가 쌍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 2개의 체결구(2a,2b)를 잡아당김으로써 전선(1)을 권선한다. 이는 전선(1)을 사린 후에 원형의 양끝 두 부분을 잡아당긴 것과 같다. 다수의 고리로 각각 전선(1)을 구속함으로 서로 엉키지 않으며 신속히 권선할 수 있는 것이다. 전선(1)을 권선하기 전의 모습과 권선 후의 모습이 도 1의 (a)와 (b)에 명시되어 있다. 또한, 해제시에는 전선(1)을 잡아당겨 원래대로 복원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체결구(2a,2b)를 확대하였으나 실제에 있어 전선(1)을 권선하기 위한 구조적 내력을 확보하는 한계 내에서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명시된 바와 같이 권선 수단의 주요 수단인 2개의 체결구(2a,2b)는 부피가 충분히 작으며 그 동작을 신속히 할 수 있어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고리는 권선시 전선(1)을 유도하고 일정 간격으로 고정케 하는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에 부합하면 특별히 고리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판형에 구멍을 뚫는 것이 더 유효하다. 고리는 부피가 작고 전선을 해체하는데 유리하며 구멍은 본체 및 부속 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외관상 유리하다. 고리 혹은 구멍은 전선이 여유있게 통과할 수 있는 넓이를 가져야 하며 이는 권선된 전선(1)을 풀 때 유용하다. 또한, 고리 혹은 구멍의 접촉부는 단면이 환형 혹은 호형을 유지하면 전선의 마모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이때 위와 같이 전선(1)을 권선하기 위해서는 전선이 고리 혹은 구멍으로부터 이탈하지 말아야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전선(1)에 탈부착할 수 있는 매듭구(1a)를 형성하여 달성한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2a,2b)의 고리와 전선(1)에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매듭구(1a)를 형성하면 체결구(2a,2b)와 전선(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파손시 체결구(2a,2b)의 교환이 용이하고 매듭구(1a)가 체결구(2a,2b)안에 위치함으로 간결하게 유지관리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전선(1)을 고리 체결구(2a,2b)로 잡아당길 때 그 길이에 비하여 더 긴 길이의 전선(1)을 효과적으로 권선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예시한 경우에는 5개의 고리를 사용하여 잡아당긴 길이의 4배를 권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리의 수를 늘리면 보다 짧은 길이로 권선하여 더 긴 전선(1)을 권선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고리의 수가 너무 많으면 감고 푸는데 자연스럽지 못하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의 고리 혹은 구멍을 가져야 한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기술한 전선(1)의 권선수단으로써 고리 체결구(2a,2b)뿐 아니라 전선(1)을 권선한 뒤 체결구(2a,2b)를 고정할 수 있는 보조수단을 필요로 한다. 체결구(2a,2b)의 고정수단은 응용 기기의 용도나 전선의 활용, 사용자의 취향 또는 제조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을 응용하여 간단하게 구성한 권선구로 전선(1)을 권선하여 응용기기의 본체 혹은 부속 기기에 감을 수 있는 장구이다. 두 개의 체결구(2a,2b)가 탄력성이 좋은 고무 밴드(3)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 체결구(2a,2b)를 잡아당겨 전선(1)을 권선한 뒤 응용기기의 본체에 덧씌워 감을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한 부속으로 폭넓게 적용할 수 있고 액세서리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2의 고무밴드 결속구(4)는 탄력성이 좋은 고무밴드(3) 등을 일렬로 결속함으로써 평상 시에 고무 밴드가 둥그렇게 되지 않고 일자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결속구(4) 없이 바로 잇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체결구(2a,2b)와 일체로 된 권선기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에서 체결구(2a,2b)의 권선수단으로써 탄력성을 갖는 고무밴드(3)를 예시하였으나 도 3은 고정수단으로써 고형의 체결 지지대(5a,5b)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형의 기구는 이어폰의 경우 리모트 컨트롤 유닛과 일체의 구조로 적용할 수 있고 일반적인 전선은 길이 조절용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구 자체가 체결구(2a,2b)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써 기능뿐 아니라 전선을 감을 수 있는 물체의 구실을 함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덧씌워 감을 수 있는 물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3의 (a), (b), (c)의 순서에 따라 전선(1)을 권선함으로써 체결구(2a,2b)를 잡아당기는 효과는 물론 권선된 전선(1)을 반으로 접을 수 있어 더욱 짧게 전선(1)을 감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전선(1)을 권선하는 수단으로써 고리 혹은 구멍으로 전선(1)을 유도하고 고정시켜는 체결구(2a,2b)를 형성하여 전선(1)을 포개놓은 듯이 잡아당겨 권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전선(1)을 권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고안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부피가 작고 간단하므로 부속 기구 혹은 도구로 제약이 적다.
;전선(1)이 부속되는 본체에 일체로 설계할 수 있다.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감고 푸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다.
;전선(1)이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요를 나타낸 개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응용으로 권선구를 나타낸 개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응용으로 권선기를 나타낸 개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전선
1a; 전선의 매듭구
2a,2b; 다수의 고리를 갖는 체결구
3; 탄력성을 갖는 고무밴드
4; 고무밴드 결속구
5a,5b; 체결 지지대

