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207Y1 -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207Y1
KR200387207Y1 KR20-2005-0007781U KR20050007781U KR200387207Y1 KR 200387207 Y1 KR200387207 Y1 KR 200387207Y1 KR 20050007781 U KR20050007781 U KR 20050007781U KR 200387207 Y1 KR200387207 Y1 KR 200387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plate
support plate
hol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김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원 filed Critical 김지원
Priority to KR20-2005-0007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8Lubri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펌프의 가동체와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접동구조물에서 강하게 마찰되는 부위에 초경합금을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어 마찰부위의 내마모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초경합금을 접합시킬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Friction part on concrete pump}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펌프의 가동체와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접동구조물에서 강하게 마찰되는 부위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초경합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해 본체에 초경합금을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어 마찰부위의 내마모성의 증대는 물론 접동구조물의 잦은 교체에 따른 과다한 유지비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타설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펌프는 강력한 펌프의 압력으로 파이프와 호스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곳까지 멀리 또는 높이 밀어 보내도록 하는 장치로서, 콘크리트의 펌핑시 콘크리트 호퍼로부터 콘크리트를 흡입하여 파이프나 호스로 토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입출구(331a,331b)를 갖는 판상의 고정체(330)가 피스톤(321a,321b)이 내설된 한쌍의 콘크리트실린더(320a,320b)의 토출단에 결합되어 각각 연통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330)의 외측면에는 구동실린더(360)에 의해 좌우로 요동하는 S형 게이트밸브(350)의 선단에 고정 결합된 링형의 가동체(340)가 밀착되어 상기 S형 게이트밸브(350)의 요동운동에 의하여 상기 가동체(340)가 상기 고정체(330)의 각 입출구(331a,331b)와 교대로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구동실린더(360)의 구동에 의해 가동체(340)가 고정체(330)의 일측 입출구(331a)에 연통되면, 일측 피스톤(321a)을 전진시켜서 콘크리트실린더(320a) 내의 콘크리트가 입출구(331a), 가동체(340), S형 게이트밸브(350) 및 토출관(370)을 통하여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타측의 피스톤(321b)을 후진시켜 호퍼(310) 내의 콘크리트가 타측의 콘크리트실린더(320b) 내로 흡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321a,321b)에 의한 콘크리트의 흡배출이 완료되면 구동실린더(3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S형 게이트밸브(350)는 반대측으로 요동되어 가동체(340)가 고정체(330)의 반대측인 입출구(331b)에 연통되게 되며, 이후 피스톤(321b)을 전진시켜서 콘크리트실린더(320b) 내의 콘크리트가 입출구(331b), 가동체(340), S형 게이트밸브(350) 및 토출관(370)을 통하여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타측의 피스톤(321a)을 후진시켜 호퍼(310) 내의 콘크리트가 타측의 콘크리트실린더(320a) 내로 흡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에 의해 콘크리트의 압송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S형 게이트밸브(350)가 요동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가동체(340)와 고정체(330)는 서로 강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가동체(340)가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가동체(340)와 고정체(330)로 이루어지는 접동구조물은 강한 마찰력에 의해 요동되게 되므로 그 표면이 쉽게 마모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강한 압력으로 입출되는 고정체(330)의 출입구 내측벽면과 가동체(350)의 토출구 내측벽면 또한 심하게 마모되어 작업자가 교체작업을 빈번하게 해주어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과다한 유지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펌프에 적용되는 접동구조물의 내마모율을 향상시키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공보 제1999-64370호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실린더의 선단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입출구(331a,331b)를 갖는 지지판(332)과, 상기 입출구(331a,331b) 주변의 함몰부(3322)에 고정 설치되는 초경합금으로 성형된 다수의 마찰블럭으로 된 제1마찰부재(333)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고정체(330)와, S형 게이트밸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링판(341)과, 상기 제1마찰부재(332)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판(341)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마찰블럭으로 