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874Y1 - 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874Y1
KR200386874Y1 KR20-2005-0008225U KR20050008225U KR200386874Y1 KR 200386874 Y1 KR200386874 Y1 KR 200386874Y1 KR 20050008225 U KR20050008225 U KR 20050008225U KR 200386874 Y1 KR200386874 Y1 KR 200386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cap mounting
cap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환
Original Assignee
태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8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snap-o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고, 저장실에 채워진 액체를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1b)가 뚫려진 용기(1)의 상기 유출구(1b)에 장착되며, 이 유출구(1b)에 연통되는 액체배출로(11)가 관통되어 형성된 캡장착부(10)와, 상기 캡장착부(10)의 액체배출로(11) 상에 캡장착부(10)의 상부로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며, 액체배출로(11)에 연통된 액체유출통로(21)가 형성된 가이드부(20)와, 상기 가이드부(20)의 단부에 캡장착부(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액체유출통로(21)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설부(30)와, 상기 설부(30)의 단부가 하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굴곡부(40)와, 연결부재(51)에 의해 캡장착부(10)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캡장착부(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액체의 배출을 단속하는 뚜껑부(50)로 구성되어 굴곡부(40)가 표면장력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설부(30)를 통과한 액체가 굴곡부(40)를 거쳐 유출될 경우 액체가 설부(30)의 아랫부분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세한 양의 액체를 정확히 유출시킬 수 있고, 액체가 용기(1)나 바닥 등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시 편의성과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용 캡{Cap For Conainer}
본 고안은 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기 내의 내용물이 유출구를 따라 외측으로 흘러 용기가 지저분 해지는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유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에서 조리 시 사용되는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식용유과 같은 액체 등은 그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된 용기 내부에 저장되어 보관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유출구를 통해 유출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유출구에는 이 유출구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미 사용 시 유출구를 닫아 내용물을 보호하고, 사용 시 유출구를 열어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캡이 장착된다.
이 캡은 용기의 유출구에 장착되며, 유출구와 연계된 배출로가 관통되어 몸체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가 구비된 캡장착부재와, 이 캡장착부재의 상부에 결합하여 가이드부를 관통한 배출로를 닫아 용기의 저장실에 저장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뚜껑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부재는 캡장착부재에 연성을 가지는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닫힌 뚜껑부재를 열은 상태에서도 캡장착부재에 연결되어 있도록 하여 분실을 방지하고 다시 닫을 경우 간편하게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캡장착부재의 가이드부는 상단에 일정길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배출로를 통해서 배출되는 액체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설부가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이면 배출로를 통해 용기 내의 액체가 배출되고, 배출된 액체는 일정길이를 가지고 돌출된 설부를 통해서 사용되는 곳으로 정확히 떨어지도록 안내되고 유출되는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용기용 캡은 용기 내의 액체를 최종적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설부가 직선으로 이루어져 액체가 유출되면서 유출되는 설부의 아랫부분을 타고 액체가 흘러 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특히 적은 양의 액체를 유출시킬 때 액체가 설부의 아랫부분을 타고 흘러 내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사용 중 많은 액체의 손실이 발생하고, 이렇게 손실된 액체가 용기로 떨어져 용기의 외관을 저하시키고 용기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을 더럽히게 되어 전체적인 상품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캡을 통해서 용기 내부의 액체를 최종적으로 유출시켜 사용할 경우 액체가 설부의 아랫부분을 따라 흐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출되며, 미세한 배출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고, 저장실에 채워진 액체를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1b)가 뚫려진 용기(1)의 상기 유출구(1b)에 장착되며, 이 유출구(1b)에 연통되는 액체배출로(11)가 관통되어 형성된 캡장착부(10)와;
상기 캡장착부(10)의 액체배출로(11) 상에 캡장착부(10)의 상부로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며, 액체배출로(11)에 연통된 액체유출통로(21)가 형성된 가이드부(20)와;
상기 가이드부(20)의 단부에 캡장착부(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액체유출통로(21)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설부(30)와;
상기 설부(30)의 단부가 하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굴곡부(40)와;
연결부재(51)에 의해 캡장착부(10)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캡장착부(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액체의 배출을 단속하는 뚜껑부(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용기(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유출시켜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뚜껑부(50)를 분리한 후 용기(1)를 기울이면 액체가 액체배출로(11)와 액체유출통로(21)를 통과한 후 설부(30)를 따라 이동하면서 설부(30)의 단부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용기(1)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사용되어지는 위치로 떨어질 경우 설부(30)의 아랫부분을 따라 액체가 흐르지 않고 절곡된 굴곡부(40)를 통해 수직으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캡장착부(10)와 용기(1)에 액체가 떨어져 2중, 3중으로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체를 정확한 위치로 원하는 양만큼 유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인 용기용 캡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뚜껑부가 캡장착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고안의 캡장착부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캡장착부의 상부로 가이드부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의 일측에 용기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설부와 이 설부의 단부에 굴곡부가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용기를 기울여 저장실에 저장된 액체를 유출시킬 경우 분리된 뚜껑부의 단부에 돌출된 지지돌기가 캡장착부의 외측에 걸려 뚜껑부가 아래로 이동하여 캡장착부를 덮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용기용 캡의 캡장착부(10)는 몸체 중앙에 유출구(1b)와 연통되는 액체배출로(11)가 뚫려져 형성되며 하부에 용기(1)의 유출구(1b)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0a)가 구비된다.
