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570Y1 - 통합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통합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570Y1
KR200389570Y1 KR20-2005-0010277U KR20050010277U KR200389570Y1 KR 200389570 Y1 KR200389570 Y1 KR 200389570Y1 KR 20050010277 U KR20050010277 U KR 20050010277U KR 200389570 Y1 KR200389570 Y1 KR 200389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lan
connection port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준
Original Assignee
최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준 filed Critical 최현준
Priority to KR20-2005-0010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5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는, 외부의 전원 플러그, 전화 커넥터, 랜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접속구가 구비된 입력 콘센트와;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구와, 전화선 접속구, 랜선 접속구가 구비된 출력 콘센트와; 상기 입력 콘센트와 출력 콘센트를 연결하도록 전선, 전화선, 랜선이 통합되어 이루어진 통합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각종 전자 및 전기 기기의 배선 연결 구조가 간단해짐과 아울러 배선 정리 작업이 용이해지고, 주변 물품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배선 연결 구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을 보다 깔끔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통합 멀티 콘센트{Combined multi-concent}
본 고안은 여러 개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배선은 물론 전화선과 랜선도 함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합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콘센트는 하나의 전기 공급 배선으로부터 여러 전기 제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 연결 기구이다.
이와 같은 멀티 콘센트는 하나의 입력 플러그에 다수의 접속구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접속구에 전원 공급을 원하는 전기 및 전자 제품들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하게 된다.
멀티 콘센트는 통상 접속구가 2 개로 이루어진 것으로부터 4 또는 5개까지 구비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 콘센트는 전기 배선 즉, 전원 공급만을 위해서 구성되므로, 전화선이나 랜선 등은 배선 연결 기구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무실의 경우에는 각각의 책상에 컴퓨터, 전화기 등이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이 경우에 전원 공급을 위한 멀티 콘센트, 인터넷 및 네트워크 사용을 위한 랜선, 전화 사용을 위한 전화선이 각각 따로 따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책상 주변에 여러 선들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므로 사무실 주변 환경을 깨끗하지 못하게 되고, 많은 선들을 깔끔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 정리용 와이어 또는 홀더 등을 사용해야 하므로, 배선 정리 작업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선들이 흩어져 있을 경우에 책상 주변의 청소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 중 배선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져 보다 안정적인 배선 연결 구조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 배선과 함께 랜선과 전화선을 하나로 통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책상 주변 환경을 보다 깨끗하게 하고, 배선 정리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는, 외부의 전원 플러그, 전화 커넥터, 랜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접속구가 구비된 입력 콘센트와;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구와, 전화선 접속구, 랜선 접속구가 구비된 출력 콘센트와; 상기 입력 콘센트와 출력 콘센트를 연결하도록 전선, 전화선, 랜선이 통합되어 이루어진 통합 배선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콘센트에는 외부의 전원 접속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전원 플러그가 연결된다.
상기 출력 콘센트에는 입력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ON/OFF 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출력 콘센트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콘센트는 일측면에 복수의 전원 접속구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하나의 전원 접속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는, 크게 입력 콘센트(10), 출력 콘센트(20), 통합 배선(30), 전원 플러그(40)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 콘센트(10)는 외부로부터 전원, 전화, 랜 등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외부의 전원 플러그, 전화 커넥터, 랜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접속구(12,13,14)가 구비된다.
상기 출력 콘센트(20)는 실제 사용자가 책상 등에 구비된 전기, 전자 제품이나, 전화 또는 컴퓨터 등의 전선, 전화선, 랜선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구(22,22')와, 전화선 접속구(23), 랜선 접속구(24)가 구비된다.
상기 통합 배선(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콘센트(10)와 출력 콘센트(2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하나의 피복 부재(31) 내에 전선(32), 전화선(33), 랜선(34)이 모두 내재되어 연결된다.