Claims (3)

  1. 유연성을 갖는 전선(1)을 권선하는 수단으로서, 전선(1)을 포개놓은 듯이 잡아당겨 권선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고리 혹은 구멍으로 구성된 체결구(2a,2b)를 형성하고, 고리 혹은 구멍이 전선(1)을 유도하고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신속히 전선(1)을 권선하며 풀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전선(1)의 권선기 혹은 권선구
  2. 제 1항에 있어서, 권선된 체결구(2a,2b)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2개의 체결구(2a,2b)를 탄력성이 좋은 고무밴드(3)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선(1)이 부속된 본체 등 기타 물체에 감을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전선(1)의 권선기 혹은 권선구
  3. 제 1항에 있어서, 권선된 체결구(2a,2b)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고형의 체결 지지대(5a,5b)를 구비하여 혹은 그 전선(1)이 부속된 기기에 일체로 장착하여 체결구를 고정하는 전선(1)의 권선기 혹은 권선구
KR20-2005-0012664U 2005-05-04 2005-05-04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KR200391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664U KR200391464Y1 (ko) 2005-05-04 2005-05-04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664U KR200391464Y1 (ko) 2005-05-04 2005-05-04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418A Division KR20050037458A (ko) 2005-03-31 2005-03-31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464Y1 true KR200391464Y1 (ko) 2005-08-04

Family

ID=4369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664U KR200391464Y1 (ko) 2005-05-04 2005-05-04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4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618B2 (en) Cable clip for organizing and routing cables and wires
US20170013343A1 (en) Cable winding device
US20110290532A1 (en) Headphone cord sleeve
KR200391464Y1 (ko)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US20030066152A1 (en) Mesh brush
KR20050037458A (ko)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권선 방법과 응용
WO2006024074A1 (en) Tangle free lead
JP6402396B1 (ja) 配線巻取具およびそれを用いる携帯型電子機器ならびに紐体の巻取具
JP6025032B2 (ja) 釣り糸の結線補助具
JP2013163564A (ja) コードリール
WO2012115716A2 (en) Wound rope or cord support
KR20080002668U (ko) 낚싯줄 스풀
JP3223410U (ja) 手状態維持具
JP7349541B1 (ja) 釣竿
US9334141B2 (en) Wound rope or cord support
JP2010280504A (ja) 戻り防止機構付等リール複数ラインシステム
KR200491527Y1 (ko) 반려 동물 가변 안전 리드줄
JP2008067198A5 (ko)
JP6798701B2 (ja) トンス用ロープ
KR200415822Y1 (ko) 관절형 이어폰 줄
KR200227418Y1 (ko) 낚시바늘 포장구
JP2007209707A (ja) 携帯オーディオ機器用収納具
JP2004104980A (ja) 延長電気コードの絡まり防止束線バンド
KR200305994Y1 (ko) 전선보호망
JP201405754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