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404Y1 -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404Y1
KR200390404Y1 KR20-2005-0012805U KR20050012805U KR200390404Y1 KR 200390404 Y1 KR200390404 Y1 KR 200390404Y1 KR 20050012805 U KR20050012805 U KR 20050012805U KR 200390404 Y1 KR200390404 Y1 KR 200390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room
work
sho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근
Original Assignee
최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근 filed Critical 최대근
Priority to KR20-2005-0012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1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provided with means for moving workpieces into different working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및 엔진 조립용 철의장품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할 시에 철의장품을 전용 작업대상에 걸고 대차와 회전가능한 턴테이블 상에 투입하여 작업실(shot room)에서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숏-블라스트 시스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선박용 철의장품(4)을 도장작업 전에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하기 위한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1)을 구성하되, 이는 철의장품(4)을 걸 수 있도록 프레임(6)의 전후로 수개의 슬라이드행거(9)를 슬라이드파이프(10)상에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행거(9)의 단부에는 손잡이(9a)를 갖고, 프레임(6)의 상하로는 각각 훅(7)과 캐스트(8)를 설치한 작업대(2)와, 상기 작업대(2)가 안치될 수 있도록 상부베이스(11)와 숏-룸(5) 내부로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차륜(13)이 상부베이스(11) 하측으로 설치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정역 구동용 모터(14)가 설치되어 차륜(13)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대차(3)와, 상기 숏-룸(5)에는 상기 레일(12)과 연결되는 레일(15)이 설치되고 모터(16)에 의해 회전 구동이 가능한 턴테이블(17)과, 상기 숏-룸(5) 내부의 작업자위치(19)에서 전측 상하로 설치되는 집진장치(20)와, 상기 작업자위치(19) 후측 상부로 설치되는 터보팬(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숏-블라스트 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고, 비산 먼지의 효율적인 집진이 가능하며, 작업속도 및 안전도 향상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Rotation carriage type short-blast system}
본 고안은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선박용 철의장품 및 엔진 조립용 부품 등(이하 '철의장품'이라 통칭한다.)을 숏-블라스트(shot-blast) 작업을 행할 시에 철의장품을 전용 작업대상에 걸고 대차와 회전가능한 턴테이블 상에 투입하여 숏-룸(shot room)이라 칭하는 작업실에서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숏-블라스트 시스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선박용 철의장품 및 엔진 조립용 부품 등은 그 형상이 각양각색이며, 주로 숏-블라스트 작업은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코자 밀폐된 숏-룸 내부에서 앵글작업대 적치작업(지게차로 이동 및 뒤집어 작업) 등 30~40년 전의 수동형 밀폐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며, 환경개선과 능률제고에 상당히 후진성을 보이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규격화된 부품이면 당연히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능률적으로 생산에 임할 수 있으나, 선박 및 엔진용 철의장품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기존 방식대로 처리함이 업계 전체의 대세라 할 것이며, 저렴한 시설투자와 당연히 따라오는 환경개선 외면의 순환고리를 끊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날로 치열해져 가는 경쟁사회 구조상 환경개선, 공정개선, 기술개발 그 어느 것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 업계의 현실이다.
한편, 철의장품 도장작업 공정 중 하나인 숏-블라스트 작업을 할 시에는 숏-룸이 밀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업 시 비산 먼지로 인하여 시야구별이 어렵고 작업환경이 열악하다.