상기 전원 플러그(40)는 상기 입력 콘센트(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다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구에 연결하여 전원을 제공하거나, 전원이 공급되는 다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폭 부재(42) 내에 전선(43)만 구비된 전기 배선(41)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에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입력 콘센트(10)와 출력 콘센트(2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의 입력 콘센트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c) 내부 구성도, (d)는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콘센트(10)는 콘센트 하우징(11) 내에 전선, 전화선, 랜선의 회로들이 각각 구비되어 배치되고, 내부에서 외부로는 전원 접속구(12)와, 전화선 접속구(13), 랜선 접속구(14)가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콘센트 하우징(11)의 양쪽에는 상기 전원 플러그(40)와 연결되는 전기 배선(41)과, 상기 출력 콘센트(20)에 연결되는 통합 배선(30)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양측면에는 홀을 가진 고정 플랜지(15)가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입력 콘센트(10)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하나씩의 접속구(12,13,14)를 갖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 그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의 출력 콘센트(20)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c) 내부 구성도, (d)는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콘센트(20)는 콘센트 하우징(22) 내에 전선, 전화선, 랜선의 회로들이 각각 구비되어 배치되고, 내부에서 외부로는 5개의 전원 접속구(22,22')와, 하나의 전화선 접속구(23) 및 랜선 접속구(2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전원 접속구(22.22')는 상기 콘센트 하우징(2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구가 구비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센트 하우징(21)의 상면에 4개의 전원 접속구(22)가 구비되고, 뒷면에 하나의 전원 접속구(22')가 구비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뒷면의 전원 접속구(22')는 상기 출력 콘센트(20)를 책상에 구비된 콘센트 장착용 홀에 고정하여 설치한 경우에 책상 하부에 위치되는 전기 기기에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 콘센트(20)에는 상기 전선 회로의 중간에 위치되어 입력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ON/OFF 스위치(25)가 구비된다. 또한 양측면에는 책상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플랜지(26)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의 사용 상태를 도 6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통합 멀티 콘센트의 기본 연결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통합 멀티 콘센트를 이용하여 책상에 배치한 상태의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통합 멀티 콘센트를 이용하여 책상에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콘센트(10)에는 다른 책상의 콘센트나 외부와 연결된 전원 플러그(51), 전화 커넥터(52), 랜 커넥터(53)가 연결된다.
상기 출력 콘센트(20)는 사용자의 책상 뒤쪽, 옆쪽, 위쪽 등에 배치시켜 놓고 컴퓨터, 전화, 기타 전기 기기들의 전원 플러그, 전화 커넥터, 랜 커넥터들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전원 플러그(40)는 다른 사용자의 책상에 위치되는 콘센트로 연결된다.
참고로, 전화선과 랜선은 전화 단자함이나 랜 허브 등으로부터 각각 분배되어 연결되므로, 전기 배선(41)만 사용자의 입력 콘센트(10)에서 다른 사용자의 입력 콘센트로 연결되고, 전화선(55)과 랜선(56)은 별도의 할당 라인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연결된다.
다음,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기본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책상에 배치된 상태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60)의 뒤쪽에는 외부 또는 다른 사용자의 콘센트로부터 연결되는 전기 배선(41), 전화선(55), 랜선(56)을 정리하는 배선 홀더(7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 홀더(7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전선((75) 등이 통과하도록 절단면이 상부가 개방된 'b'자 형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책상(60)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71)가 형성된다.
