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68U - 낚싯줄 스풀 - Google Patents

낚싯줄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68U
KR20080002668U KR2020070000640U KR20070000640U KR20080002668U KR 20080002668 U KR20080002668 U KR 20080002668U KR 2020070000640 U KR2020070000640 U KR 2020070000640U KR 20070000640 U KR20070000640 U KR 20070000640U KR 20080002668 U KR20080002668 U KR 200800026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reel
spoo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오
Original Assignee
구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현오 filed Critical 구현오
Priority to KR2020070000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668U/ko
Publication of KR20080002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a closed fa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줄 스풀(Spool)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더욱 간편한 구조와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낚싯줄 스풀에 관한 것인 바,
대판(2)상에 권취부(31) 일측 플랜지부(32)에 수개의 러그(Lug)(33,33')를 돌출 형성하여 릴(3)을 형성하고, 낚시바늘(72)이 연결된 수개의 낚싯줄(7,7')은 고리부(71)와 낚시바늘(72)을 일렬로 연결하여 낚싯줄(7,7')은 릴(3)의 권취부(31)에 감고 낚시바늘(72,72')은 일측 러그(33,33') 외측에 위치되게 감도록 하며,
일측 러그(33,33')에는 낚시바늘(72)을 걸 수 있도록 걸이홈(4)을 마련하고
대판(2)의 상단 일측에는 낚싯줄(7,7') 일단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부(5)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낚시채비, 낚시용 스풀, 낚싯줄 스풀, 낚싯줄 감개, 낚싯줄 감기, 낚싯줄용 스풀, 스풀(Spool)

