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355Y1 -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355Y1
KR200387355Y1 KR20-2005-0006366U KR20050006366U KR200387355Y1 KR 200387355 Y1 KR200387355 Y1 KR 200387355Y1 KR 20050006366 U KR20050006366 U KR 20050006366U KR 200387355 Y1 KR200387355 Y1 KR 200387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glass door
main housing
pin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순
Original Assignee
박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순 filed Critical 박균순
Priority to KR20-2005-0006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3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강화유리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강화유리문의 실외측에 장착될 수 있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키실린더가 장착된 메인 하우징과, 메인하우징 내의 작동요소 수용공간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키실린더에 삽입된 키의 회전에 연동되게 장착된 간섭편에 간섭되게 중앙에 간섭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과, 피니언이 삽입될 수 있는 장공상에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피니언의 회전에 연동되어 메인 하우징에 내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메인 하우징에 형성된 입출홀을 통해 진퇴되는 록킹로드 및 강화유리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강화유리문의 실내측에 장착될 수 있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강화유리문이 일정깊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메인하우징과 결합된 내측 브라켓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메인 하우징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lock for tempered glass door}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단순화된 강화유리 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강화유리문은 강화유리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가 설치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문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상에 문틀의 상부 및 하부와 잠금작용을 할 수 있는 간이형 잠금장치가 설치된 것도 있으나, 잠금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강화유리의 손잡이 부분의 관통공을 이용하여 강화유리에 직접 체결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양방향 조작 구조와 단방향 조작구조로 대별될 수 있다.
양방향 잠금장치는 통상적으로 실외측에 노출된 키실린더와 실내측에 노출된 노브 각각이 사용자의 키 또는 노브의 조작에 의해 록킹로드가 입출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단방향 잠금장치는 실외측에서만 키로 조작할 수 있게 된 것으로서 하우징내에 록킹로드가 키의 회전에 따라 진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단방향 잠금장치는 키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간섭편과 연동되게 결합되면 호형궤적으로 회동되는 회동편이 록킹로드와 결합된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슬라이더 상부에서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어 각 작동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의 폭이 충분히 확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동편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결합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록킹로드를 진퇴시키기 위한 구조가 단순하면서 작동요소 수용공간의 폭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의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는 강화유리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강화유리문의 실외측에 장착될 수 있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키실린더가 장착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작동요소 수용공간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키실린더에 삽입된 키의 회전에 연동되게 장착된 간섭편에 간섭되게 중앙에 간섭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이 삽입될 수 있는 장공상에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내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형성된 입출홀을 통해 진퇴되는 록킹로드; 및 상기 강화유리문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강화유리문의 실내측에 장착될 수 있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화유리문이 일정깊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상기 메인하우징과 결합된 내측 브라켓트;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가 강화유리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잠금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측 브라켓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잠금장치(100)는 메인하우징(110), 내측 브라켓트(140), 키실린더(150), 피니언(160), 슬라이더(170), 록킹로드(180)를 구비한다.
메인 하우징(110)은 내측 브라켓트(140)와 결합되어 강화 유리문(200)의 관통홀(245)을 통해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110)은 키실린더(150)에 삽입된 키(159)의 회전에 따라 록킹로드(180)를 진퇴시킬 수 있게 작동요소들이 내장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110)은 작동요소 수용부(112)와 결합부(115)로 구분할 수 있다.
작동요소 수용부(112)는 키실린더(150), 피니언(160), 슬라이더(170) 및 록킹로드(180)가 장착 및 수용될 수 있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15)는 작용요소 수용부(112)로부터 연장되어 강화유리문(200)의 손잡이(240) 결합용 관통홀(245)과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11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내측 브라켓트(140)는 메인하우징(110)과 결합된 상태에서 강화유리문(200)이 일정깊이 삽입되어 강화유리문(200)의 실내 및 실외측에서 밀착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면 된다.
