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988Y1 -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988Y1
KR200389988Y1 KR20-2005-0010312U KR20050010312U KR200389988Y1 KR 200389988 Y1 KR200389988 Y1 KR 200389988Y1 KR 20050010312 U KR20050010312 U KR 20050010312U KR 200389988 Y1 KR200389988 Y1 KR 200389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brake lining
groove
indicator member
confi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남
Original Assignee
조선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남 filed Critical 조선남
Priority to KR20-2005-0010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F16D66/021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 F16D66/02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indicating that a lining is worn to minimum allowable thickness
    • F16D66/023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indicating that a lining is worn to minimum allowable thickness directly sensing the position of braking members
    • F16D66/024Sensors mounted on braking members adapted to contact the brake disc or drum, e.g. wire loops severed on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브레이크패드의 교체 시기를 확인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는, 백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라이닝(300)의 마모한계(L)에 도달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확인홈(10)과; 상기 확인홈(10)에 삽설되며 하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에 상응하고 상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그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 단턱을 구비하는 비마모성 재질의 마모지시부재(40)와; 상기 확인홈(10)에 압입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싸며, 중앙부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62)가 형성된 하부몸체(61)와, 상기 하부몸체(6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에 지지되는 걸림턱(63)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캡(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BREAK LINING WEAR DETECTION DEVICE}
본 고안은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브레이크패드의 교체 시기를 확인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는 한쌍의 백플레이트(200)가 양 측면으로부터 디스크(10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양 백플레이트(200)의 내측에는 마모성 재질로 구성된 라이닝(30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200) 외측에는 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데, 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백플레이트(200)를 디스크(10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디스크(100)와 라이닝(300) 사이에 마찰접촉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자동차 바퀴의 제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닝(300)의 마모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운행중에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는 동안에 금속성 마찰음이 발생하면 라이닝(300)의 교체시기가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금속성 마찰음은 패드의 일측에 금속편(마모센서)을 부착함으로서 라이닝(300)이 일정한계 이상 마모되면 제동할 때마다 상기 금속편(마모센서)이 디스크(100)와 닿으면서 금속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간접적인 방법이므로 정확히 라이닝(300)의 마모정도를 확인할 수 없으며, 시내 도로와 같이 혼잡하고 소음이 많은 지역에서는 경고음의 인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금속음의 원인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라이닝(300)의 마모한계를 지나서도 계속 운행하게 되어 디스크(100)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브레이크의 작동시에만 확인이 가능함으로 자동차를 정지시켜 놓고 정비사나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라이닝 마모 확인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마모감지센서와 경보장치등을 구비한 브레이크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97-42811호에는 변위센서와 압력센서를 이용한 마모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전자식 마모감지 장치는 대부분 라이닝이 마모한계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거나 경고등을 점등시켜 라이닝의 교체시기를 알리게 되는데, 경고음 또는 경고등과 같은 경보장치가 차량 내부의 계기판등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경보장치의 작동을 위한 전극 및 구동회로 그리고 감지센서와 배선등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어왔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차량 휠이 개방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휠의 개방부를 통하여 백플레이트(200) 표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10-0436282 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66769 호 및 제 20-0369058 호에는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 20-0377132 호에 따른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모 확인장치는 백플레이트(200) 외측으로부터 라이닝(300)의 마모한계에 도달하는 정도의 깊이로 확인홈(10)을 형성하고, 저면에 밀폐 형성한 컵 형태의 홀더(20)를 구비하여 상기 홀더(20)를 상기 확인홈(10)의 마모한계 바닥면에 일체로 결합하고, 마개(30)의 다리부를 상기 홀더(20)의 저면 중앙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마모 장치의 경우,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되는 경우, 홀더(20)의 저면이 함께 마모되면서 마개(30)가 그 내부에 권취된 스프링(50)에 의한 탄성력으로 외부로 돌출 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행중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되면 상기 마개(30)가 분리/이탈될 가능성이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복잡한 전기접속 구조, 감지센서, 경보장치등의 부대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주행 차량에 방해를 주지 않아 안전운행을 보장하고, 육안으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는, 백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라이닝(300)의 마모한계(L)에 도달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확인홈(10)과; 상기 확인홈(10)에 삽설되며 하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에 상응하고 상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그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 단턱을 구비하는 비마모성 재질의 마모지시부재(40)와; 상기 확인홈(10)에 압입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싸며, 중앙부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62)가 형성된 하부몸체(61)와, 상기 하부몸체(6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에 지지되는 걸림턱(63)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캡(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 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도가 종단면도로서 도시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는 백플레이트(200) 외측에 형성된 확인홈(10), 마모지시부재(40), 스프링(50) 및 상부캡(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확인홈(10)은 백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200) 내측에 일체로 구비된 라이닝(300)의 마모한계(L)에 도달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확인홈(10)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도 있으나, 삼각형, 사각형등의 다각형으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확인홈(10)의 저면부는 후술하는 마모지시부재(40)의 저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다면 그 구체적 형상에는 제약이 없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인홈(10)의 저면부는 아래로 둥글게 함몰되거나, 마모지시부재(40)의 회전 또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확인홈의 저면부 형상은 설계변경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다.