된 제2마찰부재(342)로 이루어지는 링형의 가동체(340)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펌프의 접동구조물인 고정체(330)와 가동체(340)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부위를 초경합금으로 구성하는 경우 기존의 접동구조물에 비하여 내마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접동구조물의 잦은 교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유지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동구조물에서 고정체(330)는 입출구(331a,331b) 주변으로 함몰부(3321)가 형성된 지지판(332)을 성형하고, 상기 함몰부(3321)에 초경합금으로 된 다수의 마찰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부재(333)를 채워 놓고, 제1마찰부재(333)의 각 마찰블럭을 지지판(332)과 용접시킨 후 볼트로 결합시켜 제조된다. 마찬가지로 가동체(340)는 외주면을 따라 함몰부(3411)가 형성된 링판(341)을 성형하고, 상기 링판(341)의 함몰부(3411) 내에 초경합금으로 된 다수의 마찰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제2마찰부재(342)를 채워 놓고, 각 마찰블럭을 링판(341)에 용접시킨 다음 볼트로 결합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접동구조물의 경우 마찰블럭을 일일이 지지판(332) 또는 링판(341)과 용접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이 소요되며, 제1마찰부재(333) 또는 제2마찰부재(342)의 마찰블럭을 지지판(332) 또는 링판(341)과 용접시킨 후에 접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다시 마찰블럭과 지지판(332) 또는 링판(341)을 일일이 볼트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펌프의 가동체와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접동구조물에서 강하게 마찰되는 부위에 초경합금이 견고하게 접합되어 마찰부위의 내마모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상의 고정체와 링형의 가동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고정체는: 주위에 안착부를 갖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사이의 안착부의 전후측면에 삽입돌기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관통공 주위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절곡부와, 상기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콘크리트 입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된 결합홈이 구비된 삽입부가 상기 절곡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과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 초경합금으로 된 제1마찰부재와;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 사이의 안착부에 안착되며, 측면에 상기 삽입돌기와 결합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과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 초경합금으로 된 제2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형의 가동체는: 주위에 안착부를 갖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연에 돌기가 형성된 링판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절곡부와, 상기 통공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콘크리트 입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상기 돌기와 결합된 홈이 구비된 삽입부가 상기 절곡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판과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 초경합금으로 된 제3마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동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동구조물의 단면도로서, 도 5a 도 A-A 단면도이고, 도 5b는 B-B 단면도이며, 도 5c는 C-C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접동구조물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동구조물은 주변에 안착부(111)가 형성된 관통공(112)이 좌우에 형성된 지지판(110)과, 상기 지지판(110)과 접합되는 초경합금으로 된 제1마찰부재(120) 및 제2마찰부재(130)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고정체(100)와, 주변에 안착부(211)가 형성된 통공(212)이 형성된 링판(210)과, 상기 링판(210)에 접합되는 제3마찰부재(220)로 이루어지는 링형의 가동체(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상의 고정체(100)에서 지지판(110)은 주위에 안착부(111)를 갖는 한 쌍의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2)의 내주연에는 결합돌기(113)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2) 사이의 안착부(111)의 전후측면에 삽입돌기(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공(112)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돌기(113)는 제1마찰부재(120)와의 접합시 보다 견고한 접합이 가능하게 도와주며, 관통공(112) 사이의 안착부(111) 전후 측면에 형성된 삽입돌기(114)는 제2마찰부재(130)와의 접합시 보다 견고한 접합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제1마찰부재(120)는 관통공(112) 주위의 안착부(111)에 안착되는 절곡부(121)와, 상기 관통공(11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콘크리트 출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상기 지지판(110)의 결합돌기(113)와 결합된 결합홈(1221)이 구비된 삽입부(122)가 상기 절곡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110)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상기 제1마찰부재(120)에서 절곡부(121)는 관통공(112) 주위의 안착부(111)에 안착되며, 삽입부(122)는 관통공(112) 내측에 삽입되어 접합되는 곳이다. 