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199Y1 -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199Y1
KR200389199Y1 KR20-2005-0009391U KR20050009391U KR200389199Y1 KR 200389199 Y1 KR200389199 Y1 KR 200389199Y1 KR 20050009391 U KR20050009391 U KR 20050009391U KR 200389199 Y1 KR200389199 Y1 KR 200389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housing
interference
tempered glas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순
Original Assignee
박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순 filed Critical 박균순
Priority to KR20-2005-0009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1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강화유리문의 실외측에 밀착 결합되는 키실린더가 설치된 실외 하우징과, 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게 키실린더와 결합된 간섭편과, 간섭편에 간섭되어 회전되는 제1회전기어와, 제1회전기어와 연동되게 기어가 양측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를 구비하는 실외작동부와, 강화유리문의 실내측에 밀착 결합되는 실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실내 조작부재와, 실내 조작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록킹로드가 입출될 수 있게 설치된 록킹부와, 실내 조작부재의 회전에 연동되게 설치된 제2회전기어와, 제2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게 기어가 양측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를 구비하는 실내 작동부와, 실내 하우징과 실외하우징 상호간을 상기 강화유리문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폭으로 이격되게 결합된 가로막이 부재와, 가로막이부재를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핀과,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가 연동되어 승하강 될 수 있게 회동핀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섹터기어를 갖는 작동 중계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실내작동부와 실외 작동부 상호간의 작동을 중계하기 위해 가로막이부재를 통해 설치되는 요소가 회동에 동작되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강제적 잠금해제가 어렵고, 실내측의 노브 하우징도 강화유리문 쪽으로 밀지 않으면 겉돌림되어 잠금해제가 되지 않아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lock for tempered glass door}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성과 작동에러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강화유리 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강화유리문은 강화유리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가 설치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문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상에 문틀의 상부 및 하부와 잠금작용을 할 수 있는 간이형 잠금장치가 설치된 것도 있으나, 잠금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강화유리의 손잡이 부분의 관통공을 이용하여 강화유리에 직접 체결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통상적으로 실외측에 노출된 키실린더와 실내측에 노출된 노브 각각이 사용자에 의한 키 또는 노브의 조작에 의해 록킹로드가 입출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91672호에는 키 실린더에 삽입된 키와 노브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록킹로드가 진퇴되도록 랙과 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작동부재(400)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가이드편(130)내에 형성된 가이드홀(131)을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작동부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에서 보조기구를 삽입하여 작동부재를 수직상으로 승하강 시킴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방범상의 취약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강화유리문 사이에 부주의로 인해 손가락이 끼였을 때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강화유리의 개방단 측면에 플렉서블한 안전패드가 삽입된 홀더를 더 장착한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강화유리문에 상기 잠금장치가 장착된 경우 플렉서블한 안전패드에 의해 강화유리문 사이의 틈을 더욱 강제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어 작동부재를 쉽게 승하강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강화유리문에 장착된 경우 플렉서블한 안전패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손가락 삽입이 충분이 가능한 정도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기 때문에 강화유리문 사이의 틈을 더욱 강제적으로 확장시키는 경우 실내측에 장착된 잠금장치의 노브를 손가락 또는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방범상의 취약점도 안고 있다.