또한 도 7과 도 8에서는 상기 책상 다리(61)의 측면에 상기 배선 홀더(70)를 통해 연결된 배선들의 전원 플러그(51), 전화 커넥터(52), 랜 커넥터(53)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콘센트(10)가 장착되고, 책상의 상부(62)에는 상기 입력 콘센트(10)와 통합 배선(30)으로 연결된 출력 콘센트(20)가 위치된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출력 콘센트(20)는 도 8에서와 같이 전원 접속구(22)에 모니터(81) 및 컴퓨터 본체(83)의 전원 플러그(81')(83')가 각각 접속되어 연결되고, 랜선 접속구(24)에 컴퓨터 본체(83)로부터 랜 커넥터(84)가 연결되며, 전화선 접속구(23)에 전화기(85)로부터 전화 커넥터(86)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입력 커넥터(10)가 책상의 다리(61) 쪽에 장착되고, 출력 커넥터(20)가 책상 상면(62)에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통합 멀티 커넥터의 하나의 설치 구조를 예시하기 위해 설명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입력 커넥터(10)는 책상이 위치되는 바닥이나 벽면 등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출력 커넥터(20)도 책상의 옆면, 뒷면, 밑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책상은 본 고안의 통합 멀티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필요 위치에 콘센트 설치용 구멍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는, 전기 배선, 랜선, 전화선들을 하나의 콘센트에 통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각종 전자 및 전기 기기의 배선 연결 구조가 간단해짐과 아울러 배선 정리 작업이 용이해지고, 주변 물품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배선 연결 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통합 멀티 콘센트를 사무실의 책상 주변 등에 설치할 경우에 전기 배선, 랜선, 전화선 등이 통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보다 깔끔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출력 콘센트는 뒷면에도 전원 접속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콘센트가 책상에 설치된 경우에 책상 밑부분 등 다른 부분의 전기 연결 장치에도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의 입력 콘센트가 도시된 도면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의 출력 콘센트가 도시된 도면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의 기본 연결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를 이용하여 책상에 배치한 상태의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멀티 콘센트를 이용하여 책상에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 콘센트 12 : 전원 접속구
13 : 전화선 접속구 14 : 랜선 접속구
15 : 고정 플랜지 20 : 출력 콘센트
22 : 전원 접속구 23 : 전화선 접속구
24 : 랜선 접속구 25 : ON/OFF 스위치
30 : 통합 배선 31 : 피복 부재
32 : 전선 33 : 전화선
34 : 랜선 40 : 전원 플러그
41 : 전기 배선 42 : 피복 부재
43 : 전선 60 : 책상
70 : 배선 홀더

Claims (5)

  1. 외부의 전원 플러그, 전화 커넥터, 랜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접속구가 구비된 입력 콘센트와;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구와, 전화선 접속구, 랜선 접속구가 구비된 출력 콘센트와;
    상기 입력 콘센트와 출력 콘센트를 연결하도록 전선, 전화선, 랜선이 통합되어 이루어진 통합 배선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멀티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콘센트에는 외부의 전원 접속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전원 플러그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멀티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콘센트에는 입력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ON/OFF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멀티 콘센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콘센트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접속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멀티 콘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콘센트는 일측면에 복수의 전원 접속구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하나의 전원 접속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멀티 콘센트.
KR20-2005-0010277U 2005-04-14 2005-04-14 통합 멀티 콘센트 KR200389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277U KR200389570Y1 (ko) 2005-04-14 2005-04-14 통합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277U KR200389570Y1 (ko) 2005-04-14 2005-04-14 통합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570Y1 true KR200389570Y1 (ko) 2005-07-14

Family

ID=4369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277U KR200389570Y1 (ko) 2005-04-14 2005-04-14 통합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5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417B2 (en) Circuit selectable receptacle
JP2010501110A (ja) 光電プラグおよびコンセント
US4950840A (en) Wall recess cable connector permitting simplified innerconnection and limiting protruding cables
US5318454A (en) Off-module bus electrical system (C-13)
US7544076B2 (en) Circuit selectable receptacle
US8702447B2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KR101200287B1 (ko) 멀티탭
JPH07264107A (ja) 電力線通信モデム
KR200389570Y1 (ko) 통합 멀티 콘센트
GB2422056A (en) Back box having terminals for cable connection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JP4564637B2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KR20090011216U (ko) 전선 길이 연장이 용이한 플러그 분리형 멀티 콘센트
KR200340010Y1 (ko) 콘센트 설비 장치
KR200417489Y1 (ko) 멀티콘센트
KR200303780Y1 (ko) 보빈콘센트가 내장된 배선정리함
JP2573456B2 (ja) 屋内配線システム
KR200343601Y1 (ko) 복수의 콘센트 소켓을 가지는 멀티탭
KR20030017447A (ko)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접속장치가 구비된 모니터
KR200209889Y1 (ko) 배선덕트가 구비된 책상용 이중 콘센트
KR200299285Y1 (ko) 콘센트
KR200360200Y1 (ko) 전기와 전화를 동시에 연결시키는 플러그와 콘센트
KR200304077Y1 (ko) 멀티탭
JP3047746U (ja) 電気コード中継ぎコンセント
KR200267081Y1 (ko) 전선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