즉, 내측 브라켓트(140)는 메인하우징(110)과 결합된 상태에서 강화유리문(200)의 개방단이 되는 측면, 전면 및 배면을 에워싸 강화유리문(200)에 일정깊이 삽입될 수 있게 'ㄷ'자형 홈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면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내측 브라켓트(140)는 메인하우징(110)의 작동요소 수용부(112)의 내부공간을 폐쇄시키는 커버부분(141)과, 커버부분(141)으로부터 절곡되어 강화유리(23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연장된 가로막이 부분(142)과, 가로막이 부분(142)으로부터 메인하우징(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강화유리문(200)의 손잡이(240) 결합용 관통홀(245)과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144)이 형성된 결합부(143)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커버부분(141)은 메인 하우징(121)의 작동요소 수용부(122)의 내부 공간을 나사(137)에 의해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내측브라켓트(140)의 커버부분(141) 및 결합부(143)의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접촉층(121)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층(121)은 강화유리문(200)의 강화유리(230)에 삽입된 홀더(220)가 일정깊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수용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210은 홀더(220)의 전면 결합홈에 끼움결합된 것으로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된 안전패드이다.
접촉층(121)은 탄성을 갖는 가요성 소재 예를 들면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촉층(121)의 구조에 의하면 강화유리문(200)의 강화유리(230)에 안전패드(210)가 삽입된 홀더(220)가 장착되어 있어도 홀더(220)의 돌출두께를 접촉층(121)에 형성된 수용홈(121a)에 의해 강화유리(230) 및 홀더(220)와 대응되게 상호 밀착될 수 있어 결합성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안전패드(210)가 장착되지 않는 강화유리문(200)의 경우 접촉층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키실린더(150)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키실린더 수용홈(117)에 삽입되어 메인 하우징(110)과 나사(13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키실린더(150)에는 키(159)의 조작에 대응되어 회동될 수 있는 간섭편(158)이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간섭편(158)은 판형 바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니언(160)은 키실린더(150)를 수용하는 키실린더 수용홈(117)의 배면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안착턱(118)에 의해 형성된 안착홈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키실린더(150)의 간섭편(158)이 일정길이 삽입될 수 있는 간섭홀(161)과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162)를 갖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피니언(160)의 간섭홀(161)에는 키실린더(150)의 간섭편(158)의 회전궤도 내로 진입되게 돌출되되 간섭편(158)과의 간섭해제부분을 일정각도 범위로 갖게 형성된 두개의 간섭돌기(161a)가 형성되어 있다. 두개의 간섭 돌기(161a) 사이영역은 간섭편(158)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간섭편의 회동궤도 보다 큰 호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니언(160)의 구조에 의하면 키(159)의 회전에 연동되는 키실린더(150)의 간섭편(158)의 회전시 회전방향 전방에 간섭돌기(161a)가 접촉되면 간섭편(158)에 연동되어 피니언(160)이 회동되고, 간섭편(158)의 회전시 회전방향 후방에 간섭돌기(161a)가 위치되면 간섭편(158)의 전방에 간섭돌기(161a)가 접촉될 때까지는 피니언(160)과 간섭편(158) 상호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간섭편(158)의 회동시 피니언(160)과의 비간섭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 항상 간섭편(158)의 회동에 연동되도록 피니언(160)의 중앙에 간섭편(158)의 외형에 대응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게 사각형 홈이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니언(160)은 랙기어(173)가 형성된 슬라이더(170)와 기어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170)는 사각 플레이트(171)의 중앙부분에 피니언(160)이 삽입될 수 있게 장공(172)이 형성되어 있고, 장공(172)의 상부 내측면에 랙기어(173)가 일정길이 형성되어 있다.
사각 플레이트(171)는 작동요소 수용부(112)내에 형성된 측면 및 저면 가이드벽체(114a)(114b) 내에 구속되어 진퇴될 수 있게 장착된다. 여기서 저면 가이드벽체(114b)는 측면 가이드벽체(114a) 보다 낮게 형성되어 사각 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하며 참조부호 114c는 저면 가이드벽체(114a)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각 플레이트의 진출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이다.
슬라이더(170)의 배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로드(180)와 결합하기 위한 반원형 결합홈(174)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 로드(18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 슬라이더(170)의 반원형 결합홈(174)과의 결합용 홈(181)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13은 메인하우징(110)에 형성된 것으로 록킹로드(180)가 입출되는 입출홀이다.