본 고안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외측에서의 강제적 잠금상태의 해제가능성을 억제시키고 작동에러를 줄일 수 있는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는 강화유리문의 실외측에 밀착 결합되는 실외 하우징에 설치된 키실린더와, 상기 키실린더에 삽입된 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게 상기 키실린더와 결합된 간섭편과, 상기 간섭편에 간섭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제1회전기어와, 상기 제1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되게 기어가 양측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를 구비하는 실외작동부와; 상기 강화유리문의 실내측에 밀착 결합되는 실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실내 조작부재와,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록킹로드가 상기 실내 하우징 내외로 입출될 수 있게 설치된 록킹부와,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게 상기 실내하우징 내에 설치된 제2회전기어와, 상기 제2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되게 기어가 양측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를 구비하는 실내 작동부와; 상기 실내 하우징과 상기 실외하우징 상호간을 상기 강화유리문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폭으로 이격되게 결합된 가로막이 부재와; 상기 가로막이부재를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핀과, 상기 제1랙기어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2랙기어가 연동되어 승하강 될 수 있게 상기 회동핀 양단에 각각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제1 및 제2섹터기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중계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회전기어는 상기 키실린더의 간섭편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간섭편의 회전궤도 내로 진입되게 돌출되되 상기 간섭편과의 간섭해제부분을 일정각도 범위로 갖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돌기가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 조작부재에 대해 회전 및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실내하우징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진입시키면 상기 실내조작부재와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실내조작부재를 연동시켜 회전시키고, 상기 실내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내 조작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실내조작부재에 대해 걸돌림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실내 조작부재와 결합된 아이들 노브;를 더 구비한다.
상기 아이들 노브는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개구를 통해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되 내부에 상기 실내 조작부재에 형성된 제1착탈편과 진퇴에 의해 상호 간섭 및 간섭해제될 수 있게 제2착탈편이 형성된 노브 하우징과; 상기 노브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착탈편과 상기 제2착탈편이 상호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게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조작부재는 상기 노브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개구 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면서 상기 제1착탈편이 형성된 구속바디와, 상기 구속바디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노브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실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로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록킹로드와 결합되며 상기 실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록킹로드의 진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며 중앙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간섭용 간섭홀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실내조작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가 진퇴되게 상기 간섭용 간섭홀을 간섭할 수 있게 형성된 간섭돌기를 갖는 간섭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가 강화유리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잠금장치의 접촉층을 생략한 상태에서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내 하우징에 설치된 요소들을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잠금장치(100)는 강화유리문(200)의 개방단이 되는 측면, 전면 및 배면을 에워싸 강화유리문(200)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잠금장치(100)는 실외 작동부(120), 실내 작동부(130), 가로막이 부재(140) 및 작동중계부(160)를 구비한다.
실외 작동부(120)는 강화유리문(200)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분이며 키실린더(150)에 삽입된 키(159)의 회전에 따라 작동중계부(160)를 통해 실내작동부(130)의 록킹로드(188)를 진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외 작동부(120)는 실외 하우징(121), 키실린더(150), 제1회전기어(181), 제1랙기어(182)를 포함한다.
실외 하우징(121)은 키실린더(150), 제1회전기어(181), 제1랙기어(182) 및 제1섹터기어(도 4참조; 162)를 포함한 작동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작동요소 수용부(122)와, 작용요소 수용부(122)로부터 연장되어 강화유리문(200)의 손잡이(240) 결합용 관통홀(245)과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124)이 형성된 결합부(123)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키실린더(150)는 실외 하우징(121)에 형성된 키실린더 수용홈(122a)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키(159)의 조작에 대응되어 회동될 수 있는 간섭편(158)이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간섭편(158)은 판형 바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회전기어(181)는 키실린더 수용홈(122a)의 배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키실린더(150)의 간섭편(158)이 일정길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81a)과 원형 외주면에 기어(181c)가 형성되어 있다.
제1회전기어(181)의 관통홀(181a)에는 키실린더(150)의 간섭편(158)의 회전궤도 내로 진입되게 돌출되되 간섭편(158)과의 간섭해제부분을 일정각도 범위로 갖게 180 방향에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두개의 간섭돌기(181b)가 형성되어 있다. 두개의 간섭 돌기(181b) 사이영역은 간섭편(158)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간섭편(158)의 회동궤도 보다 큰 호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회전기어(181)의 구조에 의하면 키(159)의 회전에 연동되는 키실린더(150)의 간섭편(158)의 회전시 회전방향 전방에 간섭돌기(181b)가 접촉되면 간섭편(158)에 연동되어 제1회전기어(181)가 회동되고, 간섭편(158)의 회전시 회전방향 후방에 간섭돌기(181b)가 위치되면 간섭편(158)의 전방에 간섭돌기(181b)가 접촉될 때까지는 제1회전기어(181)와 간섭편(158) 상호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1랙기어(182)는 양단에 각각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은 제1회전기어(181)와 치합되게 장착되어 있다.