그리고 앵글작업대에 철의장품을 올려 놓은 후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호스를 이동하여 작업하므로 작업능률이 저조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여러 방향으로 숏 분사를 수행하므로 비산먼지가 회오리치는 현상이 발생하며 집진시설 규모만큼 먼지 흡착효율이 떨어져 문 개방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의장품을 앵글작업대에 적치하여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하므로 1차 완료 후 뒤집어가면서 2차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숏-블라스트 작업이 완료 후 철의장품을 인출코자 할 시에는 숏-룸의 문 개방 시간이 최소 30분 이상 1시간 정도 소요되므로 부분적 숏-블라스트 작업이 미처리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해결이 어렵고, 숏-블라스트 작업이 완성된 철의장품은 이동하여 도장작업에 들어가며 주로 노천식 자연건조방식으로 작업하므로 기후에 민감하고 우천 또는 고습 시 도장불량 확률이 높은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철의장품 숏-블라스트 작업 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숏-블라스트 작업 시 철의장품을 다수개 걸 수 있는 작업대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대를 안치하여 숏-룸으로 이송 후 회전하면서 숏-볼을 일정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 대차 및 턴테이블을 설치하고, 철의장품을 회전시켜 숏 처리 할 부위를 도출시키는 대신 작업자는 고정 위치에서 분사토록 하여 능률적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고, 내부 집진장치의 닥트 홀 방향으로 집중분사가 가능하므로 집진 닥트 홀 개수를 증가하여 분사먼지의 회오리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숏-블라스트 작업이 이루어지는 숏-룸의 문 개방 시간도 5~10분으로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숏-볼 비산방향이 일정하므로 작업 안전도가 탁월하며, 내부 먼지흡착이 우수하여 작업시야가 원활하며, 먼지 외부 누출이 미비하므로 부분 개방형이며, 일정 방향 분사방식이므로 내부 관찰용 출입문 제작 및 벽걸이 시계 설치도 가능한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레이 아웃이며, 도 2내지 4는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부재 중 하나인 작업대(2)의 정면도, 측면도,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부재 중 하나인 대차(3)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업상태 예시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선박 등의 철의장품(4)을 도색하기 위하여 행하는 숏-블라스트 작업에 사용되는 숏-블라스트 시스템(1)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철의장품(4)을 걸어서 숏-룸(5)으로 투입하기 위하여 작업대(2)와, 상기 작업대(2)를 이동하기 위한 대차(3)를 구비한다.
상기 작업대(2)는 개략 직사각형의 프레임(6) 상부에는 크레인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훅(hook; 7)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트(8)를 설치한다.
그리고 프레임(6) 내부는 작업자가 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로 비워두며, 전후 외측으로 수개의 철의장품(4)을 숏-블라스트 작업을 위해 걸 수 있도록 수개의 슬라이드행거(9)를 프레임(6) 전후로 고정된 슬라이드파이프(10)상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슬라이드행거(9)의 단부에는 손잡이(9a)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절 시에 사용토록 한다.
한편, 대차(3)는 숏-룸(5)으로 철의장품(4)을 작업대(2)에 걸어서 투입할 수 있도록 작업대(2)가 안치되는 상부베이스(11)와 숏-룸(5) 내부로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차륜(13)이 상부베이스(11) 하측으로 설치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정역 구동용 모터(14)가 설치되어 차륜(13)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숏-룸(5)에도 레일(12)과 연결되는 별도의 레일(15)을 설치하되, 상기 레일(15)은 모터(16)에 의해 회전 구동이 가능한 턴테이블(17)상에 설치한다. 도면중의 부호 18은 턴테이블(17) 하부에 설치되는 차륜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숏-룸(5) 내부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위치(19)에서 전측으로 대차(3)가 위치되어 숏-볼(shot ball)을 분사할 시에 전측으로는 상하로 집진장치(20)가 설치되며, 후측으로는 터보팬(turbo fan; 21)이 설치되어 에어를 숏-볼 분사방향으로 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존의 도장설비인 도장부스(22)와 건조오븐(23)과 연계시켜 연장 레일(24)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25는 철의장품(4)을 결속고정하기 위한 철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선박용 철의장품(4) 등을 숏-블라스트 작업을 수행할 시에 사용되는 시스템으로서,
우선 선박용 철의장품(4)은 그 형상이 각양각색이므로 숏-블라스트 작업을 위해서 본 고안의 작업대(2)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슬라이드행거(9)에 철사(25)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해당 위치에 맞게 걸어준다.
이때 슬라이드행거(9)는 작업대(2)를 구성하는 프레임(6) 전후로 고정된 슬라이드파이프(10)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9a)를 사용하여 슬라이드행거(9)를 전후로 슬라이드 위치조절시켜 철의장품(4)의 형상에 맞게 걸어주면 된다.
작업대(2)의 프레임(6) 전후로 철의장품(4)을 걸은 상태에서 크레인(미도시)을 프레임(6) 상부의 훅(7)에 걸어서 작업대(2)를 대차(3)를 구성하는 상부베이스(11)상에 안치시킨다.
도시한 예는 3개의 작업대(2)를 대차(3)에 적재시킬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대차(3)의 치수를 달리 설계할 경우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대차(3)에 작업대(2)가 적재되면 모터(14)를 가동시켜 대차(3)를 레일(12)을 따라 숏-룸(5)상으로 진입시킨다.
