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302Y1 - 침목운반차 - Google Patents

침목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302Y1
KR200387302Y1 KR20-2005-0009314U KR20050009314U KR200387302Y1 KR 200387302 Y1 KR200387302 Y1 KR 200387302Y1 KR 20050009314 U KR20050009314 U KR 20050009314U KR 200387302 Y1 KR200387302 Y1 KR 200387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wagon
loading
p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계출
Original Assignee
성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9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목운반차 상부에 침목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침목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한 침목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는, 동력을 발생하여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동력차(100)와; 상기 동력차(100)와 연결되어 이동이 강제되며, 상부에 침목(W)의 적재가 가능한 화차(200)와; 상기 화차(200)의 후측으로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침목(W)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침목이송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목이송장치(300)는, 상기 화차(200)의 상면 좌우측에 고정 장착되어 침목(W)의 낙하를 규제하는 지지빔(320)과; 상기 지지빔(320)의 상부 일측에 상하방 유동이 규제되도록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화차(200) 외측으로 선택적 돌출이 가능한 인출수단(340)과; 상기 인출수단(340)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침목(W)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인출수단(340)을 따라 주행이 가능한 주행수단(360)과; 상기 주행수단(36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침목(W)을 선택적으로 로딩(Loading)하는 로딩수단(38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침목교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침목운반차 {Sleeper transport train}
본 고안은 침목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목(枕木, Sleeper)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여 파손된 침목의 교체를 돕는 침목운반차 상부에 침목이송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침목의 적재 및 하역작업이 크레인 등의 도움없이 자체적으로 수행 가능한 침목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종래 침목운반차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운반차(1)는 크게 동력을 발생하여 레일(2)을 따라 이동하는 동력차(10)와, 상기 동력차(10)와 연결되고 동력차(1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상부에 침목(W)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화차(20)로 구성되며, 상기 화차(20)에 적재된 침목(W)을 침목교체가 요구되는 장소까지 운반함으로써 침목교체작업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동력차(10)는 전방에 기관실(12)이 형성되어 상기 침목운반차(1)의 조종이 가능하며, 후방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미도시)이 탑재된 엔진실(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침목운반차(1)가 기관사에 의해서 조종되면 침목운반차(1)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으로 바퀴(4)를 회동시켜 레일(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침목(W)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침목(W)은 자갈 등의 충격흡수부재(5)위에 적당한 간격으로 나열되며 상면에 레일(2)이 안착된 상태로 고정부재(7)에 의해서 상기 레일(2)과 고정됨으로써 상기 레일(2)에 가해지는 침목운반차(1)의 하중이 상기 충격흡수부재(5)를 통해서 지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목재나 콘크리트재를 일컫는다.
침목(W)은 일반적으로 목재를 사용해 왔으나, 부패하는 결점이 있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크레오소트유(Creosote oil)를 주입하여 방부처리를 함으로써 수명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침목에 사용되는 목재는 건조상태가 좋아 균열이나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하되 참나무, 밤나무, 소나무, 호두나무 등 목재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근래에는 임산자원의 부족 및 삼림 보호로 인하여 그 대용품으로 콘크리트 침목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콘크리트 침목에는 강화콘크리트 침목, 강현콘크리트 침목으로 대별되며, 이중에서 강현콘크리트 침목이 강화콘크리트 침목보다 내구성이 뛰어나 선호된다.