상기 확인홈(10) 내에는 마모지시부재(40)가 삽입된다.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부분은 대체로 상기 확인홈(10)의 깊이의 2/3 정도의 깊이로 연장되는 다각 기둥(원기둥 포함) 형상을 가지며 그 직경은 상기 확인홈(1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하부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기둥 형상부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대체로 상기 확인홈(10)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및 하부는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부 및 하부 부분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므로 그 경계 영역에는 단턱이 구비된다. 상기 단턱은 후술하는 스프링(50)의 하부 스톱퍼로서 작용한다.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부분의 외주면에는 스프링(50)이 권취된다. 상기 스프링(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이닝의 마모에 따라 상기 마모지시부재(40)가 상방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 압축되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를 백플레이트(200)의 표면 레벨을 넘어 돌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마모지시부재(40)의 단턱상에 지지되고, 그 타단은 후술하는 상부캡(60)의 저면 둘레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마모지시부재(40)와 스프링(50)이 삽입된 확인홈(10) 최외측에는 상방으로부터 상부캡(60)이 압입된다. 상기 상부캡(6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61)와 걸림턱(6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61)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부분 윤곽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변경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수도 있는데 도면에서는 실시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구성이 도시된다. 상기 하부몸체(61)의 중앙부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부분이 통과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6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61)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몸체(61)의 말단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하게 동심적으로 연장되는 걸림턱(6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3)은 상부캡(60)이 확인홈(10)에 압입되는 경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에 걸리면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63)은 소정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확인홈(10)에 압입하는 경우 백플레이트(200) 표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백플레이트(200)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확인홈(10)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캡(60)의 걸림턱(63)의 두께에 상응하는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캡(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모지시부재(40) 외주면에 권취된 스프링(50)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 스톱퍼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마모지시부재(40)가 상승 운동하는 경우에도 상부캡(60)에 의해 마모지시부재(40)가 외부로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캡(60)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바람직하게는 백플레이트(200) 표면에 상부캡(60)의 두께에 상응하게 형성된 홈)과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용접, 나사식 결합, 압입 또는 접착결합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 의 좌측은 라이닝(300)이 마모되기 전의 마모 확인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우측에는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된 경우에 상기 확인장치가 라이닝(300)의 마모를 지시하는 작동 상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닝(300)이 마모한계(L) 미만으로 마모가 된 경우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단부가 백플레이트(200)의 표면 레벨과 동일한 높이 내지는 그 아래에 위치된다. 브레이크의 장기간 작동에 의해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되는 경우에는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가 상기 마모지시부재(40) 저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부분 외주면에 권취된 스프링(50)은 하방에서는 상기 단턱에, 그리고 상방에서는 상기 상부캡(60) 저면 외주면에 지지되면서 압축된다. 그러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단부는 상기 확인홈(10)으로부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 레벨을 넘어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상태는 운전자가 차량 휠의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에서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효과적인 육안 확인을 위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단부 표면은 청색으로, 그 외주면은 적색으로 채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마모전에는 청색을 확인함으로써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파악하고, 적색으로 채색된 부분이 돌출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라이닝(300)의 교체 시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캡(60)이 스프링(50)을 상방에서 지지함에 따라 상기 마모지시부재(40)는 확인홈(10)으로부터 돌출되기만 할 뿐 분리/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진행하는 차량에 방해를 주지 않게되어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4 에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모 확인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에는 높이가 서로 상이한 최소한 1 개의 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캡(60)의 개구부는 상기 돌기들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폐쇄된다. 이는 상기 라이닝(300)의 마모정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라이닝(300)의 마모에 따라 마모지시부재(4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최고 높이를 갖는 돌기가 먼저 돌출하게 되고,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높이순으로 순차적으로 돌기가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돌출된 돌기의 갯수 및 위치를 확인함에 따라 마모 정도를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기의 갯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대체로 3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순차적인 마모 정도 확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돌기의 상부면은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최고 높이를 갖는 돌기의 상면은 황색으로, 중간 높이를 갖는 돌기의 상면은 주황색으로, 최소 높이를 갖는 돌기의 상면은 적색으로 채색함으로써 마모 정도를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황색 및 주황색은 라이닝을 조만간 교체해야 할 것이라는 예비적인 경보로서 작용하고, 적색은 즉각적인 교체를 알리는 기능을 한다.
