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839Y1 -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839Y1
KR200389839Y1 KR20-2005-0010272U KR20050010272U KR200389839Y1 KR 200389839 Y1 KR200389839 Y1 KR 200389839Y1 KR 20050010272 U KR20050010272 U KR 20050010272U KR 200389839 Y1 KR200389839 Y1 KR 200389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witch
industrial vehicle
rear lamp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래
Original Assignee
이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래 filed Critical 이병래
Priority to KR20-2005-0010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차량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용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전후진레버; 전후진레버에 연결되어 전후진레버의 후진 상태 설정시 닫힌 상태가 되는 후진스위치; 전방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전방램프스위치; 후진스위치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그 일단이 전방램프스위치의 후단에 연결되는 릴레이; 및 릴레이의 타단에 연결되며 후진스위치와 전방램프스위치가 닫힌 상태일 때 점등되는 후방램프를 구비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전후진레버의 조작만으로 후진램프가 자동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램프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후방램프가 필요없는 전방 작업시 후방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며, 후방램프가 전후진레버의 조작만으로 자동 점멸되도록 하여 차량의 운전에 집중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뿐만 아니라, 전방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후방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야간작업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HE REAR LAMP IN A INDUSTRIAL VEHICLE}
본 고안은 산업용 차량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점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조명장치가 설치된 산업용 차량의 전체 외관도이며, 도 2는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산업용차량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전후진레버(10)가 있고, 야간의 전방작업을 위한 전방램프(50)와, 후방작업을 위한 후방램프(6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는 크게 램프점멸장치(B)와 후방주변장치(A)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램프점멸장치(B)와 후방주변장치(A)에 대한 회로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각 장치의 동작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램프점멸장치(B)는 전방램프(50)를 점멸하기 위한 전방램프스위치(30)와 후방램프(60)를 점멸하기 위한 후방램프스위치(40)로 구성되어 있고, 각 스위치(30, 40)는 분리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각 램프(50, 60)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해 각각의 스위치(30, 40)를 조작해야 한다.
한편, 후방주변장치(A)는 전후진레버(10)에 연결되고 전후진레버(10)의 후진 상태 설정시 닫힌 상태가 되는 후진스위치(20)와, 이 후진스위치(20)의 일단에 연결되며 후진스위치(20)로부터의 전력을 후진경고등(Back Lamp, 80)과 후진혼(Back Horn, 90)에 전달하는 릴레이(7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진경고등(80)과 후진혼(90)은 릴레이(70)의 극(70A)에 의해 릴레이(70)와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에서는, 야간 작업시 운전자가 산업용 차량의 운전과 동시에 별도의 스위치(30, 40) 조작을 수행하여 램프(50, 60)를 점멸시켜야 하므로 램프(50, 60) 조작이 불편하고, 산업용 차량의 작업에 집중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된다.
또한, 산업용차량은 특성상 전방 작업이 주류를 이루므로 후방램프(60)를 항상 점등된 상태로 두는 것은 전력의 낭비가 될 수 있으나, 산업용 차량의 종래의 조명장치는 스위치(40) 조작이 불편하여 후방램프(60)가 필요없는 전방 작업시에도 후방램프(60)를 소등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전후진레버의 조작만으로 후진램프가 자동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방램프가 필요없는 전방 작업시 후방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전후진레버의 후진 상태 설정시 전방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후방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야간작업시 전방시야를 확보하는 한편,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은 산업용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전후진레버; 전후진레버에 연결되어 전후진레버의 후진 상태 설정시 닫힌 상태가 되는 후진스위치; 전방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전방램프스위치; 후진스위치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그 일단이 전방램프스위치의 후단에 연결되는 릴레이; 및 릴레이의 타단에 연결되며 후진스위치와 전방램프스위치가 닫힌 상태일 때 점등되는 후방램프를 구비한다.
이로써,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전후진레버의 조작만으로 후진램프가 자동으로 점멸되고, 특히 전방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후방램프가 점등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은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와 동일하게 램프점멸장치와 후방주변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은, 릴레이(70)에 후진경고등(80)과 후진혼(90)이 연결된 제1극(70A) 외에, 제2극(70B)이 추가로 구성되어 추가된 제2극(70B)의 일단은 다이오드(75)를 통해 전방램프스위치(3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방램프(60)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와는 차이가 있다.
즉, 본 고안의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은 전후진레버(10) 및 전방램프(50)의 동작과 후방램프(60)의 동작이 연동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본 고안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방램프스위치(30)가 닫혀 전방램프(50)가 점등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전후진레버(10)를 후진 상태로 설정하면 후진스위치(20)가 닫힌다. 후진스위치(20)가 닫히면, 릴레이(70)가 작동하여 전방램프(50)가 점등된 상태로 후방램프스위치(40)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후방램프(60)가 점등된다.
또한, 차량의 전진을 위해 운전자가 전후진레버(10)를 전진상태로 설정하면 후진스위치(20)가 열리게 되고, 이에 의하여 후방램프스위치(40)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후방램프(60)가 소등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는 후진스위치(20)의 동작과 후방램프(60)의 점멸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운전자는 산업용 차량의 운전과 동시에 별도의 스위치(40) 조작을 통해 후방램프(60)를 점멸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에 의하면 후방램프(60) 제어를 위한 후방램프스위치(40)의 조작이 별도로 필요없게 되어, 운전자의 램프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후진레버를 후진 상태로 설정시 전방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후방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야간작업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본 고안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권리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동 업계에 종사하는 자에 의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명백히 한다.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전후진레버의 조작만으로 후진램프가 자동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램프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을 사용하면, 후방램프가 필요없는 전방 작업시 후방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을 사용하면, 후방램프가 전후진레버의 조작만으로 자동 점멸되므로 산업용 차량의 운전에 집중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산업용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을 사용하면, 전후진레버를 후진 상태로 설정시 전방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후방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야간작업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조명장치가 설치된 산업용 차량의 전체 외관도.
도 2는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에 대한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후진레버 20 : 후진스위치
30 : 전방램프스위치 40 : 후방램프스위치
50 : 전방램프 60 : 후방램프
70 : 릴레이 75 : 다이오드
80 :후진경고등 90 :후진혼
A : 후방주변장치 B : 램프점멸장치