Description

낚싯줄 스풀{Fishing line Spoo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 및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사용상태도
도 5, 5a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스풀(Spool)
2:대판
3:릴(Reel)
4:걸이홈
5:끼움부
6:축부
7:낚싯줄
71:고리부
72:낚시바늘
8;보호캡
본 고안은 낚싯줄 스풀(Spool)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더욱 간편한 구조와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낚싯줄 스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낚싯줄은 여러 개가 하나의 포장구에 포장되어 제품화되고 휴대 및 사용되어 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기존 포장구는 낚시바늘이 각각 연결된 여러 개의 낚싯줄을 하나씩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대판상에 낚시바늘을 각각 걸고 낚싯줄을 감아서 각 낚싯줄을 개별로 하나씩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낚싯줄이 대판에 감기게 되어 대판과 접하여 감긴 부분에 낚싯줄의 꺾임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것임은 물론 대판으로 부터 풀어낸 낚싯줄이 꺾인 상태에서 곧게 펴지지 않아 제대로 낚시를 할 수 없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어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판 포장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낚싯줄을 감을 수 있는 릴을 갖춘 스풀을 구성하여 릴에 낚싯줄을 감아서 낚싯줄이 꺾이는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편리하게 낚싯줄을 감고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포장구가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낚싯줄 스풀은 종이류로 된 대판상에 원형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낚싯줄을 감을 수 있게 함으로써 낚싯줄이 꺾이지 않고 감아지고 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낚싯줄이 감아지는 릴이 강도가 약한 종이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고 낚싯줄이 릴에 제대로 감아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낚싯줄이 감기는 릴부분의 변형성이 없고 종이류에 비하여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제로 구성한 스풀이 여러 개 고안되어 있으나 이는 낚시바늘이 연결된 수개의 낚싯줄을 차례로 감았다가 역순으로 차례로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낚싯줄을 차례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낚싯줄이 다른 낚싯줄의 낚시바늘에 엉키거나 순서대로 풀어낼 낚싯줄을 쉽게 구별하기가 곤란하고 낚싯줄을 순서대로 풀어내지 못할 경우 릴에 감긴 낚신줄 전부가 서로 엉키게 되어 사용이 곤란한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실제 낚시현장에서 그 사용성이 매우 불편한 것이었다.
본 고안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과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낚싯줄 스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낚싯줄을 간편히 감고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낚시바늘이 연결된 수개의 낚싯줄을 일렬(한줄)로 연결하여 스풀에 한줄로 감아서 사용토록 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낚싯줄을 풀어내는 도중 낚싯줄이 서로 엉킬 우려가 없게 하고, 풀어낼 낚싯줄을 차례(순서)를 구별하는 필요가 없이 하나의 낚싯줄을 풀어내면 자연적으로 다음에 풀어낼 낚싯줄이 연결상태로 풀어지는 매우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대판상에 낚싯줄을 감을 수 있는 원형의 릴을 형성하고, 릴에는 낚시바늘이 위치되는 러그(Lug)를 형성하여 일렬로 연결된 낚싯줄 수개를 릴에 감아서 포장, 휴대, 사용할 수 있도록 낚싯줄 스풀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낚싯줄 스풀(1)은, 대판(2)상에 원형의 릴(3)을 형성하되, 릴(3)의 권취부(31) 일측 플랜지부(32)에는 수개의 러그(Lug)(33,33')를 형성하여 러그(33,33')에 낚시바늘(72)을 위치되도록 한다.
러그(33,33')는 릴(3)의 플랜지부(32) 사방으로 수개를 돌출 형성하여 그 외측으로 낚싯줄(7,7')에 연결된 낚시바늘(72,72')이 경유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일측 러그(33,33')상에는 낚싯줄(7,7')을 릴(3)에 감을 때 최초의 맨 끝단의 낚시바늘(72)을 걸 수 있도록 걸이홈(4)을 마련한다.
상기 걸이홈(4)은 도시한 예와 같이 낚시바늘(72) 끝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게 홈으로 형성하거나 러그(33,33')상에 구멍을 형성하여 여기에 낚시바늘(72)의 끝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대판(2)의 상단 일측에는 낚싯줄(7,7') 일단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부(5)를 형성한다.
릴(33,33')은 대판(2)상에 축부(6)로 회전고정되게 결합하여 릴(3)이 대판(2)에 고정시킨 축부(6)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릴(3) 일단을 대판(2)상에 고정시켜 회전되지 않는 구조로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 5a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대판(2)상의 릴(3) 외측으로 얇은 투명수지로 된 보호캡(8)을 결합하여 릴(3)과 릴(3)에 감겨진 낚싯줄(7,7')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보호캡(8)을 씌워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호캡(8) 일측으로 낚싯줄(7,7')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81)를 마련한다.
상기 보호캡(8)은 릴(3)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내부 낚싯줄(7,7')의 감긴 상태가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낚시바늘(72)이 연결된 낚싯줄(7,7') 상단에 고리부(71)를 매듭으로 형성하여 도 4a에서와 같이 낚시바늘(72)을 고리부(71)에 끼워서 수개의 낚싯줄(7,7')을 일렬로 연결하여 릴(3)에 감게 되는 것으로,
이하에 사용방법을 통하여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와 같이 낚시바늘(72)을 다른 낚싯줄(7,7')의 고리부(71)에 걸어서 수개를 연결한 각 낚싯줄(7,7')은 릴(3)에 일렬로 감아서 포장, 휴대, 사용하게 된다.
낚시바늘(72)을 고리부(71)에 걸어서 수개를 연결한 낚싯줄(7,7')의 맨끝 낚시바늘(72)은 릴(3)의 일측 러그(33,33')에 형성된 걸이홈(4)에 낚시바늘(72)의 플랜지부(32) 외측에서 걸어 고정시킨 다음 낚싯줄(7,7')을 권취부(31)에 감는다.
이와 같이 낚싯줄(7,7')을 권취부(31)에 감는 과정에서, 낚싯줄(7,7')을 권 취부(31)에 감는 도중에 고리부(71)에 연결된 낚시바늘(72)은 권취부(31)에 감지않고 러그(33,33') 외측으로 감아서 러그(33,33')의 바깥쪽에 위치시켜 권취부(31)에서 낚시바늘(72)과 낚싯줄(7,7')이 엉키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낚싯줄(7,7')을 전부 감은 후에는 마지막 낚싯(7)줄의 고리부(71)측 일단을 대판(2)의 끼움부(5)에 걸어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상기한 권취과정의 역방향으로 낚싯줄(7,7')을 풀어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에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판(2)상의 끼움부(5)에 끼워 고정시킨 낚싯줄(7,7') 일단의 고리부(71)를 잡고 릴(3)의 권취부(31)로부터 낚싯줄(7,7')을 감은 방향과 역방향으로 풀어내게 되면 맨 처음 낚싯줄(7,7')의 낚시바늘(72)이 다음 낚싯줄(7,7')의 고리부(71)에 끼워져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리부(71)로부터 낚시바늘(71)을 빼내어 한의 낚싯줄(7,7')을 스풀(1)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음 낚싯줄(7,7')은 그 고리부(71)측 일단 대판(2)상의 끼움부(5)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물론, 다음 낚싯줄(7,7') 역시 풀어내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과 같이 하나의 낚싯줄(7,7')을 풀어낸 다음에 낚시바늘(72)을 고리부(7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계속하여 연속적으로 낚싯줄(7,7')을 풀어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수개의 낚싯줄(7,7')이 낚시바늘(72)과 고리부(71)로서 일렬(한줄)로 연결되어 릴(3)에 마치 한줄의 낚싯줄을 감아놓은 것처럼 권취되어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낚싯줄(7,7')과 낚시바늘(72)이 서로 엉키거나 낚싯줄(7,7')을 풀어내는 순서가 잘못되어 낚싯줄(7,7')이 서로 엉키게 됨으로써 낚싯줄(7,7') 을 풀어낼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염려가 없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낚싯줄(7,7')을 감아서 보관 및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낚싯줄(7,7')을 수개 일렬로 연결하여 감을 수 있도록 하고 낚시바늘(72)은 낚싯줄(7,7')과는 별도로 릴(3)의 권취부(31) 외측에 별도로 위치시켜 감을 수 있게 낚싯줄 스풀(1)을 구성함으로써 낚싯줄(7,7')과 낚시바늘(72)이 엉키거나 낚싯줄(7,7')을 푸는 순서가 잘못되어 서로 엉키거나 하는 등의 문제발생없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 등을 제공한다.