도 5 에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모 확인장치가 도시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하부 부분에 볼베어링(45)이 삽입된다. 볼베어링(45)의 삽입을 위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저면에는 상기 볼베어링(45) 표면 형상에 상응하게 위로 오목하게 만곡된 홈을 구비하며 상기 볼베어링(45)은 상기 홈과 확인홈(10)의 저면부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볼베어링(45)은 확인홈(10)의 저면과 점접촉을 형성하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작아 디스크(100) 표면에 가해지는 부하가 적으므로 디스크(1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은힘으로도 상기 마모지시부재(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작동 관계는 볼베어링(45)을 구비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전체 작동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에는 본 고안의 제 4 및 제 5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부캡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캡(60)의 개구부(62) 상단은 덮개부(64)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덮개부(64)의 직경은 상기 개구부(62)의 직경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그 일단은 탄성편(66)에 의해, 그 타단은 연결편(65)에 의해 상기 상부캡(60)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편(65)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소정의 힘을 가하는 경우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용이한 파손을 위해 상기 연결편(65)에 파쇄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편(66)은 고유 텐션을 보유하고 있어 상기 연결편(65)이 파손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64)를 상방으로 튀어 올라가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 에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상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모지시부재(40)는 상기 연결편(65)에 상응하는 부분이 위로 뾰족한 첨단을 구비하도록 경사지게 절단된다. 따라서, 상기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가 상승하는 경우 마모지시부재(40)의 뾰족한 첨단이 상기 연결편(65)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편(65)은 파손된다. 연결편(65)이 파손되면, 상기 덮개부(64)는 타측에 형성된 탄성편(66)에 의해 상방으로 튀어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덮개부(64)가 상방으로 튀어 올라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브레이크패드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저면부 형상은 편평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저면부 형상이 둥글게 만곡된 경우 마모지시부재(40)가 확인홈(10)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첨단부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모 확인장치의 다른 부분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에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상부캡(60)의 덮개부(64)는 탄성편(66)과 연결된 측의 높이가 상기 연결편(65)과 연결된 측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은 아래로 볼록하게 함몰되어 마치 분화구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마모지시부재(4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편(65)과 접촉되는 첨단부가 마모지시부재(40) 상부 둘레 전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어떠한 회전 위치에서도 연결편(65)의 파손이 가능하며, 상기 덮개부(64)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첨단부는 상기 연결편(65)에만 접촉되어 가압하므로, 연결편(65)의 파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4 및 제 5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64)는 청색, 녹색 또는 황색으로 채색되고 마모지시부재는 적색으로 채색되어 라이닝의 마모 확인을 더욱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는,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되는 경우 디스크(100)가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저면 또는 볼베어링(45)의 저면을 밀어줌에 의한 상승 운동으로 마모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상기 마모지시부재(40) 및 볼베어링(45)은 비마모성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도 9 에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10 에는 그 작동 상태도가 단면도로서 도시된다. 