제1랙기어(182)는 실외 하우징(121)의 작동요소 수용부(122)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판형상의 보조 판넬(127)에 형성된 가이드바(128)에 삽입되어 수직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저면에 슬라이딩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바(128)는 생략될 수 있다.
제1랙기어(182)의 타단은 동력중계부재(160)의 제1섹터기어(도 4참조; 162)와 치합되게 설치된다.
가로막이 부재(14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로막이 부재(140)은 가로막이부분(141) 및 제1 및 제2 차폐판(143)(145)을 갖는다.
가로막이부분(141)은 강화유리문(20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차폐판(143)(145)은 실외 하우징(121) 및 실외 하우징(131)의 작동요소 수용부(122)(132)의 공간을 나사(147) 결합에 의해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가로막이 부재(140)의 제1 및 제2 차폐판(143)(145)의 상호 대향되는 면 및 실외 하우징(121) 및 실내 하우징(131)의 결합부(123)(133)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접촉층(125)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층(125)은 탄성을 갖는 가요성 소재 예를 들면 고무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층(125)은 강화유리문(200)의 강화유리(230)에 삽입된 홀더(220)가 일정깊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수용홈(125a)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210은 홀더(220)의 전면 결합홈에 끼움결합된 것으로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된 안전패드이다.
접촉층(125)의 수용홈(125a)은 가로막이부재(140)의 가로막이부분(141)까지 단차부분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접촉층(125)의 구조에 의하면 강화유리문(200)의 강화유리(230)에 안전패드(210)가 삽입된 홀더(220)가 장착되어 있어도 홀더(220)의 돌출두께를 접촉층(125)에 형성된 수용홈(125a)(135a)에 의해 강화유리(230) 및 홀더(220)와 대응되게 상호 밀착될 수 있어 결합성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안전패드(210)가 생략된 구조의 강화유리문의 경우 접촉층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동력 중계부재(160)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로막이부재(140)의 제1차폐판(143)에서 제2차폐판(145)을 관통되게 삽입되어 차폐판(143)(145)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된 회동핀(161)과, 회동핀(16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섹터기어(162)(163)로 되어 있다.
회동핀(161)은 가로막이부재(140)의 가로막이부분(141)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차폐판(143)(145)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부분(161a)과, 제1부분(161a)의 양단에서 제1 및 제2차폐판(143)(145)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및 제3부분(161b)(161c)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섹터기어(162)는 회동핀(161)의 제2부분(161b)의 종단과 결합되어 제1랙기어(182)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게 실외 하우징(121)내에 설치되어 있고, 제2섹터기어(163)는 회동핀(161)의 제3부분(161c)의 종단과 결합되어 제2랙기어(184)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게 실내 하우징부(131)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두개의 동력 중계 부재(160)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1 및 제2랙기어(182)(184)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된 구조가 적용되었고 하나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내작동부(130)는 강화유리문(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가로막이부재(140)를 통해 실외 하우징(121)과 결합되어 있다.
실내작동부(130)는 실내 하우징(131), 제2랙기어(184), 제2회전기어(185), 간섭디스크(186), 슬라이더(187), 록킹로드(188) 및 노브구조체(190)를 구비한다.
여기서 간섭디스크(186) 및 슬라이더(187)는 제2회전기어(185)의 회전에 연동되어 록킹로드(188)를 진퇴시키는 록킹부의 요소이다.
실내 하우징(131)은 제2랙기어(184), 제2회전기어(185), 간섭디스크(186), 슬라이더(187), 록킹로드(188) 및 노브구조체(19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작동요소 수용부(132)와, 작동요소 수용부(132)로부터 연장되며 실외 하우징(121)과 대칭되는 구조로서 강화유리문(200)의 손잡이(240) 결합용 관통홀(245)과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134)이 형성된 결합부(133)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랙기어(184)는 일측이 상호 이격된 두개의 제2섹터기어(163)과 치합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2회전기어(185)와 치합되게 결합되어 있다.
