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923Y1 - 침구용 패드 - Google Patents

침구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923Y1
KR200388923Y1 KR20-2005-0009397U KR20050009397U KR200388923Y1 KR 200388923 Y1 KR200388923 Y1 KR 200388923Y1 KR 20050009397 U KR20050009397 U KR 20050009397U KR 200388923 Y1 KR200388923 Y1 KR 200388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d
bedding
sponge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김경신
Original Assignee
김정기
김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기, 김경신 filed Critical 김정기
Priority to KR20-2005-0009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feathers, down or similar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5/00Resilient upholstery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8Quilting;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구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침구용 패드를 만들기 위해 두겹의 직물원단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를 넣고 등간격으로 점용착시키는 고주파가열접착으로 다양한 박음질형태의 누빔효과를 갖도록 한 침구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즉, 침대용 패드에 있어서,
두겹의 직물원단(12)(12')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로된 패딩부재(14)를 넣고 이를 가로및 세로 또는 다양한 문양을 고주파가열에 의한 등간격의 점용착(16)을 하여 용착부분의 패딩부재(14)는 직물원단(12)(12')에 용융함침되고 두겹의 직물원단(12)(12')이 서로 접착된 구성으로 박음질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패드이다.

Description

침구용 패드{pad of bedclothes}
본 고안은 침구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침구용 패드를 만들기 위해 두겹의 직물원단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를 넣고 등간격으로 점용착시키는 고주파가열접착으로 다양한 박음질형태의 누빔효과를 갖도록 한 침구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구용 패드는 두겹의 직물원단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를 넣은 다음 줄누비기나 퀼팅머시인을 이용하여 가로및 세로로 누비는 박음질을 하여 침구용 패드의 형태안정성을 갖도록 하면서 부풀린 형태의 입체감과 쿠션성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박음질에 의한 누비수단으로 이루어진 침구용 패드는 재봉사부분이 단조로워 다양성을 꾀할수 없었고 사용과정에서의 마찰등에 의해 쉽게 절사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재봉사봉착부분이 느슨해지면서 형태변형이 되고 일체감이 좋지 않는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침구용 패드는 두겹의 직물원단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로된 패딩부재를 넣은 다음 등간격의 점용착에 의해 박음질형태를 갖도록 한 수단으로 다양하고 형태안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깔끔한 누빔효과를 갖는 침구용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침구용 패드는 두겹의 직물원단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로된 패딩부재를 넣고 이를 가로및 세로 또는 다양한 문양을 이루도록 등간격의 점용착을 하는 고주파가열접착으로 두겹의 직물원단이 서로 접착되어 박음질 형태를 갖도록 한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가장 자리부분은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두겹의 직물원단(12)(12')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로된 패딩부재(14)를 넣은 다음 등간격으로 점용착(16)되는 고주파가열접착을 하되 가로및 세로 또는 다양한 무늬를 이루는 등간격의 점용착(16)을 하여 침구용 패드(1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점용착(16)시에 용착부분의 솜 또는 스폰지로된 패딩부재(14)는 용융되어 서로 대향된 직물원단(12)(12')에 스며들어 함침되는 수단에 의해 관통구멍을 이루면서 직물원단(12)(12')을 일체로 용융접착된 상태의 침구용 패드(1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침구용 패드(10)는 두겹의 직물원단(12)(12')사이에 패딩부재(14)를 넣은 상태에서 등간격으로 점용착(16)된 부분에 의해 형태안정성과 쿠션성을 함께 갖는 박음질 형태의 누빔기능을 하게 된다.
즉, 두겹의 직물원단(12)(12')사이에 있는 솜 또는 스폰지로된 패딩부재(14)는 고주파가열에 의해 용착부분이 용융되어 직물원단(12)(12')에 각각 스며드는 함침수단으로 서로 대향된 직물원단(12)(12')이 긴밀한 접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직물원단(12)(12')과 패딩부재(14)가 일체감을 갖는 형태를 갖고 용착되지 않은 부분은 부풀린상태의 쿠션을 갖게 된다.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구성수단을 베개커버및 요커버등에도 적용하여 사용할수 있는 것이므로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침구용 패드는 두겹의 직물원단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로된 패딩부재를 넣은다음 등간격으로 점용착시키는 고주파가열접착으로 형태안정성과 쿠션성을 갖는 다양한 박음질형태의 누빔효과를 나타내면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깔끔한 제품을 갖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전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구용 패드 12,12' : 직물원단
14 : 패딩부재 16 : 점용착

Claims (1)

  1. 침대용 패드에 있어서,
    두겹의 직물원단(12)(12')사이에 솜 또는 스폰지로된 패딩부재(14)를 넣고 이를 가로및 세로 또는 다양한 문양을 고주파가열에 의한 등간격의 점용착(16)을 하여 용착부분의 패딩부재(14)는 직물원단(12)(12')에 용융함침되고 두겹의 직물원단(12)(12')이 서로 접착된 구성으로 박음질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패드
KR20-2005-0009397U 2005-04-06 2005-04-06 침구용 패드 KR200388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97U KR200388923Y1 (ko) 2005-04-06 2005-04-06 침구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97U KR200388923Y1 (ko) 2005-04-06 2005-04-06 침구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923Y1 true KR200388923Y1 (ko) 2005-07-07

Family

ID=4369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97U KR200388923Y1 (ko) 2005-04-06 2005-04-06 침구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9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76B1 (ko) 2011-10-28 2012-07-31 김인현 입체 모형을 갖는 침구류 및 이를 이용한 침구류의 제조방법
KR20160106277A (ko) *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휴베딩 침구용 누빔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76B1 (ko) 2011-10-28 2012-07-31 김인현 입체 모형을 갖는 침구류 및 이를 이용한 침구류의 제조방법
KR20160106277A (ko) *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휴베딩 침구용 누빔원단의 제조방법
KR101676270B1 (ko) * 2015-03-02 2016-11-15 주식회사휴베딩 침구용 누빔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0623B2 (en) Weighted article
US11452383B2 (en) Mattress with crowned panel
US5902757A (en) Stitch bonded fabric and fluid-retaining fabric made therewith
US20150135435A1 (en) Multilayer-type comfor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2003202239B2 (en) Quilt-stitched internal mattress pillows
US20070294803A1 (en) Cycling shorts and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KR200388923Y1 (ko) 침구용 패드
US20190014918A1 (en) Liquid barrier furniture protector with welded quilting
JP2018166881A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およびシューズ
US20070197988A1 (en) CPM pad with fiber filling
CN104921509A (zh) 一种磁性竹炭床垫及其制作方法
KR20080066330A (ko) 알레르겐의 침입이 방지된 침구류
JP2020185224A (ja) マットレス用ボックスシーツ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7911Y1 (ko) 누비직물의 테두리단 및 테두리단 봉재장치
KR200231372Y1 (ko) 봉합에 의해 옥을 부착한 옥돌 매트
JP2003250677A (ja) 掛け布団
JP5225616B2 (ja) 編地製袋体
JP3103626U (ja) 寝具
JP2005143567A (ja) 多層式の敷布団、敷パッド又はベッド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6688844B2 (ja) 敷き布団の製造方法
KR200389617Y1 (ko) 쿠션
JP3097602U (ja) 寝具
KR20170004130U (ko) 구스 다운 이불
JP2009197376A (ja) 布地及び被服
JP7193983B2 (ja) 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