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385Y1 - 다방향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다방향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385Y1
KR200388385Y1 KR20-2005-0008857U KR20050008857U KR200388385Y1 KR 200388385 Y1 KR200388385 Y1 KR 200388385Y1 KR 20050008857 U KR20050008857 U KR 20050008857U KR 200388385 Y1 KR200388385 Y1 KR 200388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se
contacts
stem
switch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승호
Original Assignee
금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승호 filed Critical 금승호
Priority to KR20-2005-0008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다방향으로 조작이 이루어지는 다방향 스위치 구조가 개시된다.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 구조는 복수 개의 접촉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착됨에 따라 스위치의 크기가 크게 될 뿐만 아니라 조작성 및 필링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접촉단자(21)(22)(23)(24)(25)가 형성된 케이스(20)와, 상기 접촉단자(21)(22)(23)(24)(25)의 상측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콘택(31)(32)(33)(34) 및 상기 콘택(31)(32)(33)(34)의 상측에 위치되는 스템(50) 및 무브 스템(60)과, 그리고 상기 케이스(20)의 상측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70)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31)(32)(33)(34)의 상측 중앙에는 중앙콘택(35)이 중첩하여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콘택 및 중앙콘택이 중첩되어 설치됨으로써 스위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조작성 및 필링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다방향 스위치 구조{Structure of multi-way switch}
본 고안은 다방향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택판을 중첩시켜 설치함으로써 스위치를 콤팩트화 함과 아울러 조작성 및 필링성을 향상시킨 다방향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접촉단자(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접촉단자(11)에는 각각 접촉판(12)이 안착되고, 이 접촉판(12)의 상측에는 상기 각 접촉판(12)을 작동시키기 위한 콘택터(13)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는 커버(14)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콘택터(13)를 각 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각 접촉판(12) 및 접촉단자(11)의 접촉에 의해 다방향으로의 조작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방향 스위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접촉판에 의해 전체의 크기가 크게 될 뿐만 아니라 조작성 및 필링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의 크기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조작성 및 필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다방향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 구조는, 복수 개의 접촉단자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접촉단자의 상측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콘택 및 상기 콘택의 상측에 위치되는 스템 및 무브 스템과,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의 상측 중앙에는 중앙콘택이 중첩하여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콘택 및 중앙콘택이 중첩되어 설치됨으로써 스위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조작성 및 필링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 구조를 도시한 전체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 구조의 분해사시도로서, 케이스(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접촉단자(21)(22)(23)(24)(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단자(21)(22)(23)(24)(25)의 상측에는 콘택(31)(32)(33)(34)이 안착되고, 이 콘택(31)(32)(33)(34)의 중앙에는 중앙콘택(35)이 안착된다.
상기 중앙콘택(35)의 직경은 콘택(31)(32)(33)(3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의 상측에는 가이드부재(40)가 결합되고, 상기 중앙콘택(35)의 상측에는 스템(50)이 안착되며, 상기 스템(50)에는 무브 스템(60)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0)의 상측에는 커버(7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7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무브 스템(60) 및 스템(50)이 관통되는 관통구멍(71)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판(7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판(72)에는 케이스(20)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6)가 삽입되는 절개부(73)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상기 케이스(20)의 저면에 절곡되어 고정되는 절곡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 구조는 케이스(20)의 내측에 형성된 접촉단자(21)(22)(23)(24)의 상측에 각각 콘택(31)(32)(33)(34)을 안착시키고, 이 콘택(31)(32)(33)(34)의 중앙에 중앙콘택(35)을 안착시킨 후 가이드부재(40)를 케이스(20)의 상측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콘택(31)(32)(33)(34) 및 중앙콘택(35)을 안착시키기 전에 결합 할 수도 있고, 안착시킨 후에 결합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부재(40)는 내측에 안착된 콘택(31)(32)(33)(34) 및 중앙콘택(35)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앙콘택(35)의 상측에는 스템(50) 및 무브 스템(60)을 결합하여 안착하고 그 상측에 커버(70)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70)는 절곡판(72)에 형성된 절개부(73)가 케이스(20)에 형성된 걸림돌기(26)와 결합되어 결합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특히 상기 절곡판(72)의 선단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74)가 케이스(20)의 저면에 절곡되어 결합됨으로써 더욱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는 회로기판 등의 마운팅되어 휴대폰, PM3 플레이어 등에 적용되는데, 스템(50)의 조작에 따라 다방향으로의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50)을 "가"방향으로 조작하면 터미널(a)와 (b)가 온되고, 상기 스템(50)을 "나"방향으로 조작하면 터미널(b)와 (c)가 온되고, 상기 스템(50)을 "다"방향으로 조작하면 터미널(b)와 (F)가 온되고, 상기 스템(50)을 "라"방향으로 조작하면 터미널(b)와 (f)가 온되며, 상기 스템(50)을 횡방향 또는 중앙에서 누름 조작하면 터미널(b)와 (e)가 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콘택 및 중앙콘택이 중첩되어 설치됨으로써 스위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조작성 및 필링성이 향상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 구조에서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 구조의 단자를 도시한 배선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 구조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케이스 21,22,23,24,25: 접촉단자
31,32,33,34: 콘택 35: 중앙콘택
40: 가이드부재 50: 스템
60: 무브 스템 70: 커버
72: 절곡판 74: 절곡부

Claims (3)

  1. 복수 개의 접촉단자(21)(22)(23)(24)(25)가 형성된 케이스(20)와, 상기 접촉단자(21)(22)(23)(24)(25)의 상측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콘택(31)(32)(33)(34) 및 상기 콘택(31)(32)(33)(34)의 상측에 위치되는 스템(50) 및 무브 스템(60)과, 그리고 상기 케이스(20)의 상측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70)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31)(32)(33)(34)의 상측 중앙에는 중앙콘택(35)이 중첩하여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는 양측에 절곡판(72)이 형성되고, 이 절곡판(72)의 하단에는 케이스(20)의 저면에 절곡되는 절곡부(7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상측에는 가이드부재(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구조.
KR20-2005-0008857U 2005-03-31 2005-03-31 다방향 스위치 구조 KR200388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57U KR200388385Y1 (ko) 2005-03-31 2005-03-31 다방향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57U KR200388385Y1 (ko) 2005-03-31 2005-03-31 다방향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385Y1 true KR200388385Y1 (ko) 2005-06-29

Family

ID=4368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57U KR200388385Y1 (ko) 2005-03-31 2005-03-31 다방향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3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242B1 (ko) 슬라이드 조작식 스위치
JP3120137U (ja) 電気コネクタ
US8207465B2 (en) Key switch unit
CN100437866C (zh) 复合开关装置
JP2006164711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4220835A (en)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JP3875438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6605786B2 (en) Electrical switch single sliding/rotary actuator
US5952634A (en) Drip-proof tactile push button switch
KR200388385Y1 (ko) 다방향 스위치 구조
JP2002075129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302751A (ja) パワーウインドウ用スイッチ装置
KR200319349Y1 (ko) 다방향 택트 스위치
KR200224291Y1 (ko) 다방향 스위치
JP4633567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5166333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7200738A (ja) 押釦スイッチ
JP2009043743A (ja) 押釦スイッチ
JP2005327598A (ja) スイッチの作動機構
JP2004139997A (ja) 押釦スイッチ
WO2012008086A1 (ja) キースイッチ構造
JP2001243855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4235054A (ja) 多接点入力装置
JP2003346605A (ja) オン‐オフスイッチ及びそれによるデュアルインライン実装
KR20060083792A (ko) 텍트스위치의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