제2랙기어(184)는 실내하우징(131)의 작동요소 수용부(132)에 결합되며 제2회전기어(185) 보다 큰 관통홀이 형성된 보조판넬(197)에 형성된 가이드바(198)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게 저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기어(185)는 제2랙기어(184)와 기어 결합되며, 나사(199)에 의해 후술되는 노브 구조체(190)의 실내조작부재(191)와 결합될 수 있게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 로드(188)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187)와의 간섭용 홈(188a)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32b는 실내 하우징(131)에 형성된 록킹로드 입출용 홀이다.
슬라이더(187)는 사각 플레이트(187a)와 사각 플레이트(187a)의 저면에 록킹로드(188)의 간섭용 홈(188a)과 끼움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18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87)의 사각 플레이트(187a)에는 간섭 디스크(186)에 형성된 간섭돌기(186a)의 회전시 슬라이더(187)와 간섭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더(187)가 직선이동될 수 있게 간섭돌기(186a)의 호형 궤적에 대응되게 'T'자형의 간섭유지홈(187c)이 형성되어 있다.
간섭유지홈(187c)은 도시된 예와 다르게 간섭 디스크(186)에 형성된 간섭돌기(186a)의 회전궤도에 대응되는 호형 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각 플레이트(187a)는 작동요소 수용부(132)의 양측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진퇴될 수 있게 작동요소 수용부(132)의 내측 사각공간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각 플레이트(187a)의 중앙에는 실내조작부재(191)와 간섭디스크(186)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봉(186b)에 대해 진퇴가 일정길이 허용되될 수 있게 장공(187d)이 형성되어 있다.
간섭디스크(186)는 저면에 슬라이더(186)에 형성된 간섭유지홈(187c)에 삽입되어 회전시 슬라이더(187)와의 간섭이 유지될 수 있게 간섭돌기(187a)가 형성된 판형부분과, 판형부분의 저부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실내 조작부재(191)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봉(186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간섭디스크(186)는 나사가 관통될 수 있게 중공(186c)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봉(186b)의 종단에는 실내 조작부재와 맞물림 결합하기 위해 각형으로 형성된 고정부분(186d)이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기어(185)에 연동되어 록킹로드(188)를 진퇴시킬 수 있는 구조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라이더의 장공내에 내에 랙기어를 형성시키고 제2회전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슬라이더가 진퇴될 수 있는 구조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노브 구조체(190)는 실내 조작부재(191)와 아이들 노브(192)를 갖는다.
노브 구조체(190)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내 조작부재(191)는 구속바디(191a)와 결합로드(191c)로 되어 있다.
구속바디(191a)는 노브 하우징(193) 내에 수용되는 부분이면 제1착탈편(191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로드(191c)는 구속바디(191a) 중앙부분에 일정길이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고 나사(199) 결합용 나사선이 형성된 부분과 나사선이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간섭디스크(186)의 각형으로 형성된 고정부분(186d)이 끼움결합될 수 있게 각형홈이 형성된 부분을 갖는 결합홈(19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로드(191c)는 실내 하우징(131)에 형성된 끼움관(131d)에 걸려 일정길이 진입될 수 있게 단차진 턱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내조작부재(191)는 간섭디스크(186) 및 제2회전기어(185)와 상호 고정결합되어 실내 하우징(131)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실내조작부재(191)의 회전에 따라 간섭디스크(186), 슬라이더(187) 및 록킹로드(188)가 연동되고, 제2회전기어(185)를 통해서는 제2랙기어(184), 제2섹터기어(163), 제1섹터기어(162) 및 제1랙기어(182), 제1회전기어(181)가 연동된다.
아이들 노브(192)는 실내 조작부재(191)에 대해 회전 및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되, 실내하우징(131)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진입시키면 실내조작부재(191)와 맞물림 결합되어 실내조작부재(191)를 연동시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아이들 노브(192)는 실내 하우징(131)으로부터 후퇴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실내 조작부재(191)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실내조작부재(191)에 대해 걸돌림 회전될 수 있게 실내 조작부재(191)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아이들 노브(192)는 노브 하우징(193)(195)과, 탄성부재(194)로 되어 있다.