그러나, 강현콘크리트 침목은 피아노선을 열처리하여 만든 강현(鋼弦)을 강하게 잡아당겨 고정시킨 상태에서 압축응력이 가해진 콘크리트를 굳힘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그 무게가 상당하여 상기 화차(20)에 적재된 침목(W)을 교체가 필요한 곳에 하역시에는 크레인, 지게차 등의 중장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침목 보수작업을 위해 많은 인원과 시간 그리고, 설비가 요구되므로 경제적인 차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터널구간 또는 지하의 침목 교체 작업시에는 크레인의 진입이 어렵고, 지게차의 경우 작업구역의 협소로 인하여 하역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무거운 침목의 핸들링 난해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위험도 야기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침목(枕木, Sleeper)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여 파손된 침목의 교체를 돕는 침목운반차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침목이송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의 도움없이 침목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침목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차의 상면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공간을 더 확보함으로써 침목의 적재량이 증가되도록 하고, 침목운반차의 하부에 지지다리를 설치함으로써 침목의 적재 및 하역시에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침목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침목운반차는, 동력을 발생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동력차와; 상기 동력차와 연결되어 이동이 강제되며, 상부에 침목의 적재가 가능한 화차와; 상기 화차 상부에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화차의 후측으로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침목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침목이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목이송장치는, 하단부가 상기 화차의 상면 좌우측에 고정 장착되고 상부가 상방 돌출되어 상기 침목의 낙하를 규제하는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의 상부 일측에 상하방 유동이 규제되도록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화차 외측으로 선택적 돌출이 가능한 인출수단과; 상기 인출수단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침목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인출수단을 따라 전후방 주행이 가능한 주행수단과; 상기 주행수단의 하측에 구비되어 침목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침목을 선택적으로 로딩(Loading)하는 로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빔의 상부에는, 전원 인가시에 회전함으로써 상기 인출수단의 슬라이딩을 강제하는 인출모터와, 상기 인출모터가 회동시에 연동하는 힘전달축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힘전달축의 회동을 안내하는 축지지블럭과, 상기 인출수단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인출수단의 전후방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출수단은,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모터와 연동되어 발생된 힘을 상기 인출수단으로 전달하는 힘전달축과, 상기 힘전달축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블럭을 따라서 상기 화차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판넬과, 상기 힘전달축 및 슬라이딩판넬 일측에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어 상기 힘전달축과 슬라이딩판넬이 연동 가능하도록 하는 힘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수단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하여 힘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로딩수단의 전후방 주행을 강제하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의 일측을 간섭한 상태로 상기 인출수단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로딩수단의 주행방향을 가이드하는 주행가이드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딩수단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하여 힘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침목을 선택적으로 로딩(Loading)하는 로딩모터와, 상기 로딩모터 일측에 결합되어, 로딩모터의 회동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침목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침목의 낙하를 규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힘전달부는 서로 치차(齒車)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과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차의 상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차와 화차 중 적어도 어느 일 구성에는 선택적으로 하방 돌출되어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동력차 및 화차의 흔들림을 규제하는 지지다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차와 화차 중 적어도 어느 일 구성에는 상기 침목이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침목운반차의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는 크게 동력을 발생하여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동력차(100)와, 상기 동력차(100)와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침목(W)의 적재가 가능한 화차(200)로 구성되며, 상기 화차(200)에 적재된 침목(W)을 침목교체가 요구되는 장소까지 운반함으로써 침목 교체작업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동력차(100)는 전방에 기관실(110)이 형성되어 상기 침목운반차의 조종이 가능하며, 후방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122)이 탑재된 엔진실(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침목운반차가 기관사에 의해서 조종되면 침목운반차는 엔진(122)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으로 바퀴(T)를 회동시켜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차(100)의 좌측 하부 및 상기 화차(200)의 우측 하부에는 전원 인가시에 선택적으로 하방 돌출되어 저면이 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동력차(100)의 유동을 규제하는 지지다리(H)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다리(H)는 아래에서 설명할 침목이송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침목(W)을 적재 및 하역시에 상기 침목운반차의 흔들림을 규제함으로써 침목교체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 화차(200)의 대략 중앙부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 성형된 함몰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함몰부(210)는 함몰된 깊이만큼 공간을 형성하여 침목(W)의 적재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화차(200)의 저면과 레일(R) 사이의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침목(W) 적재량 증가는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침목운반차의 상부에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침목이송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침목이송장치(300)는 화차(200) 상면으로의 침목(W) 적재 및 적재된 침목(W)의 하역을 돕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차(200) 상부에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화차(200)의 후측으로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침목(W)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침목이송장치(300)는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장치(C)를 