이때, 상기 제1마찰부재(120)는 절곡부(121)와 삽입부(122)가 일체로 제작되는데, 그에 따라 종래 절곡부위의 마찰부재가 다수개의 마찰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한번의 접합공정을 통해 제1마찰부재(120)와 지지판(110)을 접합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절곡부(121)와 삽입부(122)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가 입출되는 내부에 별도로 마찰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한 내부마찰부의의 내마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삽입부(122)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1221)은 지지판(110)의 결합돌기(113)와 결합된 곳으로 이를 통해 제1마찰부재(120)와 지지판(110)이 상호 접합된 후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도 제1마찰부재(120)와 지지판(110)간의 충분한 접합강도가 부여된다. 특히 절곡부(121)와 삽입부(122)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별도의 볼트결합없이 제1마찰부재(120)가 지지판(110)에 견고하게 접합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용접 후 마찰블럭을 일일이 볼트로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 없으며,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2마찰부재(130)는 상기 지지판(110)의 관통공(112) 사이의 안착부(111)에 안착되며, 측면에 상기 삽입돌기(114)와 결합하는 삽입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110)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상기 제2마찰부재(130)는 제1마찰부재(120)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접합공정을 단순화시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31)은 지지판(110)의 삽입돌기(114)와 결합된 곳으로 지지판(110)에 제2마찰부재(130)를 접합한 후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 제2마찰부재(130)와 지지판(110)간의 충분한 접합강도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용접 후 마찰블럭을 일일이 볼트로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링형의 가동체(200)에서 링판(210)은 주위에 안착부(211)를 갖는 통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12)의 내주연에는 돌기(213)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213)는 제3마찰부재(220)와 링판(210)간의 보다 견고한 접합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제3마찰부재(220)는 상기 안착부(211)에 안착되는 절곡부(221)와, 상기 통공(21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콘크리트 출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상기 돌기(213)와 결합된 홈(2221)이 구비된 삽입부(222)가 상기 절곡부(2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판(210)과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마찰부재(220)는 제1마찰부재(120)와 마찬가지로 삽입부(222)와 절곡부(221)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한번의 접합공정을 통해 제3마찰부재(220)와 링판(210)을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부(221)와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222)에 의해 콘크리트 출입구 내부에 별도로 마찰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222)의 외측에 형성된 홈(2221)은 링판(210)의 돌기(213)와 결합된 곳으로 제3마찰부재(220)와 링판(210)의 접합 후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도 제3마찰부재(220)와 링판(210)간의 충분한 접합강도를 갖도록 도와준다.
이때, 전술한 고정체(100)의 지지판(110)과 가동체(200)의 링판(210)은 공지된 바와 같이 탄소강으로 제작하면 되고, 각각에 접합되는 제1마찰부재(120)와 제2마찰부재(130) 및 제3마찰부재(220)는 탄소강보다 융점이 높은 공지된 초경합금으로 제작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체(200)와 고정체(100)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지지판(110)과, 상기 지지판(110)에 접합되는 초경합금으로 된 제1마찰부재(120)와 제2마찰부재(130)를 각각 제조하게 된다.
이때, 지지판(110)은 좌우에 관통공(11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12)의 주변에 안착부(111)가 형성되도록 한다. 제1마찰부재(120)는 상기 지지판(110)의 관통공(112) 주위의 안착부(111)에 안착되는 절곡부(121)와, 상기 관통공(11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콘크리트 입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결합홈(1221)이 구비된 삽입부(122)가 상기 절곡부(121)와 일체로 형성되게 제작한다. 아울러 제2마찰부재(130)는 측면에 삽입홈(131)이 형성되게 제작한다.
지지판(110)과, 제1마찰부재(120) 및 제2마찰부재(130)를 제작한 후에는 도 6a 내지 6c에서와 같이 프레스 상에서 상기 지지판(110)의 안착부(111)에 제1마찰부재(120)와 제2마찰부재(130)를 올려놓은 다음 지지판(110)을 저주파 용융시킨 후 가압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판상의 고정체(100)를 제작하게 된다.