숏-룸(5)상에 설치된 턴테이블(17)상에 설치된 레일(15)은 전기한 레일(12)과 연결되므로 대차(3)가 턴테이블(17)상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숏-룸(5)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숏-블라스트 작업을 수행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위치(19)에서 작업자가 전측으로 위치되어 있는 작업대(2)상의 철의장품(4)에 숏-볼을 분사하면 숏-블라스트 작업이 수행되며, 작업 시에 발생한 분진은 숏-룸(5) 상하로 설치된 집진장치(20)를 통하여 집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숏-블라스트 작업 시 숏-룸(5) 후측으로는 터보팬(21)이 설치되어 있어서, 에어를 숏-볼 분사방향으로 강하게 공급하므로 작업자가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위치(19)에 비산되는 분진을 신속하게 집진장치(20) 쪽으로 송풍시켜 비산먼지로 인한 작업 위해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대차(3)상에 적재된 작업대(2)에 걸려 있는 철의장품(4) 작업의 일면이 완료되면 턴테이블(17) 구동용 모터(16)를 구동하여 대차(3)의 방향을 회전시켜 주면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철의장품(4)의 다른 면을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작업대(2)의 중간으로 작업자가 진입하여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턴테이블(17)을 회전시켜 숏-블라스트 작업이 완료되면, 차기 공정인 도장과 건조를 위하여 기존 도장부스(22)와 건조오븐(23)으로 연장 설치되는 레일(24)을 따라 대차(3)를 이동시켜 보다 신속한 도장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여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할 시 일정 방향으로 숏-볼을 분사하므로 집진장치(20)의 집진 홀을 증가시켜 비산되는 먼지 흡착률을 높일 수 있으며, 내부 먼지 잔류시간이 짧아져 숏-룸(5) 내부의 문개방 시간이 단축되어 숏-블라스트 처리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숏-룸(5) 외부에서 작업대(2)에 철의장품(4)을 걸어 숏-블라스트 작업에 대비하여 6세트를 1차아지(charge)로 구성하되, 3세트는 준비공정용이며, 나머지 3세트는 대차(3)에 장착되는 작업용으로 하여 이를 반복하면 매우 효율적인 숏-블라스트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1)은 선박용 철의장품(4)을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하고자 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철의장품(4)을 작업대(2) 상에 걸고 대차(3)상에 안치시켜 대차(3)를 턴테이블(17)을 사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작업자는 고정위치에서 숏-볼을 분사하여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하도록 하여 능률적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고,
숏-룸(5) 내부에 설치되는 집진장치(20)의 닥트 홀 방향으로 집중분사가 가능하므로 집진 닥트 홀 개수를 증가하여 분사먼지의 회오리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숏-룸(5)의 문 개방 시간도 5~10분 정도로 대폭 단축 가능하고, 숏-볼 비산방향이 일정하므로 작업 안전도가 탁월하며, 내부 먼지흡착이 우수하여 작업시야가 원활한 것이다.
그리고 작업 시 비산되는 먼지의 외부 누출이 미비하므로 부분 개방형이며, 일정 방향 분사방식이므로 내부 관찰용 출입문 제작 및 벽걸이 시계 설치도 가능한 이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또한 작업대(2)에 철의장품(4)을 걸어 대차(3) 위에 올려놓고 이송하면서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하도록 하여 전면 숏-블라스트 작업 후 대차(3)를 돌리면 후면부 숏-블라스트 작업도 가능하므로 철의장품(4)을 일일이 뒤집는 공정이 필요없고, 숏-블라스트 작업된 철의장품(4)을 도장부스(22)와 건조오븐(23)과 연계 설비하여 숏-블라스트 처리된 철의장품(4)도 오븐 처리가 가능하며 전천 후 도장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숏-블라스트 작업 후 오븐 처리가 가능하여 도장품질을 향상시키며, 도장 리드 타임 단축으로 긴급품 처리능력이 배가되므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철의장품도 숏-블라스트 작업 후 도장까지 일괄공정의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게 되어 면적 이용 효율이 높고, 다량의 물량을 기후에 의존하지 않고 적기에 처리 가능하므로 전반적인 제조원가 절감 효과가 주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의 전체 구성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레이 아웃
도 2는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부재 중 하나인 작업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부재 중 하나인 작업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부재 중 하나인 작업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부재 중 하나인 대차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숏-룸 내부에서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
