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049U - 식판적재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식판적재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049U
KR20160000049U KR2020140004851U KR20140004851U KR20160000049U KR 20160000049 U KR20160000049 U KR 20160000049U KR 2020140004851 U KR2020140004851 U KR 2020140004851U KR 20140004851 U KR20140004851 U KR 20140004851U KR 20160000049 U KR20160000049 U KR 201600000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plate
upper portion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488Y1 (ko
Inventor
명형진
Original Assignee
명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형진 filed Critical 명형진
Priority to KR2020140004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8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vertically stac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만을 손쉽게 승강 또는 하강하여 하부판의 우측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손잡이와, 지지회동편과, 회동연결편, 승강봉이 서로 연결되어 수직지지대에서 회동링크작용으로 승강되는 승강봉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스토퍼가 하부판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와 서로 마주하여 설치되어 이동바퀴스토퍼가 이동바퀴를 손쉽게 정지 또는 이동하도록 하고, 수직지지대의 우측에서 적재되는 식판들의 무게에 의해 식판지지대가 자동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식판지지대의 우측에 좌측이 연결되고, 상부가 수직지지대의 공간부 상부와 스프링들로 연결된 승강부로 구성하여 식판들의 무게로 자유자재로 식판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도록하여 다수의 식판들을 식판지지대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적재하여 이동 또는 정지하도록한 식판적재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판적재이동장치{MOVING DEVICE}
본 고안은 식판적재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만을 손쉽게 승강 또는 하강하여 하부판의 우측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손잡이와, 지지회동편과, 회동연결편, 승강봉이 서로 연결되어 수직지지대에서 회동링크작용으로 승강되는 승강봉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스토퍼가 하부판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와 서로 마주하여 설치되어 이동바퀴스토퍼가 이동바퀴를 손쉽게 정지 또는 이동하도록 하고, 수직지지대의 우측에서 적재되는 식판들의 무게에 의해 식판지지대가 자동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식판지지대의 우측에 좌측이 연결되고, 상부가 수직지지대의 공간부 상부와 스프링들로 연결된 승강부로 구성하여 식판들의 무게로 자유자재로 식판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도록하여 다수의 식판들을 식판지지대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적재하여 이동 또는 정지하도록한 식판적재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판적재이동장치는 자동식판 및 식기세척장치에서 식판 및 식기가 분류되어 세척 및 건조되어 적재보관장소로 식판을 이동하는데 사용하여왔다.
이러한 식판적재이동장치는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된 하부판과, 하부판의 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에 구비된 손잡이와, 하부판의 우측하부판에 설치된 양 이동바퀴에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식판적재이동장치를 이동 및 제어하는 제어자가 발로서 제어수단을 밟아서 이동바퀴를 정지 또는 이동되게 사용하여왔다.
그러나, 상기 식판적재이동장치는 제어자의 양손이 손잡이를 잡고 하부판에 적재된 식판들을 적재보관장소 이동하여 정지시 제어자는 발로 제어수단을 밟어 이동바퀴의 이동을 정지시켰는데 이는 식판적재이동장치의 하부판에 식판들의 무게에 의해 제어자가 이동바퀴를 제어수단을 발로 밟아 정지시키는데 큰 어려움과 불편함이 발생되었고, 다수개의 식판들이 적재된 식판적재이동장치의 이동바퀴를 제어자가 발로 제어수단을 밟아 이동바퀴를 정지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많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손잡이만을 손쉽게 승강 또는 하강하여 하부판의 우측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손잡이와, 지지회동편과, 회동연결편, 승강봉이 서로 연결되어 수직지지대에서 회동링크작용으로 승강되는 승강봉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스토퍼가 하부판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와 서로 마주하여 설치되어 이동바퀴스토퍼가 이동바퀴를 손쉽게 정지 또는 이동하도록 하고, 수직지지대의 우측에서 적재되는 식판들의 무게에 의해 식판지지대가 자동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식판지지대의 우측에 좌측이 연결되고, 상부가 수직지지대의 공간부 상부와 스프링들로 연결된 승강부로 구성하여 식판들의 무게로 자유자재로 식판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도록하여 다수의 식판들을 식판지지대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적재하여 이동 또는 정지하도록한 새로운 식판적재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동식판 및 식기세척장치에서 공급되는 식판들을 정확하게 적재하기 위해서 간격유지가 필요로 하는데, 식판의 크기에 맞춰 폭을 조절하고 자동식판 및 식기세척장치에서 자동적재되는 식판의 낙하의 충격을 완화되도록 수직완충부재 및 부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11)가 설치된 하부판(10) 및 상기 하부판(10)의 우측상부에 설치되고 공간부(21)를 갖는 수직지지대(20)와: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부우측에 형성된 연통공(31)과, 상기 연통공(31)의 양측에 좌측이 각각 삽입된 지지회동편(32)과, 상기 지지회동편(32)의 하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측면에 힌지(h)로 각각 고정설치되고, 양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봉(33)으로 구비된 손잡이(30) 및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양측에 삽입된 승강봉(41)과, 하부는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상부와 상기 힌지(h)로 연결되고, 상부는 승강봉(41)의 상부와 힌지(h)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회동연결편(40)과; 양 상기 승강봉(41)의 하부는 상기 하부판(10)의 우측 하부면에 설치된 양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부판(10)의 우측 하부면을 관통설치되고, 양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와 마주하여 상기 이동바퀴(11)를 제어하도록 상기 승강봉(41)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10)의 하부면에 설치된 스프링(51)을 갖는 이동바퀴스토퍼(50) 및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좌측에 형성된 승강공(61)과, 상기 승강공(61)에 우측이 삽입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식판지지대(60)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이 좌측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21)좌측에서 