노브 하우징(193)(195)은 일측이 개방된 캡(193)과 캡의 개방단과 결합되며 결합로드(191c)가 관통될 수 있는 개구(195a)를 갖는 덮개(195)로 되어 있다.
캡(193)은 실내 조작부재(191)의 구속바디(191a)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되 내부에 구속바디(191a)에 형성된 제1착탈편(191b)과 진퇴에 의해 상호 간섭 및 간섭해제될 수 있게 제2착탈편(193)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94)는 캡(193)과 구속바디(191a) 사이에 설치되어 제1착탈편(191b)과 제2착탈편(193a)이 상호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따라서, 실내에서의 조작시에는 캡(193)이 실내하우징(131) 방향으로 진입되게 한 상태에서 회전조작을 해야만 록킹로드(188)가 진퇴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강화유리문(200)의 틈새를 통해 캡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조작을 할 경우 실내 조작부재(191)가 연동되지 않아 잠금해제가 용이하게 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아이들노브가 생략되고 실내 조작부재(191)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한 통상의 노브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잠금장치(100)에 적용되는 키실린더(150)는 키(159)의 회전방향을 따라 키(159)의 취출이 적어도 2곳 이상의 상호 다른 각도에서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키(159)의 취출가능 위치는 록킹로드(188)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와 록킹로드(188)가 돌출되는 잠금상태에서 록킹로드(188)가 후퇴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실내조작부재(191)가 회전 또는 고정될 수 있는 록킹로드(188)의 잠금유지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위치로 결정된다.
키실린더(150)의 구조는 키(159)의 삽입구조에 따른 타입 예를 들면 평판형, 각형 또는 키의 작동요소가 되는 부분의 프로파일에 따른 타입 예를 들면 홀형, 톱니형 등에 따라 대응되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키실린더(150) 및 키 구조는 공지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잠금이 해제된 상태 즉, 록킹로드(188)가 실내 하우징부(131)내로 인입되어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실외 하우징부(121)의 키실린더(150)에 키(159)를 삽입하여 록킹로드(188)가 실내 하우징부(131)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키(159)를 돌리면 간섭편(158)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제1회전기어(181), 제1랙기어(182), 제1섹터기어(162), 제2섹터기어(163), 제2랙기어(184), 제2회전기어(185)가 연동되면서 록킹로드(188)가 인출된다.
한편, 록킹로드(188)가 실내 하우징부(131)으로부터 인출되어 잠금상태에 도달된 이후, 키(159)를 그 상태에서 인출하면, 간섭편(158)도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결과 록킹로드(188)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의 실내 조작부재(191)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는 다르게 키(159)를 간섭편(158)이 간섭돌기(181b)를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위치까지 반대로 일정각도로 역회전 시키면 제1회전기어(181)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간섭편(158)이 회동된다. 이 상태에서 키를 뽑게 되면, 간섭편(158)과 제1회전기어(181)와의 간섭이 일정각도 범위까지 해제됨으로써 록킹로드(188)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의 노브구조체(190)를 가압시켜 회전시키면 실내에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외부에서 강제로 캡(193)을 가압시키지 않고 회전시키면 겉돌기 때문에 잠금을 해제할 수 없고, 실내 조작자는 캡(193)을 민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잠금이 해제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실내작동부와 실외 작동부 상호간의 작동을 중계하기 위해 가로막이부재를 통해 설치되는 요소가 회동에 동작되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강제적 잠금해제가 어렵고, 실내측의 노브 하우징도 강화유리문 쪽으로 밀지 않으면 겉돌림되어 잠금해제가 되지 않아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가 강화유리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잠금장치의 접촉층을 생략한 상태에서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내 하우징에 설치된 요소들을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가로막이부재를 통해 설치된 작동 중계부재와 회전기어들 상호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노브구조체를 상세히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실내 하우징 내의 요소와 실외 하우징 내의 요소를 상호 대향되게 펼친 상태에서 대응되게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실외 작동부 130: 실내 작동부
125, 135: 수용홈 140: 가로막이 부재
150: 키실린더 181: 제1회전기어
183: 제2회전기어 184: 노브
185: 록킹로드

Claims (5)

  1. 강화유리문의 실외측에 밀착 결합되는 실외 하우징에 설치된 키실린더와, 상기 키실린더에 삽입된 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게 상기 키실린더와 결합된 간섭편과, 상기 간섭편에 간섭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제1회전기어와, 상기 제1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되게 기어가 양측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를 구비하는 실외작동부와;
    상기 강화유리문의 실내측에 밀착 결합되는 실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실내 조작부재와,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록킹로드가 상기 실내 하우징 내외로 입출될 수 있게 설치된 록킹부와,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게 상기 실내하우징 내에 설치된 제2회전기어와, 상기 제2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되게 기어가 양측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를 구비하는 실내 작동부와;
    상기 실내 하우징과 상기 실외하우징 상호간을 상기 강화유리문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폭으로 이격되게 결합된 가로막이 부재와;