사용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침목이송장치(300)를 이용한 침목(W)의 적재 및 하역은 상기 제어장치(C)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침목이송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에 침목이송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목이송장치(300)는 상기 화차(200)에 적재된 침목(W)의 낙하를 규제하는 지지빔(320)과, 상기 지지빔(32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차(200)의 우측(도 2 에서 볼 때)으로 선택적 돌출이 가능한 인출수단(340)과, 상기 인출수단(340)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인출수단(340)을 따라 좌우로 주행 가능한 주행수단(360)과, 상기 주행수단(36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침목(W)을 선택적으로 로딩하는 로딩수단(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빔(320)은 화차(200)의 상면 좌우측(도 3 에서 볼 때)에 서로 대응되도록 고정 장착되고 상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침목(W)이 화차(200) 외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규제 가능하게 되며, 상기 인출수단(340)의 일측을 수용함으로써 인출수단(340)의 상하방 유동 구속은 물론 상기 인출수단(340)의 전후방 슬라이딩 안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빔(320)의 상부에는 전원 인가시에 회전하여 상기 인출수단(340)의 슬라이딩을 강제하는 인출모터(322)와, 상기 인출수단(340)의 일구성인 힘전달축(342)의 양단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힘전달축(342)의 회동을 안내하는 축지지블럭(324)과, 상기 인출수단(340)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인출수단(340)의 전후방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326)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인출수단(340)은 상하방 유동이 구속된 상태로 상기 화차(200) 후방으로 선택적 돌출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축지지블럭(324)과 가이드블럭(326)에 의해서 상기 인출수단(340)은 상하방 유동이 규제되고, 상기 가이드블럭(326)은 중앙부에 홈(326')이 형성되어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할 슬라이딩판넬(344)의 일측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인출수단(34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출모터(322)의 단부에 부착된 제1기어(322')가 힘전달축(342)에 회전력을 전달한 후에 제1기어(322')로부터 받은 힘이 슬라이딩판넬(344)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인출수단(340)은 일단부가 상기 화차(200)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 가능하며, 상기 침목(W)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이 크레인 등의 장비없이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인출수단(340)은 크게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모터(322) 일측과 접촉되어 인출모터(322)와 연동하는 힘전달축(342)과, 대략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고 상기 화차(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판넬(344)과, 상기 힘전달축(342) 및 슬라이딩판넬(344) 사이에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힘전달축(342)으로 전해진 힘이 상기 슬라이딩판넬(344)로 전달되도록 하는 힘전달부(3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힘전달축(342)은 인출모터(322)로부터 발생된 힘을 상기 슬라이딩판넬(34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양단부가 상기 축지지블럭(324)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되며, 상기 힘전달축(342)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2기어(342') 및 상기 힘전달축(342)보다 조금 큰 외경을 가지고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된 랙(Rack,342")에 의해서 상기 인출수단(340)으로의 힘전달은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기어(342')는 제1기어(322')와 치차 결합되어 서로 연동하며 상기 제2기어(342')가 회동시에 상기 랙(342")은 인출수단(34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힘전달축(342)은 상기 슬라이딩판넬(344)로의 힘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판넬(344)은 화차(20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좌우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성형된 슬라이드리브(344')가 상기 가이드블럭(32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판넬(344)은 상기 화차(200)의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힘전달부(346)는 상기 슬라이딩판넬(344) 상면에 부착된 피니언(344")과, 전술한 랙(34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랙(342")과 피니언(344")은 서로 치차(齒車) 결합되어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이 서로 전환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힘전달축(342)에 구비된 랙(342")이 회전운동시에 상기 피니언(344")은 직선운동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판넬(344)은 화차(200)의 외측으로 즉, 도 2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선택적 돌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출수단(340)의 하측에는 상기한 주행수단(360)이 장착된다. 상기 주행수단(360)은 상기 인출수단(340)을 따라 전후방 주행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침목(W)의 하중 지지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주행수단(36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로딩수단(380)의 전후방 주행을 강제하는 주행모터(362)와, 상기 주행모터(362)의 일측을 간섭한 상태로 상기 인출수단(340)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로딩수단(380)의 주행방향을 가이드하는 주행가이드빔(3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행모터(362)는 회전시에 주행가이드빔(364) 일측과 마찰되어 마찰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로딩수단(380)을 화차(200) 내부에서 좌우(도 2에서 볼 때)로 강제 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외주면 하단이 상기 주행가이드빔(364)의 하부 일측면과 접촉되어 하방유동이 규제되며, 접촉면과의 마찰력으로 상기 주행가이드빔(364)을 따라서 구름운동함으로써 상기 주행모터(362)는 로딩수단(380)의 주행을 강제하게 된다.
즉, 상기 주행모터(362)는 일측이 상기 로딩수단(380)의 일측과 부착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주행모터(362) 회전시에 상기 로딩수단(380)의 주행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주행가이드빔(364)은 대략 "I"모양의 종단면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판넬(344)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슬라이딩판넬(344)의 저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판넬(344)이 슬라이드리브(344')를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되면 상기 주행가이드빔(364)도 동시에 유동하게 되며, 상기 주행모터(362)와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된 로딩수단(380)은 상기 주행가이드빔(364)에 의해서 하중이 지지되어 낙하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주행수단(36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행가이드빔(364)의 하측에는 로딩수단(380)이 장착된다. 상기 로딩수단(380)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침목(W)을 선택적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모터(362) 일측과 결합된다.