Claims (2)

  1. 낚싯줄 스풀(1)을 구성함에 있어서,
    대판(2)상에 권취부(31) 일측 플랜지부(32)에 수개의 러그(Lug)(33,33')를 돌출 형성하여 릴(3)을 형성하고,
    낚시바늘(72)이 연결된 수개의 낚싯줄(7,7')은 고리부(71)와 낚시바늘(72)을 일렬로 연결하여 낚싯줄(7,7')은 릴(3)의 권취부(31)에 감고 낚시바늘(72,72')은 일측 러그(33,33') 외측에 위치되게 감도록 하며,
    일측 러그(33,33')에는 낚시바늘(72)을 걸 수 있도록 걸이홈(4)을 마련하고 대판(2)의 상단 일측에는 낚싯줄(7,7') 일단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부(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스풀.
  2. 제 1 항에 있어서,
    대판(2)상의 릴(3) 외측에 낚싯줄(7,7')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81)가 형성된 투명수지의 보호캡(8)을 결합하여 릴(3)과 릴(3)에 감겨진 낚싯줄(7,7')을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스풀.
KR2020070000640U 2007-01-12 2007-01-12 낚싯줄 스풀 KR200800026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640U KR20080002668U (ko) 2007-01-12 2007-01-12 낚싯줄 스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640U KR20080002668U (ko) 2007-01-12 2007-01-12 낚싯줄 스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68U true KR20080002668U (ko) 2008-07-16

Family

ID=4149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640U KR20080002668U (ko) 2007-01-12 2007-01-12 낚싯줄 스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6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326B1 (ko) 2021-05-21 2021-10-25 홍종인 갈치낚시채비의 기둥줄 자새
KR20220002233U (ko) 2021-03-11 2022-09-20 김화규 낚시채비 포장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33U (ko) 2021-03-11 2022-09-20 김화규 낚시채비 포장구
KR102317326B1 (ko) 2021-05-21 2021-10-25 홍종인 갈치낚시채비의 기둥줄 자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0295A (en) Knot tying device
JP2014534732A (ja) 小型電子部品を保護収納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500831B2 (en) Cable payout cassette with single layer cable storage area
US20060054760A1 (en) Device for holding decorative string lights
KR20080002668U (ko) 낚싯줄 스풀
US20030168545A1 (en) Wire container
US2262360A (en) Container
KR101541152B1 (ko) 선재 권취장치
KR20110119851A (ko) 오징어낚시줄 얼레
US20040250463A1 (en) Knotless tapered leader dispensing system
KR102163092B1 (ko) 훌치기 낚시채비용 낚싯줄 엉킴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훌치기 낚시채비
KR102617413B1 (ko) 스풀을 이용한 채비포장방법
KR200260409Y1 (ko) 낚시 포장구
KR200487010Y1 (ko) 찌홀더가 구비된 낚시줄감개
KR20220002233U (ko) 낚시채비 포장구
KR200477491Y1 (ko) 전선 풀림 장치
KR200212205Y1 (ko) 물고기 꿰미
KR200401502Y1 (ko) 낚시채비
KR200204954Y1 (ko) 낚시줄 풀림 방지용 밴드
US1422954A (en) Transfer reel
US20220081251A1 (en) Retaining System
JP2010148077A (ja) コードホルダー
CN210456992U (zh) 一种可重复利用、钓线盒与主线盒组合的一体式线盘
JP3238348U (ja) 刺繍糸
KR200374910Y1 (ko) 낚시 꿰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