이 결합부(10a)는 외주면에 용기(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파여져 유출구(1b)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0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장착부(10)는 상부면에 후술될 뚜껑부(50)가 결합하여 그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구로 걸림돌기(1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캡장착부(10)는 결합부(10a)가 유출구(1b)에 결합홈(10b)을 통해 끼워져 결합되어 장착 고정되며, 이 결합홈(10b)은 용기(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파여져 유출구(1b)가 결합홈(10b)에 끼워져 실링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결합부(10a)의 하부는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져 결합부(10a)를 유출구(1b)에 위치시킨 후 위에서 가압하면 유출구(1b)가 결합홈(10b)에 용이하게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캡장착부(10)의 상부에는 가이드부(20)가 소정의 높이로 일체로 돌출되며, 이 가이드부(20)에는 상기 액체배출로(11)에 연통된 액체유출통로(21)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부(20)의 단부에는 캡장착부(10)의 외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일정길이를 가지고 돌출된 설부(30)가 구비된다.
이 설부(30)는 그 상부로 액체유출통로(21)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며, 액체가 유로를 통해 흐를 경우 양 측으로 유체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유로 중심에서 양측으로 소정의 원호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 설부(30)는 유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액체가 용기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부(30)의 단부는 하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굴곡된 굴곡부(40)가 형성된다.
이 굴곡부(40)는 설부(30)의 단부에 일체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굴곡되어 형성되며, 그 상부로 유로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액체유출통로(21)와 액체배출로(11) 사이에는 액체를 용기(1)의 내부로 재주입이 가능하도록 그 내측면에 용기(1) 내부로 액체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재주입안내면(12a)이 형성된 액체재주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장착부(10)의 일측에는 연결부재(51)에 의해 연결되며, 이 캡장착부(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액체유출통로(21)를 개폐하는 뚜껑부(50)가 구비된다.
이 뚜껑부(50)는 캡장착부(10)의 상부에 결합할 경우 걸림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 걸림돌기(13)가 결합되어 걸리는 걸림홈(미도시)이 파여져 형성된다.