상기 로딩수단(38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침목(W)을 선택적으로 로딩하는 로딩모터(382)와, 상기 로딩모터(382) 내부에 단부가 결합되어 로딩모터(382) 회동시에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384)와, 상기 와이어(384)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침목(W)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침목(W)의 낙하를 규제하는 걸림부(3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딩모터(382)는 상기 침목이송장치(300)의 핵심부품으로서 상기 침목(W)의 하중을 충분히 극복하여 로딩할 수 있도록, 전술한 인출모터(322) 및 주행모터(362)보다 큰 출력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로딩모터(382)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386)가 부착된 와이어(384)가 하방으로 유동하게 되면 상기 침목(W)은 걸림부(386)에 의해서 걸림 구속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걸림부(386)에 의해서 구속된 침목(W)은 상기 로딩모터(382)의 역회전에 의해서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침목(W)은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침목이송장치(300)는 침목(W)의 유동 뿐 아니라, 적재 및 하역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로딩수단(380)의 작동으로 와이어(384)가 길이 조절됨으로써 적재 및 하역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384)는 침목운반차 외부에 놓여 있는 침목(W)을 상기 화차(200) 상면에 적재 가능하도록 상기 상기 침목운송차의 높이보다 조금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침목운반차를 이용하여 파손된 침목(W)을 교체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요부구성인 침목이송장치가 작동시의 모습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요부구성인 침목이송장치가 침목(W)을 들어올리는 모습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요부구성인 침목이송장치가 화차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2와 같이 상기 침목(W)이 화차(200)에 적재된 상태에서 침목(W) 교체가 요구되는 장소로 침목운반차를 운행하게 된다. 침목 교체가 요구되는 장소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침목운반차의 전/후방 하부에 구비된 지지다리(H)를 하방으로 돌출시켜 지지다리(H)의 저면이 지면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침목운반차의 유동을 규제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침목운반차가 지지다리(H)에 의해서 안정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장치(C)를 조종하여 도 2와 같이 상기 화차(200)의 좌측에 위치한 로딩수단(380)을 도 4와 같이 화차(200)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로딩수단(380)이 이동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장치(C)에 의해서 상기 주행모터(362)에 전원이 인가되면 주행모터(362)의 제1기어(322')는 시계방향(도 2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여 상기 주행가이드빔(364)의 하부 상면과 마찰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력으로 상기 주행모터(362)는 상기 로딩수단(380)과 함께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역하고자 하는 침목(W)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로딩수단(380)이 하역하고자 하는 침목(W)의 상측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주행모터(362)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한 후에 다시 제어장치(C)를 조작하여 상기 로딩모터(38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384) 및 걸림부(386)는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384) 및 걸림부(386)가 하방 유동되어 상기 침목(W)에 근접하도록 충분히 길어지면 상기 걸림부(386)에 침목(W)의 일측을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침목(W)은 로딩수단(380)에 의해서 상방 로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386)와 침목(W)의 걸림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로딩모터(38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5와 같이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들어올려진 침목(W)이 하측의 침목(W)과 간섭되지 않을만큼 충분히 이격되면 도 6과 같은 상태 즉, 상기 주행수단(360) 및 로딩수단(380)이 상기 화차(200)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인출모터(322)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인출모터(322)가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1기어(322')와 제2기어(342')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힘전달축(342) 및 랙(342") 역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랙(342")의 회전으로 랙(342")과 치차 결합된 상기 피니언(344")은 화차(2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344")이 부착된 슬라이딩판넬(344)은 슬라이드리브(344')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인출모터(322)에 의한 슬라이딩판넬(344)의 인출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로딩수단(380)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로딩수단(380)을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384)를 연장시켜 상기 걸림부(386)를 하방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침목(W)은 걸림부(386)와의 구속이 해지 가능하게 되며 상기 침목이송장치(300)를 이용한 침목(W)의 하역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침목이송장치(300)를 이용한 침목(W)의 적재 과정은 전술한 하역과정의 역순이므로 별도의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서는 침목이송장치가 제어장치에 의해서 조종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리모트 컨트롤을 구비하여 침목이송장치의 조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는, 침목(枕木, Sleeper)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여 파손된 침목의 교체를 돕는 침목운반차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침목이송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의 도움없이 침목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침목이송장치로 인하여 침목의 적재 및 하역작업이 적은 인원으로도 수행 가능하며,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차의 상면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침목의 적재량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침목운반차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지지다리를 설치함으로써 침목의 적재 및 하역시에 안전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우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에 침목이송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후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요부구성인 침목이송장치가 작동시의 모습을 보인 우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요부구성인 침목이송장치가 침목을 들어올리는 모습을 보인 우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침목운반차의 요부구성인 침목이송장치가 화차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동력차 110 ..... 기관실