상기 제 6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는, 백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부터 라이닝(300)의 마모한계(L)에 도달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확인홈(10)과; 상기 확인홈(10)에 삽설되며 하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에 상응하고 상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백플레이트(200)의 표면 레벨 위로 돌출되며, 그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 단턱을 구비하는 마모성 재질의 마모지시부재(40)와;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며 상기 단턱상에 지지되는 스프링(50)과; 상기 확인홈(10)에 압입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50)의 상부 스톱퍼로서 작용하고 중앙부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62)가 형성된 하부몸체(61)와, 상기 하부몸체(6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에 지지되는 걸림턱(63)으로 구성되는 상부캡(60); 을 포함하며, 상기 백플레이트(200) 표면의 확인홈(10) 외측에는 상기 백플레이트(200) 표면 돌출부(7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72)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72)의 타측 말단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외주면에 지지되며, 상기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가 하강하는 경우, 탄성부재(72)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판(7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 일측에는 돌출부(7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70)에는 탄성부재(72)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72)의 말단부에는 슬라이딩판(74)이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돌출부(70)와 슬라이딩판(74)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판(74)의 타단은 마모지시부재(40)의 외주면 일측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슬라이딩판(74) 측면의 표면상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슬라이딩판(74) 측면에 홈을 파서 압축 삽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70), 탄성부재(72), 슬라이딩판(74) 및 마모지시부재(40)는 일직선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슬라이딩판(74)이 직선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상기 마모지시부재(40)는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마모지시부재(40)와는 달리 상기 확인홈(10)으로부터 상기 백플레이트(200) 표면 레벨을 넘어 돌출되도록 더 길게 형성된다.
도 10 에는 이러한 구성이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 및 볼베어링(45)이 마모성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닝(300)이 마찰한계 이상으로 마모되는 경우, 디스크(100)가 볼베어링(45)의 저면과 접촉하게되고, 이러한 접촉을 통하여 마모지시부재(40) 또는 볼베어링(45)이 마모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마모지시부재(40)는 확인홈(10) 속에서 하강한다.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이 상기 백플레이트(200) 표면 레벨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마모지시부재(40) 상부 외주면에 지지되던 슬라이딩판(74)은 상기 탄성부재(72)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지면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 및 확인홈(10)을 폐쇄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슬라이딩판(74)이 확인홈(10)을 완전히 덮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함에 의해 라이닝(300)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육안 확인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은 청색으로 채색되고, 상기 슬라이딩판(74)은 적색으로 채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라이닝(300)의 교체시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마모지시부재(40)의 청색으로 채색된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교체시기에 도달한 경우에는, 청색 부분이 가려지고, 슬라이딩판(74)의 적색으로 채색된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200) 표면에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캡(60), 슬라이딩판(74), 탄성부재(72) 및 돌출부(70)의 보호를 위해 이들 구성요소들을 덮는 상부덮개(8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청색으로 채색된 부분과 슬라이딩판(74)의 적색으로 채색된 부분의 육안 확인을 위해 상기 상부덮개(80)는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70)와 확인홈(10) 외측 사이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상부덮개(80) 부분은 탄성부재(72)와 돌출부(70)가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에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제 7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나,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에 최소한 1 개의 계단식 단턱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상기 단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턱들중 최하단 단턱의 상부면은 녹색으로, 중간 단턱의 상부면은 황색으로, 최상단 단턱의 상부면은 주황색으로 채색되며, 상기 슬라이딩판(74)는 적색으로 채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첫번째 단턱에 상기 슬라이딩판(74)에 걸리고, 라이닝(300)의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더 높은 단턱들에 상기 슬라이딩판(74)이 걸려 지지되며, 최종적으로 브레이크패드의 교체시기에 도달하면 상기 슬라이딩판(74)이 상기 확인홈(10)과 마모지시부재(40)를 완전히 덮는다. 상기와 같은 색상의 변화를 통하여 운전자는 라이닝(300)의 마모 정도를 순차적으로 알 수 있게된다.
