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762Y1 -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762Y1
KR200390762Y1 KR20-2005-0013093U KR20050013093U KR200390762Y1 KR 200390762 Y1 KR200390762 Y1 KR 200390762Y1 KR 20050013093 U KR20050013093 U KR 20050013093U KR 200390762 Y1 KR200390762 Y1 KR 200390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ping container
buckling
container
panel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욱
Original Assignee
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욱 filed Critical 박재욱
Priority to KR20-2005-0013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762Y1/ko
Priority to JP2008511036A priority patent/JP2008540272A/ja
Priority to GB0723978A priority patent/GB2441920B/en
Priority to US10/585,528 priority patent/US20080105676A1/en
Priority to PCT/KR2005/003286 priority patent/WO2006121235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7Corrugated or zig-zag structures; Folded plate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적용 컨테이너는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과, 상기 상,하부 레일 사이에 고정되어 천장과 바닥면과 측면 및 전,후면을 형성하는 요철이 성형된 패널과,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코너 포스트로 구성되는 선적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요철패널중 전,후면에 위치한 전,후면 패널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X'형태로 구비되는 좌굴보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적용 컨테이너는 선적용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전,후면측에 좌굴보강 프레임을 부가 구성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상부 적재 컨테이너의 허용 하중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Buckling strengthened Shipping container}
본 고안은 선적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면 패널에 비틀림 및 경사하중을 지지하는 좌굴보강 프레임을 부가 구성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일컫는 것으로서, 대량화물의 규격화된 수용구이다.
한편, 컨테이너의 적재물로는 대부분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의 포장 단위로 적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화물을 적재하고 하역하는 문제에 있어서 종래에는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를 분리하거나 탑재된 상태로 사람의 노동력이나 지게차와 같은 중기를 이용하여 하역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적용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100)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상부 레일(111)과 하부 레일(112)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레일(112)의 소정위치에는 하역장치의 포크리프트가 삽입되어 운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켓(미부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 레일(111)과 하부 레일(112)의 각 모서리에는 코너 포스트(110)가 위치되어 컨테이너(100)의 골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코너 포스트(110)는 열강 압연 현강인 4~10mm의 외쇼트 철판을 사각기둥 형태로 가공하여 용접한 것으로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컨테이너(100)를 적층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코너 포스트(110)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크레인의 물림장치가 연결되는 캐스팅(casting)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레일(111)과 하부 레일(112) 사이에는 천장과 바닥면 그리고 측면 및 전,후면을 형성하는 요철패널(113)이 결합되며, 이러한 요철패널(113)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을 요철형태로 굽힘 성형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적용 컨테이너(100)는 크레인과 같은 상,하역 장치에 의해 상,하역이 이뤄지며, 이러한 컨테이너(100)는 다수개가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고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적용 컨테이너(100)는 구조적으로 코너 포스트(11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압축하중에 대한 지지 강성은 비교적 양호하나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에는 대단히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컨테이너(100)의 적재화물 중량을 제한하거나 또는 외부에 추가적인 고박을 실시하고 있으나 경제적,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후면 패널에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굴보강 프레임을 부가 구성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 위험성을 저감시키면서 적재화물의 수용 중량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고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는,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과, 상기 상,하부 레일 사이에 고정되어 천장과 바닥면과 측면 및 전,후면을 형성하는 요철이 성형된 패널과,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코너 포스트로 구성되는 선적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요철패널중 전,후면에 위치한 전,후면 패널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X'형태로 구비되는 좌굴보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좌굴보강 프레임은 그 끝단과 접촉하는 코너 포스트 및 상,하부 레일의 일측에 용접으로 마운팅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전,후면 패널 중 어느 하나는 도어를 일체로 구비하며, 이 도어를 포함하는 패널 측에 구비되는 좌굴보강 프레임은 도어 개폐시 위치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일단이 단절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적용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에서 바라본 컨테이너의 일 측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1)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상부 레일(11)과 포켓(12')이 형성되는 하부 레일(12)을 구비하며, 이들 상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2)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2)의 네 모서리에는 코너 포스트(10)가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컨테이너(1)의 골조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코너 포스트(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사각 기둥 형태로 가공하여 용접한 것으로 수직하중을 지지하여 다수의 컨테이너(1)를 적층 가능하게 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크레인의 물림장치가 연결되는 캐스팅(casting)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코너 포스트(10)는 상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2)에 각각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골조는 등간격으로 요철이 굽힘 성형된 판재형의 상면 패널(13)과 하면 패널 그리고 측면 패널(14) 및 전,후면 패널(15,16)에 의해 전체적으로 커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요철패널에 형성되는 요철은 외력에 대한 지지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면 패널(15,16)과 측면 패널(14)은 수직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면 패널(13)과 미도시된 바닥패널은 수평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는 통상의 컨테이너(1)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은 다수의 컨테이너(1)를 적층시켰을 때 비틀림 하중과 경사 하중에 대한 지지 강성을 보강하는 좌굴보강 프레임을 부가 설치하여 컨테이너(1) 및 화물의 파손 및 손상을 저감시키고 보관용기로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선적용 컨테이너(1)는 전면 패널(15)과 도어가 형성되는 후면 패널(16)측에 각각 좌굴보강 프레임(20,30)이 부가 설치된다.
즉, 상기 좌굴보강 프레임(20,30)은 컨테이너(1)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에 대한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요철패널중 전면과 후면에 위치한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16)의 각 일측에 'X'형태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좌굴보강 프레임(20,3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파이프를 'X'형태로 교차 배치하고 교차 지점을 용접으로 마운팅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를 사각 기둥 형태로 굽힘 성형한 사각관을 'X'형태로 교차배치하고 교차 지점을 용접으로 마운팅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굴보강 프레임은 그 끝단과 접촉하는 코너 포스트(10) 및 상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2)의 각 일측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골조의 구조적인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굴보강 프레임은 전면 패널(15)에 구비되는 경우 각 끝단부가 코너 포스트(10)와 상,하부 레일(11,12)에 각각 용접으로 접합되어 구비되어지며, 도어가 형성된 후면 패널(16)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도 3에서와 같이 일단이 단절된 형태로 구비되며, 이 경우 도어개폐에 필요한 간격 및 강성체의 연속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도어 사이에 쐐기 장치를 부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선적용 컨테이너(1)는 전,후면 패널(15,16)(16)측에 각각 'X'형태의 좌굴보강 프레임(20,30)을 부가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골조의 전체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에 대한 지지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전,후면측에 좌굴보강 프레임을 부가 구성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선적용 컨테이너의 강도 보강에 따른 허용 하중이 증가되므로 수용 화물에 대한 중량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어 종전에 비해 많은 화물을 적재시킬 수 있게 되며, 아울러 고박 필요성에 대한 제고를 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대단히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적용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적용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에서 바라본 컨테이너의 일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테이너 10 : 코너 포스트
11 : 상부 레일 12 : 하부 레일
12' : 포켓 13 : 상면 패널
14 : 측면 패널 15 : 전면 패널
16 : 후면 패널 20,30 : 좌굴보강 프레임

