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768Y1 - 작업용 운반 대차 - Google Patents

작업용 운반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768Y1
KR200386768Y1 KR20-2005-0006083U KR20050006083U KR200386768Y1 KR 200386768 Y1 KR200386768 Y1 KR 200386768Y1 KR 20050006083 U KR20050006083 U KR 20050006083U KR 200386768 Y1 KR200386768 Y1 KR 200386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table
mounting
cover
cargo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수
Original Assignee
강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수 filed Critical 강희수
Priority to KR20-2005-0006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화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운반 대차에 관한 것이다.
즉, 승강안내레일(30)의 상부커버(301)에 수나사(302)를 설치하여 다수의 스프링설치공(402)을 형성한 지지대(40)의 암나사(401)와 결합하고, 적재대(50)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다리(50a)를 양측 승강안내레일(30) 사이로 투입하여 그 상부를 연결부(502)로 연결하여 연결부(502)의 양단부에는 상향으로 설치부(501)를 형성하여 설치부(501) 외측면에 안내로울러(503a,503b)를 설치하고, 설치부(501) 상단부에는 완충부재(504)를 형성하며, 연결부(502) 상면에는 다수의 걸고리(505)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40)의 스프링설치공(402)과 걸고리(505) 간에 코일스프링(60)을 설치하고,
양측 승강안내레일(30) 전면에는 전면커버(70)를 설치하되, 전면커버(70)의 하단부 양측에는 적재대(50)의 연결다리(50a)가 투입되어 승강하도록 승강안내홈(701)을 형성하고, 적재대(50)의 설치부(501) 전면에 안전커버(506)를 설치하고, 적재대(50) 상면과 전면커버(70) 사이에 연질의 소재로 된 틈새커버(507)를 부설함으로써,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에 따라서 적재대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작업자가 운반 대차를 사용한 화물의 적재나 이송 작업시에 노동 강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커버를 이용해 적재대가 승강하는 승강부나 틈새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작업용 운반 대차 {CARRYING CART FOR WORK}
본 고안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화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운반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재된 화물의 무게에 따라서 적재대가 적절한 높이로 승강케 함으로써 작업자가 적재대에 화물을 싣고 내리기가 편리하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작업용 운반 대차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 현장에서는 생산중인 각종 부품이나 제품 또는 생산된 완제품 등을 작업장 내 특정 장소로 옮겨야 할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로 작업용 운반 대차이다.
이러한 작업용 운반 대차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적재대(A)의 저면에는 이동 및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캐스터(B)를 설치하고, 적재대(A) 일측에는 운반 대차를 밀어서 인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C)가 설치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운반 대차는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대(A)가 지면에 가까운 높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대(A)에 화물을 싣고 내릴 때 작업자의 허리를 많이 숙여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불편한 작업 자세로 인하여 피로가 가중되고, 이러한 작업 자세를 유지하며 장기간 작업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허리나 각종 관절부에 무리를 주어 부상이나 심한 경우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산업 현장에서 각종 화물의 운반을 더욱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근로 여건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적재대의 승강시 적재대의 이동 경로 상에 안전장치를 부가하여 손가락 등의 끼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적재대 간에 코일스프링을 탄설하여 적재대에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서 적재대가 승강안내레일을 따라 승강케 하고,
적재대와 승강안내레일 사이에는 안전커버를 설치하여 적재대의 승강 중 각종 이물이 적재대와 승강안내레일의 틈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승강안내레일(30)을 형성하여 적재대(50) 후방에 형성된 설치부(501)의 안내로울러(503a,503b)를 상기 승강안내레일(30) 내부에 투입하고, 본체(10) 상부와 적재대(50) 간에는 코일스프링(60)을 설치하여 적재대(50)에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서 적재대(50)가 승강케 한 공지의 작업용 운반 대차에 있어서,
승강안내레일(30)의 상부커버(301)에 수나사(302)를 설치하여 다수의 스프링설치공(402)을 형성한 지지대(40)의 암나사(401)와 결합하고,
적재대(50)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다리(50a)를 양측 승강안내레일(30) 사이로 투입하여 그 상부를 연결부(502)로 연결하여 연결부(502)의 양단부에는 상향으로 설치부(501)를 형성하여 설치부(501) 외측면에 안내로울러(503a,503b)를 설치하고, 설치부(501) 상단부에는 완충부재(504)를 형성하며, 연결부(502) 상면에는 다수의 걸고리(505)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40)의 스프링설치공(402)과 걸고리(505) 간에 코일스프링(60)을 설치하고,