120 ..... 엔진실 122 ..... 엔진
200 ..... 화차 210 ..... 함몰부
300 ..... 침목이송장치 320 ..... 지지빔
322 ..... 인출모터 322' .... 제1기어
324 ..... 축지지블럭 326 ..... 가이드블럭
326' .... 홈 340 ..... 인출수단
342 ..... 힘전달축 342' .... 제2기어
342" .... 랙 344 ..... 슬라이딩판넬
344' .... 슬라이드리브 344" .... 피니언
346 ..... 힘전달부 360 ..... 주행수단
362 ..... 주행모터 364 ..... 주행가이드빔
380 ..... 로딩수단 382 ..... 로딩모터
384 ..... 와이어 386 ..... 걸림부
C ..... 제어장치 H ..... 지지다리
R ..... 레일 T ..... 바퀴
W ..... 침목

Claims (10)

  1. 동력을 발생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동력차와;
    상기 동력차와 연결되어 이동이 강제되며, 상부에 침목의 적재가 가능한 화차와;
    상기 화차 상부에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화차의 후측으로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침목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침목이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이송장치는,
    하단부가 상기 화차의 상면 좌우측에 고정 장착되고 상부가 상방 돌출되어 상기 침목의 낙하를 규제하는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의 상부 일측에 상하방 유동이 규제되도록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화차 외측으로 선택적 돌출이 가능한 인출수단과;
    상기 인출수단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침목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인출수단을 따라 전후방 주행이 가능한 주행수단과;
    상기 주행수단의 하측에 구비되어 침목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침목을 선택적으로 로딩(Loading)하는 로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의 상부에는,
    전원 인가시에 회전함으로써 상기 인출수단의 슬라이딩을 강제하는 인출모터와,
    상기 인출모터가 회동시에 연동하는 힘전달축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힘전달축의 회동을 안내하는 축지지블럭과,
    상기 인출수단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인출수단의 전후방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모터와 연동되어 발생된 힘을 상기 인출수단으로 전달하는 힘전달축과,
    상기 힘전달축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블럭을 따라서 상기 화차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판넬과,
    상기 힘전달축 및 슬라이딩판넬 일측에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어 상기 힘전달축과 슬라이딩판넬이 연동 가능하도록 하는 힘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수단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하여 힘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로딩수단의 전후방 주행을 강제하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의 일측을 간섭한 상태로 상기 인출수단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로딩수단의 주행방향을 가이드하는 주행가이드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수단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하여 힘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침목을 선택적으로 로딩(Loading)하는 로딩모터와,
    상기 로딩모터 일측에 결합되어, 로딩모터의 회동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침목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침목의 낙하를 규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힘전달부는 서로 치차(齒車)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과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차의 상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와 화차 중 적어도 어느 일 구성에는 선택적으로 하방 돌출되어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동력차 및 화차의 흔들림을 규제하는 지지다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와 화차 중 적어도 어느 일 구성에는 상기 침목이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운반차.
KR20-2005-0009314U 2005-04-06 2005-04-06 침목운반차 KR200387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14U KR200387302Y1 (ko) 2005-04-06 2005-04-06 침목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14U KR200387302Y1 (ko) 2005-04-06 2005-04-06 침목운반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370A Division KR100617583B1 (ko) 2005-04-06 2005-04-06 침목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302Y1 true KR200387302Y1 (ko) 2005-06-17

Family

ID=4368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14U KR200387302Y1 (ko) 2005-04-06 2005-04-06 침목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3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7745A (en) Selective beam gantry crane
CN103201195B (zh) 用于车辆运输的可移除的框架系统
US9919798B2 (en) System for moving loads
GB2456634A (en) Cargo transport system and method
JP459707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横行駆動装置
US10696113B2 (en) Railcar-mover vehicle
US9221501B2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CN113525985B (zh) 一种四向车铺地轨道用翻转板调节支撑结构
CN102501900B (zh) 可移动装载物的车架总成及其使用方法、一种运输工具
DE102010028821A1 (de) Logistiksystem mit Übergabestation
CA3035990A1 (en) Railway traction vehicle with variable traction
CN102126505B (zh) 一种车钩开启装置
KR100617583B1 (ko) 침목운반차
KR200387302Y1 (ko) 침목운반차
KR100993281B1 (ko) 콘테이너 수평이송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KR200407929Y1 (ko)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KR20170097982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10105598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CN208377735U (zh) 一种卧式浸渍罐上料专用车
JP2700109B2 (ja) トラック輸送および鉄道輸送兼用のコンテナ
JP3186284U (ja) 荷台傾斜装置
CN215946177U (zh) 一种止轮装置及翻板平台
CN213170495U (zh) 一种火车车厢的可移动平煤装置
CN210882361U (zh) 一种便于装载货物的散货车
KR20120006854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