다수개의 로울러(71)로 승강되며, 후방 상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후방 하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스프링(72)이 구비된 승강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은 상기 하부판(10)의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수직안내봉(80)과, 양 상기 수직안내봉(80)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상기 수직안내봉(80)에 관통설치된 부싱(81)과, 상기 부싱(81)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에 형성된 승강공(63)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좌측하부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돤 완충부재(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70)의 상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기 공간부(21)의 좌측상부에 설치된 수직볼트(101)의 하부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된스토퍼(100)에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판(10)의 둘레의 모서리부분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충격방지패드(110)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전방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식판지지대(60)의 후방에 형성된 승강홈(62)에서 승강안내되는 수직돌출부(20a)와, 상기 수직돌출부(20a)의 전방면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수직완충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손잡이만을 손쉽게 승강 또는 하강하여 하부판의 우측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손잡이와, 지지회동편과, 회동연결편, 승강봉이 서로 연결되어 수직지지대에서 회동링크작용으로 승강되는 승강봉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스토퍼가 하부판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와 서로 마주하여 설치되어 이동바퀴스토퍼가 이동바퀴를 손쉽게 정지 또는 이동하도록 하고, 수직지지대의 우측에서 적재되는 식판들의 무게에 의해 식판지지대가 자동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식판지지대의 우측에 좌측이 연결되고, 상부가 수직지지대의 공간부 상부와 스프링들로 연결된 승강부로 구성하여 식판들의 무게로 자유자재로 식판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도록하여 다수의 식판들을 식판지지대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적재하여 이동 또는 정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수직지지대에 설치되어 식판지지대를 안내하는 수직완충부재 및 식판지지대를 안내하는 수직안내봉에 부싱을 더 설치하여 수직완충부재 및 부싱은 식판지지대의 상부에 식판들이 낙하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고, 식판지지대의 승강시 식판들로 인한 소음과 식판들에 스크래치를 줄이고, 수직완충부재는 식판크기에 맞추어 그 크기를 조절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측면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평면개략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승강봉,이동바퀴스토퍼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식판지지대와, 승강부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측면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평면개략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승강봉,이동바퀴스토퍼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식판지지대와, 승강부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식판적재이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식판적재이동장치는 하부판(10)과, 수직지지대(20)와, 손잡이(30)와, 회동연결편(40)과, 이동바퀴스토퍼(50)와, 식판지지대(60)와, 승강부(7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10)은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1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퀴(11)는 4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하부판(10)은 사각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판(10)의 둘레의 모서리부분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충격방지패드(110) 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충격방지패드(110)는 상기 하부판(10)의 외측둘레의 모서리부분이 작업자의 발에 부딛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직지지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20)는 상기 하부판(10)의 우측상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0)의 내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30)는 도 1,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0)는 지지회동편(32)과, 수평봉(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회동편(32)은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부우측에 형성된 연통공(31)과, 상기 연통공(31)의 양측에 좌측이 각각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회동편(32)의 하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측면에 힌지(h)로 각각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봉(33)은 양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봉(33)은 양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우측에 위치하여 양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상부는 후술되는 상기 회동연결편(40)의 하부에 상기 힌지(h)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연결편(40)은 도 1, 도 4a, 도 4bdp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연결편(40)은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양측에 삽입된 승강봉(41)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연결편(40)의 하부는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상부와 상기 힌지(h)로 연결되고, 상기 회동연결편(40)의 상부는 상기 승강봉(41)의 상부와 상기 힌지(h)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퀴스토퍼(50)는 도 1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퀴스토퍼(50)는 양 상기 승강봉(41)의 하부는 상기 하부판(10)의 우측 하부면에 설치된 양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부판(10)의 우측 하부면을 관통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와 마주하여 상기 이동바퀴(11)를 제어하도록 상기 승강봉(41)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10)의 하부면에 설치된 스프링(51)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51)의 탄발력으로 