양측 승강안내레일(30) 전면에는 전면커버(70)를 설치하되, 전면커버(70)의 하단부 양측에는 적재대(50)의 연결다리(50a)가 투입되어 승강하도록 승강안내홈(701)을 형성하고, 적재대(50)의 설치부(501) 전면에 안전커버(506)를 설치하고, 적재대(50) 상면과 전면커버(70) 사이에 연질의 소재로 된 틈새커버(507)를 부설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본 고안의 작업용 운반 대차는 본체(10) 저면에 4륜의 캐스터(20)를 설치하되 후방의 2륜은 고정형 캐스터(20)를 설치하고, 전방의 2륜은 제동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캐스터(20)를 설치하여 본체(1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본체(10)의 상부 양측에는 상향으로 승강안내레일(30)을 일체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 양측 승강안내레일(30)을 덮는 상부커버(301)에는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나사(302)를 설치하여, 다수의 스프링설치공(402)을 형성한 지지대(4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암나사(401)에 상기 수나사(302)를 체결함으로써, 상부커버(301)에 설치된 수나사(302)에 회전에 의해 지지대(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넓은 판 형태로 된 적재대(5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연결다리(50a)를 양측 승강안내레일(30) 사이로 투입하여 그 상부를 연결부(502)로 연결하여 연결부(502)의 양단부에는 상향으로 설치부(501)를 형성하여 설치부(501) 외측면에 안내로울러(503a,503b)를 설치하고, 설치부(501) 상단부에는 완충부재(504)를 형성하며, 연결부(502) 상면에는 다수의 걸고리(505)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40)에 형성된 스프링설치공(402)과 걸고리(505) 간에 코일스프링(60)을 설치하게 되는데, 걸고리(505)는 전방이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코일스프링(6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적재대(50)에 화물을 싣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지대(40)와 연결부(502)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적재대(50)가 지면에서 대략 60 ~ 80cm 사이의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정도의 높이가 작업자에 적재대(50) 상부에 화물을 싣기에 가장 편안한 높이이다.
그런데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적재대(50) 상부에 어떠한 화물을 싣게 되면, 그 화물의 중량이 적재대(50)에 작용함으로써 적재대(50)가 하강하게 되는데, 적재대(50)가 화물의 중량에 의해 하강하는 동안에는 지지대(40)와 연결부(502)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60)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코일스프링(60)의 장력이 증가하고 되고, 이 장력의 값이 적재대(50)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과 같아지는 지점에서 적재대(50)의 하강이 멈추기 때문에 적재대(50)에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서 적재대(50)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허리를 크게 숙이지 않고도 적재대(50) 상부에 화물을 싣거나 또는 적재대(50)에 실린 화물을 내리는 작업을 더욱 편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노동 강도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02)의 양측 상부에 형성된 설치부(501)의 외측면에는 각각 안내로울러(503a,503b)를 설치함으로써 이 안내로울러(503a,503b)가 승강안내레일(30)의 내측 삼면에 모두 밀착하여 설치부(501)가 승강하기 때문에 설치부(501)의 요동을 방지하여 적재대(50)의 승강이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설치부(501)의 상단부에는 완충부재(504)를 설치함으로써,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설치부(501)의 상단부가 승강안내레일(30)의 상부커버(301) 저면에 밀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소음을 완화하게 되는데, 그 소재로는 탄력성이 우수한 연질의 고무나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측면 단면 예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본체(10)의 전면과 후면은 모두 커버에 의해 은폐되며, 상부 역시도 상부커버(301)에 의해 은폐된다.
다만, 도면과 같이 전면커버(70)의 하부에는 소정 높이만큼의 승강안내홈(701)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승강안내홈(701)은 적재대(5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안내레일(30) 간에 위치하는 연결부(502)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다리(50a)가 승강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적재대(50)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재대(50)의 상면 내측 끝단에는 연질의 소재로 된 틈새커버(507)를 부설함으로써, 적재대(50)가 승강할 때 적재대(50)와 승강안내레일(30)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70)간의 틈새를 막아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적재대(50)의 승강 작동 과정에서 좁은 틈새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또는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미리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적재대에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에 따라서 적재대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작업자가 적재대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에 가장 적당한 최적의 높이를 항상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운반 대차를 사용한 화물의 적재나 이송 작업시에 노동 강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커버를 이용해 적재대가 승강하는 승강부나 틈새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재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면커버를 떼어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측면 단면 예시도
도 7은 종래의 작업용 운반 대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캐스터
30 : 승강안내레일 301 : 상부커버
302 : 수나사 40 : 지지대
401 : 암나사 402 : 스프링설치공
50 : 적재대 50a : 연결다리
501 : 설치부 502 : 연결부
503a,503b : 안내로울러 504 : 완충부재
505 : 걸고리 506 : 안전커버
507 : 틈새커버 60 : 코일스프링
70 : 전면커버 701 : 승강안내홈
80 : 핸들