Claims (2)

  1. 산업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전후진레버;
    상기 전후진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후진레버의 후진 상태 설정시 닫힌 상태가 되는 후진스위치;
    전방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전방램프스위치;
    상기 후진스위치에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그 일단이 상기 전방램프스위치의 후단에 연결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후진스위치와 상기 전방램프스위치가 닫힌 상태일 때 점등되는 후방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릴레이 방향으로의 일방향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전방램프스위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KR20-2005-0010272U 2005-04-14 2005-04-14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KR200389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272U KR200389839Y1 (ko) 2005-04-14 2005-04-14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272U KR200389839Y1 (ko) 2005-04-14 2005-04-14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839Y1 true KR200389839Y1 (ko) 2005-07-14

Family

ID=4369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272U KR200389839Y1 (ko) 2005-04-14 2005-04-14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8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7947A (zh) * 2018-10-29 2019-02-12 中车太原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工程车标志灯监控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7947A (zh) * 2018-10-29 2019-02-12 中车太原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工程车标志灯监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839Y1 (ko) 산업용 차량의 후방램프 자동점멸시스템
KR100831345B1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200277833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점등시스템
KR100350899B1 (ko) 자동차의 후진등화장치
JP2016104622A (ja) 車両用ハザード装置
KR100364591B1 (ko) 차량의 정지등 단선시 미등 작동 제어 장치
KR100581832B1 (ko) 안개등 연동형 미등이 장착된 차량
KR200400097Y1 (ko) 자동차용 유턴 표시 장치와 그 구동 장치
KR200352271Y1 (ko) 자동차의 미등 켜짐 경보장치
KR200324296Y1 (ko) 차량용 비상점멸등 제어기
KR200300407Y1 (ko) 차량용 방향지시램프장치
KR970006285Y1 (ko) 방향지시등 점등회로
KR0145496B1 (ko) 자동차의 방향 변경 지시 장치
KR200250455Y1 (ko) 안개등작동시스템
KR200412581Y1 (ko) 차량의 비상등 제어장치
KR200415539Y1 (ko) 차량의 비상등 제어장치
KR20050098983A (ko) 자동차 오토라이트 시스템
KR200272547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스위치 구조
KR0123489Y1 (ko) 자동차용 방향표시등 장치
KR200213505Y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자동 점멸장치
KR100696043B1 (ko) 차량용 비상 스위치 구조
JP2006143163A (ja) 方向指示器操作スイッチを用いた非常点滅表示灯制御装置
KR19980035595U (ko) 차량 방향지시등
KR20000010511U (ko) 차량의 후진 안전장치
KR19980057803A (ko) 차량용 다기능 정지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