상기 승강봉(41)은 하강되었다가 자동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a는 상기 손잡이(30)를 상부로 들어올려서, 상기 손잡이(30)와 연동되게 설치된 상기 지지회동편(32)은 상기 수직지지대(20)에 측면에 설치된 상기 힌지(h)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상부에 상기 힌지(h)와 하부가 연결된 상기 회동연결편(40)은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상부에서 회동되며, 이러하게 상기 회동연결편(40)이 회동되면(회동링크작용) 상기 회동연결편(40)의 상부와 상기 힌지(h)와 연결된 상기 승강봉(41)은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봉(41)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72)의 상부는 상기 하부판(10)의 하부면을 의지하여 팽창되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봉(41)의 하부는 상기 하부판(10)에 관통되어 상기 하부판(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와 마주하여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프링(72)이 팽창되어지면, 상기 승강봉(41)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이동바퀴스토퍼(50)는 상기 스프링(72)의 팽창작용으로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면을 압박하여 상기 이동바퀴(11)의 이동을 하지 못하게 하여 상기 이동바퀴(11)들을 움직이지않도록 정지된다.
또한, 도 4b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로 상승되었던 상기 손잡이(30)를 하부로 하강 시켜주면, 상기 손잡이(30)와 연동되게 설치된 상기 지지회동편(32)은 상기 수직지지대(20)에 측면에 설치된 상기 힌지(h)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상부에 상기 힌지(h)와 하부가 연결된 상기 회동연결편(40)은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상부에서 회동되며(회동링크작용), 이러하게 상기 회동연결편(40)이 회동되면 상기 회동연결편(40)의 상부와 상기 힌지(h)와 연결된 상기 승강봉(41)은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봉(41)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72)의 상부는 상기 하부판(10)의 하부면을 의지하여 압축되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봉(41)의 하부는 상기 하부판(10)에 관통되어 상기 하부판(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와 마주하여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프링(72)이 압축되어지면, 상기 승강봉(41)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이동바퀴스토퍼(50)는 상기 스프링(72)의 압축작용으로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면을 압박에서 해제하여 상기 이동바퀴(11)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식판지지대(60)는 도 1,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식판지지대(60)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좌측에 형성된 승강공(61)과, 상기 승강공(61)에 우측이 삽입되어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은 상기 승강공(61)내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식판(미도시)들이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7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70)는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이 좌측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70)는 상기 공간부(21)좌측에서 다수개의 로울러(71)로 승강되며, 후방 상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후방 하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스프링(72)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로울러(71)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기 공간부(21)의 좌측면에서 승강안내되도록 상기 승강부(70)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 다른 상기 로울러(71)는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상기 공간부(21)의 우측면에서 승강안내되도록 상기 승강부(7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로울러(71)로 상기 승강부(70)의 양측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은 상기 하부판(10)의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수직안내봉(80)과, 양 상기 수직안내봉(80)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직안내봉(80)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식판지지대(60)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을 반복적으로 유도하도록하여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의 상기 식판(미도시)들이 상기 식판지지대(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양 상기 수직안내봉(80)에 관통설치된 부싱(81)과, 상기 부싱(81)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에 형성된 승강공(63)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전방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식판지지대(60)의 후방에 형성된 승강홈(62)에서 승강안내되는 수직돌출부(20a)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돌출부(20a)의 전방면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수직완충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수직지지대(20)에 설치되어 상기 식판지지대(60)를 안내하는 상기 수직완충부재(120) 및 상기 식판지지대를(60) 안내하는 상기 수직안내봉(80)에 상기 부싱(81)을 더 설치하여 상기 수직완충부(120)재 및 상기 부싱(81)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 상기 식판(미도시)들이 낙하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승강시 상기 식판(미도시)들로 인한 소음과 상기 식판(미도시)들에 스크래치를 줄이고, 상기 수직완충부재(120)는 상기 식판(미도시)의 크기에 맞추어 그 크기를 조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좌측하부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돤 완충부재(9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90)는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좌측하부에 복수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90)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식판지지대(60)가 하부로 하강시 완충작용하여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식판(미도시)들이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하며, 상기 식판지지대(60)의 하부면이 상기 하부판(10)의 상부면에 급격이 하강하여 안착시 발생되는 소음의 발생을 예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승강부(70)의 상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기 공간부(21)의 좌측상부에 설치된 수직볼트(101)의 하부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스토퍼(100)에 