도 12 에는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동일하지만, 상기 돌출부(70), 슬라이딩판(74) 및 마모지시부재(40)가 직선적으로 위치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판(74)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측면으로 편향되어 지지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도 9 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미만으로 마모된 경우,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돌출부(70)로부터 마모지시부재(40)의 대체로 접선방향으로 편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슬라이딩판(74)은 상기 접선의 마모지시부재(40)와의 접점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슬라이딩판(74)이 원호를 그리며 슬라이딩되도록 만곡된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되는 경우, 상기 마모지시부재(40)는 확인홈(10) 속에서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판(74)은 마모지시부재(40) 외측에 더이상 지지되지 못하고 상기 탄성부재(72)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돌출부(70)를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며 슬라이딩되어 백플레이트(200) 표면 외부로 이탈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슬라이딩판(74)의 위치의 변동을 통하여 브레이크패드의 교체 시기를 가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는, 복잡한 전기접속 구조, 감지센서, 경보장치등의 부대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주행 차량에 방해를 주지 않아 안전운행을 보장하며, 운전자가 육안으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비소 등에서도 휠을 분해하지 않고 브레이크패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제 4 및 제 5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상부캡의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사시도,
도 10 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 는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확인홈 20 : 홀더
30 : 마개 40 : 마모지시부재
45 : 볼베어링 50 : 스프링
60 : 상부캡 61 : 하부몸체
62 : 개구부 63 : 걸림턱
64 : 덮개부 65 : 연결편
66 : 탄성편 70 : 돌출부
72 : 탄성부재 74 : 슬라이딩판
80 : 상부덮개 100 : 디스크
200 : 백플레이트 300 : 라이닝

Claims (20)

  1. 백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라이닝(300)의 마모한계(L)에 도달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확인홈(10)과;
    상기 확인홈(10)에 삽설되며 하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에 상응하고 상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그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 단턱을 구비하는 비마모성 재질의 마모지시부재(40)와;
    상기 확인홈(10)에 압입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싸며, 중앙부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62)가 형성된 하부몸체(61)와, 상기 하부몸체(6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에 지지되는 걸림턱(63)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캡(60)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이 권취되며, 상기 스프링은 하방에서 상기 단턱상에 지지되고, 상방에서는 상기 상부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과 그 외주면은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에는 높이가 서로 상이한 최소한 1 개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캡의 개구부는 상기 돌기들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에는 높이가 서로 상이한 3 개의 돌기를 구비하고, 각 돌기들의 상면은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홈(10)의 저면은 둥글게 함몰되고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하부면은 상기 확인홈(10)의 저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하부면은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하부면과 상기 확인홈(10)의 저면 사이에는 비마모성 재질인 볼베어링(4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60) 개구부(62)는 덮개부(64)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덮개부(64)의 일측은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파손가능한 연결편(65)에 의해 상기 상부캡(60)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64)의 타측은 탄성편(66)에 의해 상부캡(6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은 상기 연결편(65)의 위치에 상응하는 부분에 뾰족한 첨단부를 구비하도록 경사지게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64)는 탄성편(66)과 연결된 측의 높이가 상기 연결편(65)과 연결된 측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은 아래로 볼록하게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11. 백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부터 라이닝(300)의 마모한계(L)에 도달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확인홈(10)과;
    상기 확인홈(10)에 삽설되며 하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에 상응하고 상부는 상기 확인홈(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백플레이트(200)의 표면 레벨 위로 돌출되며, 그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 단턱을 구비하는 마모성 재질의 마모지시부재(40)와;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며 상기 단턱상에 지지되는 스프링(50)과;
    상기 확인홈(10)에 압입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50)의 상부 스톱퍼로서 작용하고 중앙부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62)가 형성된 하부몸체(61)와, 상기 하부몸체(6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200)의 표면에 지지되는 걸림턱(63)으로 구성되는 상부캡(60)을 포함하며;