하는 경우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2: 작업대
3: 대차 4: 철의장품
5: 숏-룸 6: 프레임
7: 훅 8: 캐스트
9: 슬라이드행거 9a: 손잡이
10: 슬라이드파이프 11: 상부베이스
12: 레일 13: 차륜
14: 모터 15: 레일
16: 모터 17: 턴테이블
18: 차륜 19: 작업자위치
20: 집진장치 21: 터보팬
22: 도장부스 23: 건조오븐

Claims (1)

  1. 선박용 철의장품(4)을 도장작업 전에 숏-블라스트 작업을 행하기 위한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철의장품(4)을 걸 수 있도록 프레임(6)의 전후로 수개의 슬라이드행거(9)를 슬라이드파이프(10)상에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행거(9)의 단부에는 손잡이(9a)를 갖고, 프레임(6)의 상하로는 각각 훅(7)과 캐스트(8)를 설치한 작업대(2)와,
    상기 작업대(2)가 안치될 수 있도록 상부베이스(11)와 숏-룸(5) 내부로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차륜(13)이 상부베이스(11) 하측으로 설치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정역 구동용 모터(14)가 설치되어 차륜(13)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대차(3)와,
    상기 숏-룸(5)에는 상기 레일(12)과 연결되는 레일(15)이 설치되고 모터(16)에 의해 회전 구동이 가능한 턴테이블(17)과,
    상기 숏-룸(5) 내부의 작업자위치(19)에서 전측 상하로 설치되는 집진장치(20)와, 상기 작업자위치(19)의 후측 상부에 터보팬(2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KR20-2005-0012805U 2005-05-06 2005-05-06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KR200390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05U KR200390404Y1 (ko) 2005-05-06 2005-05-06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05U KR200390404Y1 (ko) 2005-05-06 2005-05-06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404Y1 true KR200390404Y1 (ko) 2005-07-21

Family

ID=4369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805U KR200390404Y1 (ko) 2005-05-06 2005-05-06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4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764A (ko) * 2014-07-31 2017-04-07 제이코 에스.피.에이. 객체의 표면 처리를 위한 스테이션 및 플랜트
KR102118946B1 (ko) * 2020-02-11 2020-06-05 (주)광성이엔지 3층pe 및 에폭시 코팅시스템과 그를 이용해 제조된 코팅강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764A (ko) * 2014-07-31 2017-04-07 제이코 에스.피.에이. 객체의 표면 처리를 위한 스테이션 및 플랜트
KR20200040909A (ko) * 2014-07-31 2020-04-20 제이코 에스.피.에이. 객체의 표면 처리를 위한 스테이션 및 플랜트
KR102343623B1 (ko) * 2014-07-31 2021-12-27 제이코 에스.피.에이. 객체의 표면 처리를 위한 스테이션 및 플랜트
KR102366676B1 (ko) * 2014-07-31 2022-02-23 제이코 에스.피.에이. 객체의 표면 처리를 위한 스테이션 및 플랜트
US11440041B2 (en) 2014-07-31 2022-09-13 Geico S.P.A. Stations for treating motor-vehicle bodies and/or motor-vehicle components
KR102118946B1 (ko) * 2020-02-11 2020-06-05 (주)광성이엔지 3층pe 및 에폭시 코팅시스템과 그를 이용해 제조된 코팅강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16487A (zh) 金属支座产品自动化柔性生产线及生产方法
CN204800481U (zh) 一种子午线轮胎模具两半模具专用喷砂机
CN208018833U (zh) 一种喷涂生产线
CN109351524B (zh) 一种可转动的喷涂装置和喷涂生产线
CN106827203A (zh) 陶瓷旋转式全自动六工位喷釉机
CN108144917A (zh) 一种用于汽车喷涂前的吹灰设备
KR200390404Y1 (ko) 회전 대차식 숏-블라스트 시스템
CN108160376A (zh) 一种用于圆盘五金件喷漆的装置
CN112090626A (zh) 一种pvd无尘全自动喷涂生产线
CN110560297A (zh) 一种木板四面自动喷漆机器人
CN112774919A (zh) 一种木门喷漆设备的使用方法
CN110227688A (zh) 一种双工位激光清洗设备
CN108144784A (zh) 铸造镁合金产品喷漆处理装置
CN107029928A (zh) 用于大型风电产品的自动化机器人喷涂生产线
CN108654904A (zh) 一种笔记本电脑外壳喷涂装置
CN205272036U (zh) 一种侧壁式五轴机器人
CN108422330A (zh) 一种小型零件批量化自动喷砂装置
CN209317987U (zh) 轨道组件和喷涂生产线
CN116832992A (zh) 一种上料组件及竹制品的喷漆设备及其控制方法
CN109277243B (zh) 作业工位和喷涂生产线
CN205734485U (zh) 一种吸尘抛光机
CN211887552U (zh) 一种保温一体板喷涂设备
CN207929464U (zh) 铸造镁合金产品喷漆处理装置
CN209317989U (zh) 一种可转动的喷涂装置和喷涂生产线
CN208527174U (zh) 一种用于涂装车间的自动吹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