도 6a는 지지판(110)에 제1마찰부재(120)와 제2마찰부재(130)를 결합시키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지지판(110)에 제1마찰부재(120)와 제2마찰부재(13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지지판(110)에 제1마찰부재(120)와 제2마찰부재(1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지지판(110)을 저주파용융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지지판(110)의 탄소강이 제1마찰부재(120)의 결합홈(1221)과 제2마찰부재(130)의 삽입홈(131)에 각각 삽입되게 된다. 이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탈형하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판상의 고정체(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접합공정을 통해 지지판(110)에 제1마찰부재(120)와 제2마찰부재(130)를 접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저주파 용융접합과정에서 지지판(110)에 제1마찰부재(120)의 결합홈(1221) 및 제2마찰부재(130)의 삽입홈(131)과 결합되는 결합돌기(113)와 삽입돌기(114)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도 지지판(110)과 마찰부재간의 충분한 접합강도가 유지되게 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고정체(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가동체(200)를 제조하게 된다. 가동체(200)는 먼저 주위에 안착부(211)를 갖는 통공(212)이 형성된 링판(210)을 제조하고, 상기 링판(210)에 접합되는 제3마찰부재(220)를 제조한다.
여기서 제3마찰부재(220)는 상기 링판(210)의 안착부(211)에 안착되는 절곡부(221)와, 상기 통공(21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콘크리트 출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면에는 홈(2221)이 구비된 삽입부(222)가 상기 절곡부(221)와 일체로 형성된다.
링판(210)과 제3마찰부재(220)를 제작한 후에는 도 6d 내지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상에서 상기 링판(210)의 안착부(211)에 제3마찰부재(220)를 올려놓은 다음 링판(210)을 저주파 용융시킨 후 가압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링형의 가동체(200)를 제작한다.
도 6d는 링판(210)에 제3마찰부재(220)를 결합시키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e는 링판(210)에 제3마찰부재(2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링판(210)에 제3마찰부재(2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링판(210)을 저주파용융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링판(210)의 탄소강이 제3마찰부재(220)의 홈(2221)에 삽입되게 된다. 이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탈형하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링형의 가동체(20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접합공정을 통해 링판(210)에 마찰부재를 접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저주파 용융접합과정에서 마찰부재의 홈(2221)에 결합되는 돌기(213)가 링판(210)에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도 링판(210)과 마찰부재간의 충분한 접합강도가 부여되게 된다.
이때, 링판(210)과 지지판(110)을 저주파 용융시켜 각각의 마찰부재와 결합시키는 것은 공지의 저주파 접합기술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마찰부재가 용융되기 이전의 온도로 링판(210)과 지지판(110)을 저주파 용융시켜 마찰부재와 접합하였다.