    상기 백플레이트(200) 표면의 확인홈(10) 외측에는 상기 백플레이트(200) 표면 돌출부(7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72)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72)의 타측 말단에는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 외주면에 지지되며, 상기 라이닝(300)이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가 하강하는 경우, 탄성부재(72)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판(74)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하부면은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하부면과 상기 확인홈(10)의 저면 사이에는 마모성 재질의 볼베어링(4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0), 탄성부재(72), 슬라이딩판(74) 및 마모지시부재(40)는 직선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마모지시부재(4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판이 직선 이동하여 확인홈(10)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과, 슬라이딩판(74)은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은 최소한 1 개 이상의 계단식 단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지시부재(40)의 상부면은 3 개의 계단식 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단턱들 및 상기 슬라이딩판(74)은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
  17.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74)은 상기 돌출부(70)로부터 마모지시부재(40)의 접선방향으로 편향되어 마모지시부재(40)와의 접점에 지지되며, 상기 마모지시부재(40)가 하강하는 경우, 탄성부재(72)에 의해 상기 돌출부(70)를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며 슬라이딩되어 백플레이트 표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72)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200) 표면에는 상기 상부캡(60), 슬라이딩판(74), 탄성스프링(72) 및 돌출부(70)를 덮는 투명재질의 상부덮개(8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0)와 확인홈(10) 외측 사이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상부덮개(80) 부분은 불투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KR20-2005-0010312U 2005-04-12 2005-04-12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KR200389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312U KR200389988Y1 (ko) 2005-04-12 2005-04-12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312U KR200389988Y1 (ko) 2005-04-12 2005-04-12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848A Division KR100584698B1 (ko) 2005-03-25 2005-03-25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988Y1 true KR200389988Y1 (ko) 2005-07-14

Family

ID=4369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312U KR200389988Y1 (ko) 2005-04-12 2005-04-12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98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98B1 (ko) * 2008-07-11 2009-05-07 뉴텍알에스아이(주) 철도차량용 프릭션 블록
KR101231049B1 (ko) * 2010-09-15 2013-02-07 주식회사 프릭사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CN106241637A (zh) * 2015-11-09 2016-12-21 大冶市星云机电科技研究所 厢式电梯制动装置
CN106241638A (zh) * 2015-11-09 2016-12-21 大冶市星云机电科技研究所 一种厢式电梯制动装置
CN117782668A (zh) * 2024-02-26 2024-03-29 长沙中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粉碎机疲劳循环试验装置及试验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98B1 (ko) * 2008-07-11 2009-05-07 뉴텍알에스아이(주) 철도차량용 프릭션 블록
KR101231049B1 (ko) * 2010-09-15 2013-02-07 주식회사 프릭사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CN106241637A (zh) * 2015-11-09 2016-12-21 大冶市星云机电科技研究所 厢式电梯制动装置
CN106241638A (zh) * 2015-11-09 2016-12-21 大冶市星云机电科技研究所 一种厢式电梯制动装置
CN117782668A (zh) * 2024-02-26 2024-03-29 长沙中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粉碎机疲劳循环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17782668B (zh) * 2024-02-26 2024-05-10 长沙中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粉碎机疲劳循环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698B1 (ko)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KR200389988Y1 (ko)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확인 장치
US4016533A (en) Device for warning of excessive wear on a brake lining
CN109838481B (zh) 夹钳引导组件
US5833033A (en) Wear detector for brake pads
JP2003028216A (ja) 制動片の摩耗検知プローブ
KR20130093933A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측정장치
US20050077122A1 (en) Clip on electronic lining wear sensor
KR200377132Y1 (ko)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
EP1978273A2 (en) Wear indicator
US20160327111A1 (en) Disc Brake for a Commercial Vehicle
KR200369058Y1 (ko)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
KR20020007141A (ko) 라이닝 마모 한계 표시장치를 갖는 브레이크 장치
KR200374988Y1 (ko)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
KR100326515B1 (ko) 브레이크라이닝의 마모감지장치
KR200366769Y1 (ko)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
KR200374985Y1 (ko)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확인장치
KR20060054636A (ko)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감지 장치
JPS6021330Y2 (ja) 液面検知装置付液槽
JPS6322328Y2 (ko)
KR0156358B1 (ko) 브레이크 패드 마모 경보장치
KR200404356Y1 (ko) 돌기부가 형성된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심.
JPH0124442Y2 (ko)
KR0163695B1 (ko) 계기장치용 블랙 페이스 바이져의 절첩구조
CN107310539B (zh) 一种吸附式固定的防油门误踩安全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