이러한 메인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요소들은 키실린더(150)에 삽입된 키(159)의 회전에 따라 간섭편(158), 피니언(160)이 연동되어 회전되고, 피니언(160)의 회전에 따라 간섭되어 직선이동되는 슬라이더(170)에 의해 록킹로드(180)가 진퇴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잠금장치(100)에 적용되는 키실린더(150)는 록킹로드(180)가 잠금위치까지 도달되게 키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키락상태를 유지하면서 키를 인출할 수 있고, 록킹로드(180)가 잠금해제까지 후퇴되게 키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키락상태를 유지하면서 키를 인출할 수 있도록 잠금 및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키의 회전방향 각각에서 키의 취출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키(159)의 취출가능 위치는 록킹로드(180)가 전진된 잠금위치 및 잠금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록킹로드의 후퇴 위치로 결정된다.
이러한 키실린더(150) 및 키 구조는 공지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 즉, 록킹로드(180)가 메인하우징(110)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잠금조작을 하는 경우 키(159)를 키실린더(150)에 삽입하고 록킹로드(180)가 메인하우징(1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키(159)를 돌리면 간섭편(158)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피니언(160)이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슬라이더(170)의 이동에 따라 록킹로드(180)가 인출된다. 이 후 키(159)를 취출하면 된다.
한편, 록킹로드(180)가 메인하우징(131)으로부터 인출되어 잠금상태에 도달된 이후, 키(159)를 그 상태에서 인출하면, 키락상태에 의해 간섭편(158)도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결과 록킹로드(185)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의 인위적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잠금장치의 구조에서 키실린더(150)의 간섭편(158)의 회동조작에 따라 록킹로드(180)를 진퇴시키기 위한 요소인 슬라이더(170)와 피니언(160)을 동일높이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하우징(1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메인 하우징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가 강화유리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잠금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측 브라켓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슬라이더와 록킹로드를 부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메인하우징 150: 키실리니더
160: 피니언 170: 슬라이더
173: 랙기어

Claims (1)

  1. 강화유리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강화유리문의 실외측에 장착될 수 있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키실린더가 장착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작동요소 수용공간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키실린더에 삽입된 키의 회전에 연동되게 장착된 간섭편에 간섭되게 중앙에 간섭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이 삽입될 수 있는 장공상에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내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형성된 입출홀을 통해 진퇴되는 록킹로드; 및
    상기 강화유리문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강화유리문의 실내측에 장착될 수 있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화유리문이 일정깊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상기 메인하우징과 결합된 내측 브라켓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2005-0006366U 2005-03-09 2005-03-09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387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366U KR200387355Y1 (ko) 2005-03-09 2005-03-09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366U KR200387355Y1 (ko) 2005-03-09 2005-03-09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355Y1 true KR200387355Y1 (ko) 2005-06-17

Family

ID=4368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366U KR200387355Y1 (ko) 2005-03-09 2005-03-09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35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54B1 (ko) 2005-09-01 2007-05-18 백상현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100801690B1 (ko) 2007-01-31 2008-02-11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밀림 방지장치
KR100832119B1 (ko) 2006-11-23 2008-05-27 남정호 강화유리 도어록의 밀림 방지장치
KR100832120B1 (ko) 2006-11-23 2008-05-27 남정호 강화유리 도어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54B1 (ko) 2005-09-01 2007-05-18 백상현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100832119B1 (ko) 2006-11-23 2008-05-27 남정호 강화유리 도어록의 밀림 방지장치
KR100832120B1 (ko) 2006-11-23 2008-05-27 남정호 강화유리 도어록
KR100801690B1 (ko) 2007-01-31 2008-02-11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밀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532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TWI591247B (zh) 具有手把轉動方向控制之多點門鎖系統
KR200387355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1011262B1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JP4823874B2 (ja) 電気錠
JP2007016550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JP4467471B2 (ja) 収納具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KR100628482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389199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JP5349280B2 (ja) 引戸の施錠装置
KR101585661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KR100860400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16910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0660195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382724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0660194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US20100050707A1 (en) Frameless glass door lock
JP2008138487A (ja) 引き違い戸用錠
RU2475614C2 (ru) Врезной замок с зубчатым элементом разблокирования запорного ригеля
US20200399931A1 (en) Lock
JP2008208524A (ja) 建具用ロック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開閉体錠
KR100637913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