저주파 용융접합 과정에서 지지판(110)과 제1마찰부재(120) 및 제2마찰부재(130)의 사이 또는 링판(210)과 제3마찰부재(220)의 사이에 보다 견고한 접합이 가능하도록 동판과 같은 금속매개층을 삽입한 상태에서 저주파 용융 접합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동체와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접동구조물에서 강하게 마찰되는 부위에 초경합금을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어 마찰부위의 내마모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초경합금을 접합시킬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마찰블럭이 아닌 하나의 몸체로 된 마찰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접합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몸체로 된 마찰부재를 사용하면서도 별도의 볼트결합없이 충분한 접합강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을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고안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자명하게 도출 가능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펌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콘크리트 펌프에 적용되는 접동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동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동구조물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동구조물의 단면도로서, 도 5a 도 A-A 단면도이고, 도 5b는 B-B 단면도이며, 도 5c는 C-C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고안 접동구조물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체
110 : 지지판
111 : 안착부 112 : 관통공 113 : 결합돌기
114 : 삽입돌기
120 : 제1마찰부재
121 : 절곡부 122 : 삽입부 1221 : 결합홈
130 : 제2마찰부재
131 : 삽입홈
200 : 가동체
210 : 링판
211 : 안착부 212 : 통공 213 : 돌기
220 : 제3마찰부재
221 : 절곡부 222 : 삽입부 2221 : 홈

Claims (1)

  1. 판상의 고정체와 링형의 가동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고정체는:
    주위에 안착부를 갖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사이의 안착부의 전후측면에 삽입돌기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관통공 주위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절곡부와, 상기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콘크리트 입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된 결합홈이 구비된 삽입부가 상기 절곡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과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 초경합금으로 된 제1마찰부재와;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 사이의 안착부에 안착되며, 측면에 상기 삽입돌기와 결합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과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 초경합금으로 된 제2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형의 가동체는: 주위에 안착부를 갖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연에는 돌기가 형성된 링판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절곡부와, 상기 통공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콘크리트 입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상기 돌기와 결합된 홈이 구비된 삽입부가 상기 절곡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판과의 용융접합에 의해 상호 접합된 초경합금으로 된 제3마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KR20-2005-0007781U 2005-03-22 2005-03-22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KR200387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81U KR200387207Y1 (ko) 2005-03-22 2005-03-22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81U KR200387207Y1 (ko) 2005-03-22 2005-03-22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725A Division KR20060102021A (ko) 2005-03-22 2005-03-22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207Y1 true KR200387207Y1 (ko) 2005-06-20

Family

ID=4368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781U KR200387207Y1 (ko) 2005-03-22 2005-03-22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2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968B1 (ko) * 2015-09-04 2017-06-30 승 환 오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부품의 제조방법
KR20230097357A (ko) * 2021-12-24 2023-07-03 박수흥 콘크리트 펌프용 내마모 플레이트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968B1 (ko) * 2015-09-04 2017-06-30 승 환 오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부품의 제조방법
KR20230097357A (ko) * 2021-12-24 2023-07-03 박수흥 콘크리트 펌프용 내마모 플레이트 조립체
KR102661112B1 (ko) 2021-12-24 2024-04-25 박수흥 콘크리트 펌프용 내마모 플레이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70773B2 (en) Hydraulic pump and piston for such a hydraulic pump
KR20060102021A (ko)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US8286852B2 (en) Method of friction welding of a piston having a cooling duct
JPH09170487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製造方法
CN101135350B (zh) 对接方法、机械嵌接装置、接合杆及油缸装置的制造方法
EP11344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ollow piston for compressor by forging
KR200387207Y1 (ko)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구조물
CN101376157A (zh) 管件墩头机
CA2473001A1 (en) Stator for an eccentric screw pump or an eccentric worm motor operating on the moineau principle
US20060120906A1 (en)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friction parts on concrete pump
RU2164831C2 (ru) Устройство непрерывной экструзии
KR102145462B1 (ko) 복동 유압실린더 및 복동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파이프 클램핑 장치
JP2564168B2 (ja) 揺動弁式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揺動弁および吸入吐出口板
US6820859B2 (en) Body for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18584B1 (ko) 콘크리트 펌프용 접동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KR100848135B1 (ko) 콘크리트펌프용 접동구조물의 가동체
JP2000240609A (ja)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流路成形方法
KR101798281B1 (ko) 콘크리트 펌프용 마모 플레이트
US20070098568A1 (en) Swash plate compressor
RU2404372C2 (ru) Компрессо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6378416B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piston wherein inner surface of hollow cylindrical section of body portion has axially extending reinforcing projections
KR200210787Y1 (ko) 스프링쿨러 피스톤펌프용 흡입 및 토출관
CN220037528U (zh) 可局部更换零件的混凝土泵浦车的泵阀门
US6308614B1 (en) Actuator device
KR200169203Y1 (ko) 웨어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