    상기 가로막이부재를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핀과, 상기 제1랙기어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2랙기어가 연동되어 승하강 될 수 있게 상기 회동핀 양단에 각각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제1 및 제2섹터기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중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기어는 상기 키실린더의 간섭편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간섭편의 회전궤도 내로 진입되게 돌출되되 상기 간섭편과의 간섭해제부분을 일정각도 범위로 갖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조작부재에 대해 회전 및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실내하우징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진입시키면 상기 실내조작부재와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실내조작부재를 연동시켜 회전시키고, 상기 실내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내 조작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실내조작부재에 대해 걸돌림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실내 조작부재와 결합된 아이들 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문용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노브는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개구를 통해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되 내부에 상기 실내 조작부재에 형성된 제1착탈편과 진퇴에 의해 상호 간섭 및 간섭해제될 수 있게 제2착탈편이 형성된 노브 하우징과;
    상기 노브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착탈편과 상기 제2착탈편이 상호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게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조작부재는 상기 노브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개구 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면서 상기 제1착탈편이 형성된 구속바디와, 상기 구속바디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노브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실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록킹로드와 결합되며 상기 실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록킹로드의 진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며 중앙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간섭용 간섭홀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실내조작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실내 조작부재의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가 진퇴되게 상기 간섭용 간섭홀을 간섭할 수 있게 형성된 간섭돌기를 갖는 간섭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2005-0009391U 2005-04-06 2005-04-06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389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91U KR200389199Y1 (ko) 2005-04-06 2005-04-06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91U KR200389199Y1 (ko) 2005-04-06 2005-04-06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451A Division KR100637913B1 (ko) 2005-04-06 2005-04-06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199Y1 true KR200389199Y1 (ko) 2005-07-08

Family

ID=4369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91U KR200389199Y1 (ko) 2005-04-06 2005-04-06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1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54B1 (ko) 2005-09-01 2007-05-18 백상현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100860400B1 (ko) 2008-02-26 2008-09-26 박균순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454646Y1 (ko) 2010-07-30 2011-07-19 조수동 강화유리문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54B1 (ko) 2005-09-01 2007-05-18 백상현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100860400B1 (ko) 2008-02-26 2008-09-26 박균순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454646Y1 (ko) 2010-07-30 2011-07-19 조수동 강화유리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272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GB2461107A (en) Sash window restrictor having a protruding member and retaining mechanism
KR100907641B1 (ko)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KR200389199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489050Y1 (ko) 베이비룸용 문고리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0637913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0628482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387355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GB2446805A (en) Coded lock with plate to prevent deciphering of code
KR100630945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장치 및 도어 시스템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200416910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160016112A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626120B1 (ko) 모티스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0660195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CN111434872B (zh) 锁组件
KR200382724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100660194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JPH108808A (ja) スライド式ラッチ錠
KR100860400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1117809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