Claims (3)

  1.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레일(11) 및 하부 레일(12)과, 상기 상,하부 레일(11,12) 사이에 고정되어 천장과 바닥면과 측면 및 전,후면을 형성하는 요철이 성형된 패널과,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코너 포스트(10)로 구성되는 선적용 컨테이너(1)에 있어서,
    상기 요철패널중 전,후면에 위치한 전,후면 패널(15,16)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비틀림 하중과 경사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X'형태로 구비되는 좌굴보강 프레임(20,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보강 프레임(20,30)은 그 끝단과 접촉하는 코너 포스트(10) 및 상,하부 레일(11,12)의 일측에 용접으로 마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패널(15,16) 중 어느 하나는 도어를 일체로 구비하며, 이 도어를 포함하는 패널 측에 구비되는 좌굴보강 프레임은 도어 개폐시 위치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일단이 단절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KR20-2005-0013093U 2005-05-10 2005-05-10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KR200390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93U KR200390762Y1 (ko) 2005-05-10 2005-05-10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JP2008511036A JP2008540272A (ja) 2005-05-10 2005-10-05 座屈強度補強船積みコンテナ
GB0723978A GB2441920B (en) 2005-05-10 2005-10-05 Buckling strengthened shipping container
US10/585,528 US20080105676A1 (en) 2005-05-10 2005-10-05 Buckling Strengthened Shipping Container
PCT/KR2005/003286 WO2006121235A1 (en) 2005-05-10 2005-10-05 Buckling strengthened shipp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93U KR200390762Y1 (ko) 2005-05-10 2005-05-10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762Y1 true KR200390762Y1 (ko) 2005-07-25

Family

ID=4369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093U KR200390762Y1 (ko) 2005-05-10 2005-05-10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7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26291B (zh) 罐式集装箱
JP2008540272A (ja) 座屈強度補強船積みコンテナ
US20050220559A1 (en) Container used to ship semi-trailer chassis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US7445418B2 (en) Van semi-trailer and method for shipping the same
CN210653201U (zh) 一种笼车
KR200390762Y1 (ko)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KR101221566B1 (ko) 컨테이너용 하중 분산 및 자중 감소형 하부베이스 및 그의 제작방법
KR200427799Y1 (ko) 선적용 승용차 컨테이너
CN215206547U (zh) 集装箱
CN201745948U (zh) 改进型玻璃包装箱
CN211944683U (zh) 一种集装箱
CN201165406Y (zh) 集装箱
KR101348106B1 (ko)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
KR200421857Y1 (ko) 조립 밀폐형 박스
JP3149800U (ja) ダンボールパレット
KR200409759Y1 (ko)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CN110980022A (zh) 一种集装箱
CN106144288B (zh) 集装箱顶角件及具有其的台架式集装箱
CN219524973U (zh) 一种运输集装箱
KR20210000685U (ko) 곡물 적재함
KR200365606Y1 (ko) 화물 운반용 팔레트
CN210654624U (zh) 开顶式集装箱
CN217755080U (zh) 柱状货物运输集装箱
CN219008418U (zh) 一种防倾翻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