간섭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볼트(101) 및 상기 스토퍼(100)는 복수개로 상기 공간부(21)의 좌측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00)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승강부(70)가 상부로 상승시 완충작용하여 상기 승강부(70)와 연결된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식판(미도시)들이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하며, 상기 승강부(70)의 상부면이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기 공간부(21)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지지회동편(32)에 부딛쳐 발생되는 소음의 발생을 예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식판지지대(60) 및 상기 승강부(70)의 승강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식판지지대(60)와 상기 승강부(70)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상기 식판(미도시)들의 무게에 의해 하강되고, 이때, 상기 승강부(70)의 후방상부와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기 공간부(2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기 스프링(72)들은 팽창되어 진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상부에서 다수의 상기 식판(미도시)이 제거되면 상기 승강부(70)의 후방상부와 상기 공간부(21)의 상부에서 팽창되었던 상기 스프링(72)들이 압축되어진다.
이때, 상기 식판지지대(60)와 상기 승강부(70)는 상부로 자동으로 상승하여 진다.
상술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30)만을 손쉽게 승강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하부판(10)의 우측하부에 설치된 상기 이동바퀴(11)를 상기 손잡이(30)와, 상기 지지회동편(32)과, 상기 회동연결편(40)과, 상기 승강봉(41)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수직지지대(20)에서 회동링크작용으로 승강되는 상기 승강봉(41)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이동바퀴스토퍼(50)가 상기 하부판(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이동바퀴(11)와 서로 마주하여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퀴스토퍼(50)가 상기 이동바퀴(11)를 손쉽게 정지 또는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우측에서 적재되는 식판들의 무게에 의해 상기 식판지지대(60)가 자동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에 좌측이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기 공간부(21)의 상부와 스프링(72)들로 연결된 상기 승강부(70)로 구성하여 식판(미도시)들의 무게로 자유자재로 상기 식판지지대(6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도록 하여 다수의 식판(미도시)들을 상기 식판지지대(60)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적재하여 이동 또는 정지하도록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하부판 20 : 수직지지대
21 : 공간부 30 : 손잡이
32 : 지지회동편 33 : 수평봉
40 : 회동연결편 41 : 승강봉
50 : 이동바퀴스토퍼 60 : 식판지지대
70 : 승강부 80 : 수직안내봉
90 : 완충부재 100 : 스토퍼
110 : 충결방지패드 120 : 수직완충부재

Claims (7)

  1.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11)가 설치된 하부판(10) 및 상기 하부판(10)의 우측상부에 설치되고 공간부(21)를 갖는 수직지지대(20)와: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부우측에 형성된 연통공(31)과, 상기 연통공(31)의 양측에 좌측이 각각 삽입된 지지회동편(32)과, 상기 지지회동편(32)의 하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측면에 힌지(h)로 각각 고정설치되고, 양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봉(33)으로 구비된 손잡이(30) 및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양측에 삽입된 승강봉(41)과, 하부는 상기 지지회동편(32)의 상부와 상기 힌지(h)로 연결되고, 상부는 승강봉(41)의 상부와 힌지(h)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회동연결편(40)과;
    양 상기 승강봉(41)의 하부는 상기 하부판(10)의 우측 하부면에 설치된 양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부판(10)의 우측 하부면을 관통설치되고, 양 상기 이동바퀴(11)의 상부와 마주하여 상기 이동바퀴(11)를 제어하도록 상기 승강봉(41)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10)의 하부면에 설치된 스프링(51)을 갖는 이동바퀴스토퍼(50) 및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좌측에 형성된 승강공(61)과, 상기 승강공(61)에 우측이 삽입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식판지지대(60)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이 좌측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21)좌측에서 다수개의 로울러(71)로 승강되며, 후방 상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후방 하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스프링(72)이 구비된 승강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적재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은 상기 하부판(10)의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수직안내봉(80)과, 양 상기 수직안내봉(80)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적재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양 상기 수직안내봉(80)에 관통설치된 부싱(81)과, 상기 부싱(81)은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우측에 형성된 승강공(63)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적재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지지대(60)의 좌측하부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돤 완충부재(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적재이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70)의 상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기 공간부(21)의 좌측상부에 설치된 수직볼트(101)의 하부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스토퍼(100)에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적재이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0)의 둘레의 모서리부분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충격방지패드(110)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적재이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전방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식판지지대(60)의 후방에 형성된 승강홈(62)에서 승강안내되는 수직돌출부(20a)와, 상기 수직돌출부(20a)의 전방면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수직완충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적재이동장치.