Claims (1)

  1.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승강안내레일(30)을 형성하여 적재대(50) 후방에 형성된 설치부(501)의 안내로울러(503a,503b)를 상기 승강안내레일(30) 내부에 투입하고, 본체(10) 상부와 적재대(50) 간에는 코일스프링(60)을 설치하여 적재대(50)에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서 적재대(50)가 승강케 한 공지의 작업용 운반 대차에 있어서,
    승강안내레일(30)의 상부커버(301)에 수나사(302)를 설치하여 다수의 스프링설치공(402)을 형성한 지지대(40)의 암나사(401)와 결합하고,
    적재대(50)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다리(50a)를 양측 승강안내레일(30) 사이로 투입하여 그 상부를 연결부(502)로 연결하여 연결부(502)의 양단부에는 상향으로 설치부(501)를 형성하여 설치부(501) 외측면에 안내로울러(503a,503b)를 설치하고, 설치부(501) 상단부에는 완충부재(504)를 형성하며, 연결부(502) 상면에는 다수의 걸고리(505)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40)의 스프링설치공(402)과 걸고리(505) 간에 코일스프링(60)을 설치하고,
    양측 승강안내레일(30) 전면에는 전면커버(70)를 설치하되, 전면커버(70)의 하단부 양측에는 적재대(50)의 연결다리(50a)가 투입되어 승강하도록 승강안내홈(701)을 형성하고, 적재대(50)의 설치부(501) 전면에 안전커버(506)를 설치하고, 적재대(50) 상면과 전면커버(70) 사이에 연질의 소재로 된 틈새커버(507)를 부설하여서 된 작업용 운반 대차
KR20-2005-0006083U 2005-03-07 2005-03-07 작업용 운반 대차 KR200386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083U KR200386768Y1 (ko) 2005-03-07 2005-03-07 작업용 운반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083U KR200386768Y1 (ko) 2005-03-07 2005-03-07 작업용 운반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768Y1 true KR200386768Y1 (ko) 2005-06-16

Family

ID=4368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083U KR200386768Y1 (ko) 2005-03-07 2005-03-07 작업용 운반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7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109A (zh) * 2014-11-11 2015-03-04 安徽安庆南风日化有限责任公司 自抬式运料小车
KR20160000049U (ko) * 2014-06-27 2016-01-06 명형진 식판적재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49U (ko) * 2014-06-27 2016-01-06 명형진 식판적재이동장치
KR200481488Y1 (ko) 2014-06-27 2016-10-14 명형진 식판적재이동장치
CN104386109A (zh) * 2014-11-11 2015-03-04 安徽安庆南风日化有限责任公司 自抬式运料小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7585B1 (en) Transport Cart configured to Transport Beds with Wheels
US8662507B2 (en) Self-elevating and self-lowering assembly cart for transporting a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component
KR200386768Y1 (ko) 작업용 운반 대차
KR101760923B1 (ko)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US20190308861A1 (en) Countertop Installation Cart
KR102055270B1 (ko) 적재판의 승강 조절이 용이한 핸드카트
JP2003276821A (ja) トラックローダ
KR200401152Y1 (ko)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
US20020189050A1 (en) Caster assembly
US20230382444A1 (en) Drywall car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7071951A (ja) 荷台昇降用梯子
JP6882804B2 (ja) 階段スリップ防止のための階段昇降用自動運搬台車
ATE314291T1 (de) Führung für hin- und hergehende latten eines flurförderers
US11723826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frame guard
CN215439541U (zh) 手动搬运机
CN212668319U (zh) 变形装卸传送机
KR101824323B1 (ko) 계단 승강 가능한 운반 대차
KR200303259Y1 (ko) 사다리형 화물운반대차
KR200362853Y1 (ko) 다용도 의자
KR200243630Y1 (ko) 캐스터
US20040182682A1 (en) Extendable and retractable conveyor
KR200387932Y1 (ko) 작업용 운반 대차
KR102133833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KR200367791Y1 (ko)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적재부를 구비한운반대차
CN219116483U (zh) 一种大件运输新型装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