상기 캡장착부(10)와 뚜껑부(50)는 통상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연결부재(51)는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일단은 캡장착부(10)에 타단은 뚜껑부(50)에 고정되고 이는 종래의 공지된 것과 동일하고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즉, 상기 뚜껑부(50)는 캡장착부(10)의 상부에 결합되면 걸림돌기(13)가 걸림홈에 걸리게 되어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며, 그 닫힌 상태에서 뚜껑부(50)에 걸림돌기(13)가 걸림홈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힘을 가하면 걸림돌기(13)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뚜껑부(50)가 분리되어 액체유출통로(21)를 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린 뚜껑부(50)는 캡장착부(10)에 연결부재(51)로 연결되어 분리된 뚜껑부(50)를 거치해야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다시 뚜껑부(50)를 캡장착부(10)로 결합하여 액체유출통로(21)를 닫을 경우 분리된 뚜껑부(50)를 찾을 필요가 없고 간편하게 뚜껑부(50)를 캡장착부(10)로 결합, 분리하여 액체유출통로(21)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뚜껑부(50)는 연결부재(51)가 고정된 측 단부에 지지돌기(52)가 돌출되어 용기(1)가 기울어질 경우 분리된 뚜껑부(50)가 기울어진 측으로 넘어와 액체유출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용기(1)의 저장실(1a)에 저장된 액체를 유출시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1)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야 하는데, 이 경우 분리되어 연결부재(51)로 연결된 뚜껑부(50)가 자체 하중에 의해 용기(1)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넘어가 뚜껑부(50)가 캡장착부(10)의 상부로 안착되면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간섭하여 유체가 원하는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주변이나 용기(1) 외측으로 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액체를 유출시켜 사용하기 위해 뚜껑부(50)가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1)를 기울이면 뚜껑부(50)가 기울이는 방향으로 넘어가면서 지지돌기(52)가 캡장착부(10)의 외측에 맞닿으면서 뚜껑부(50)를 지지하게 되어 이 뚜껑부(50)가 더 이상 기울이는 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은 주로 참기름, 또는 식용유를 저장하는 용기(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어떠한 액체를 담아 보관하는 용기(1)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용기 내의 액체를 안내하여 유출시키는 액체유출통로에 이중으로 경사져 굴곡되는 설부와 굴곡부가 형성되어 이 굴곡부가 표면장력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설부를 통과한 액체가 굴곡부를 거쳐 유출될 경우 액체가 설부의 아랫부분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액체의 유출이 원활하여 액체가 용기나 바닥 등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세한 양의 액체를 정확히 유출시킬 수 있어 사용 시 편의성과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인 용기용 캡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캡장착부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용기 10 : 캡장착부
11 : 액체배출로 20 : 가이드부
21 : 액체유출통로 30 : 설부
40 : 굴곡부 50 : 뚜껑부
51 : 연결부재 52 : 지지돌기

Claims (4)

  1.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고, 저장실에 채워진 액체를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1b)가 뚫려진 용기(1)의 상기 유출구(1b)에 장착되며, 이 유출구(1b)에 연통되는 액체배출로(11)가 관통되어 형성된 캡장착부(10)와;
    상기 캡장착부(10)의 액체배출로(11) 상에 캡장착부(10)의 상부로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며, 액체배출로(11)에 연통된 액체유출통로(21)가 형성된 가이드부(20)와;
    상기 가이드부(20)의 단부에 캡장착부(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액체유출통로(21)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설부(30)와;
    상기 설부(30)의 단부가 하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굴곡부(40)와;
    연결부재(51)에 의해 캡장착부(10)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캡장착부(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액체의 배출을 단속하는 뚜껑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출통로(21)와 액체배출로(11) 사이에는 액체를 용기(1)의 내부로 재주입이 가능하도록 그 내측면에 용기(1) 내부로 액체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재주입안내면(12a)이 형성된 액체재주입구(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0)는 연결부재(51)가 고정된 측 단부에 지지돌기(52)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설부(30)는 유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액체가 용기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KR20-2005-0008225U 2005-03-25 2005-03-25 용기용 캡 KR200386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25U KR200386874Y1 (ko) 2005-03-25 2005-03-25 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25U KR200386874Y1 (ko) 2005-03-25 2005-03-25 용기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874Y1 true KR200386874Y1 (ko) 2005-06-16

Family

ID=4368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225U KR200386874Y1 (ko) 2005-03-25 2005-03-25 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03Y1 (ko) * 2011-12-06 2013-12-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03Y1 (ko) * 2011-12-06 2013-12-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004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CA2409943C (en) Self regulating spout
US20050205587A1 (en) Cup assembly
CA2468176C (en) Vented fluid closure and container
JP6194132B1 (ja)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KR200386874Y1 (ko) 용기용 캡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KR200445206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ES2268346T3 (es) Tapon dosificador para contenedor de liquidos.
KR101134236B1 (ko) 용기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JP2019119452A (ja) 注出キャップ
JP2005162225A (ja) 液溜め室付き容器
JP3307588B2 (ja) 合成樹脂シート製流体用袋容器
KR200446598Y1 (ko) 액체용기 뚜껑
JP3330943B2 (ja) 流体収納容器
JP7449554B2 (ja) 注出キャップおよび容器
JP3171149U (ja) 墨汁容器用注ぎ口付キャップ
KR102374700B1 (ko) 빨대 삽입 가능 구조를 포함하는 병뚜껑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WO2004067398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102250271B1 (ko) 음료용기
KR200365965Y1 (ko) 액체용기 뚜껑
KR101322697B1 (ko) 유체 누수방지용 기능성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