KR2020140004851U 2014-06-27 2014-06-27 식판적재이동장치 KR200481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51U KR200481488Y1 (ko) 2014-06-27 2014-06-27 식판적재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51U KR200481488Y1 (ko) 2014-06-27 2014-06-27 식판적재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49U true KR20160000049U (ko) 2016-01-06
KR200481488Y1 KR200481488Y1 (ko) 2016-10-14

Family

ID=5517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51U KR200481488Y1 (ko) 2014-06-27 2014-06-27 식판적재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224B1 (ko) * 2021-09-13 2021-11-18 김종석 식판 카트리지 결합형 식판 디스펜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13A (ko) * 2000-05-26 2001-12-07 이범욱 손수레용 제동장치
KR200386768Y1 (ko) * 2005-03-07 2005-06-16 강희수 작업용 운반 대차
KR20090009357U (ko) * 2008-03-13 2009-09-17 조광직 웨이퍼카세트 운반용 카트의 방진구조
KR20100008681U (ko) * 2009-02-24 2010-09-02 박진귀 식기 운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13A (ko) * 2000-05-26 2001-12-07 이범욱 손수레용 제동장치
KR200386768Y1 (ko) * 2005-03-07 2005-06-16 강희수 작업용 운반 대차
KR20090009357U (ko) * 2008-03-13 2009-09-17 조광직 웨이퍼카세트 운반용 카트의 방진구조
KR20100008681U (ko) * 2009-02-24 2010-09-02 박진귀 식기 운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224B1 (ko) * 2021-09-13 2021-11-18 김종석 식판 카트리지 결합형 식판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88Y1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580864U (zh) 钢板转运装置
CN106629138B (zh) 整垛箱体同步自动装车系统的使用方法
JP2020132432A5 (ko)
KR100741464B1 (ko) 완충형 캐스터
CN107879108B (zh) 金属板材搬运装置
CN209193476U (zh) 一种用于钢化玻璃生产的稳定型升降平台
CN106271686B (zh) 一种可平稳升降的数控机床
CN208828798U (zh) 一种卧式阻挡器
KR200481488Y1 (ko) 식판적재이동장치
US20130167471A1 (en) Adjustable lift table
CN105357880A (zh) 一种集成电路板的夹持设备
KR102434531B1 (ko) 수중운동체용 압력용기 탑재장치
KR101787561B1 (ko) 테이블 리프트
CN109879154B (zh) 一种自动化机械设备起吊装置
KR101785453B1 (ko) 운반용 대차
KR101002615B1 (ko) 볼트랜스퍼를 이용한 운반장치
CN211496114U (zh) 一种装卸盘装置及灭菌车药瓶装卸设备
CN205274088U (zh) 设有防滑垫的栈板
KR101581881B1 (ko)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CN210853393U (zh) 一种船舶电气屏装载运输装置
CN209685233U (zh) 一种基于plc控制器的升降平台
JP7031183B2 (ja) 昇降装置、及び自動倉庫
JP6234831B2 (ja) 昇降ローラー付運搬用台車
KR101293170B1 (ko) 밸트, 롤러 컨베이어와 승강 장치를 이용한 판넬의 낙하식 적재장치
CN212029039U (zh) 一种机电设备安装用支撑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