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363Y1 - 과열방지 오븐도어 - Google Patents

과열방지 오븐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363Y1
KR200386363Y1 KR20-2005-0008630U KR20050008630U KR200386363Y1 KR 200386363 Y1 KR200386363 Y1 KR 200386363Y1 KR 20050008630 U KR20050008630 U KR 20050008630U KR 200386363 Y1 KR200386363 Y1 KR 200386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door
door frame
oven
ove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8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하반부 일측만이 전면유리에 면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전면유리에 결합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는, 전면(前面)의 외형을 형성하는 전면유리(300)와; 상기 전면유리(300)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유리(300)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400)과; 상기 도어프레임(400)의 일면에 결합되어, 후면(後面)의 외형을 형성하는 내열유리(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400)은 상기 전면유리(300)의 측방에서 상하로 길게 장착되는 수직부(420)와, 상기 수직부(420)의 상단부에서 상기 전면유리(300)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면유리(30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수평부(4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프레임의 접촉면적을 줄여 오븐도어의 표면온도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열방지 오븐도어 { Overheating prevention oven door }
본 고안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하반부 일측만이 전면유리에 면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전면유리에 결합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오븐의 종류와 장착형태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한 것으로 , 이하 전기오븐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전기오븐과 가스오븐으로 대별되며, 전기오븐은 조리재료를 수납하여 밀폐한 후에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세라믹히터(Ceramic heater)와 시즈히터(Sheathe heater),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 등 다양한 히터와 고주파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열(乾熱)로 요리재료를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조리재료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요리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 또한 높으며,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서 전기오븐을 포함한 주방용품의 대다수가 빌트인타입으로 제작되는 경향이 있는데, 빌트인(Built-in)이란 각종 전자제품을 가구안에 내장하여 디자인에 일체감을 주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도 뛰어나 많이 선호되고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전기오븐(10)은 대략 직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납한 채로 조리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20)가 형성된다.
상기 전기오븐(10)의 전면 일부. 즉, 상기 오븐캐비티(20)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20)의 개구된 전면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오븐도어(3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오븐도어(30)의 상단부에는 도어핸들(32)이 구비된다.
상기 전기오븐(10)의 전면 상부 즉, 상기 오븐캐비티(20)의 전면 상방에는 컨트롤패널(40)이 구비되어, 상기 전기오븐(1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42)와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4)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븐캐비티(20)의 내부에는 시즈히터(Sheath heater)와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 등 다수개의 히터가 구비되며, 다수개의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기는 컨백션팬(Convection fan)에 의해서 상기 오븐캐비티(20)의 내부를 강제 순환하게 된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도어의 외형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오븐도어(30)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의 외형은 전면유리(50)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전면유리(50)의 전면 상부에는 도어핸들(32)이 결합된다. 상기 도어핸들(32)은 상기 오븐도어(3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유리(50)를 관통하는 스크류(S)에 의해 상기 전면 유리에 고정된다.
상기 전면유리(50)의 후면 양측에는 상기 전면유리(50)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34)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34)의 사이에 상기 오븐캐비티(20) 내부의 열기를 반사하는 반사유리(54)가 적어도 한장 이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유리(50)가 장착된 도어프레임(34)의 맞은편, 즉 상기 오븐캐비티(20) 쪽으로 접하는 면에는 내열유리(56)가 장착된다. 상기 내열유리(56)는 상기 오븐도어(30)의 후면 대부분의 외형을 형성하며, 고열에도 견딜수 있도록 특수 코팅 처리된다.
한편, 상기 오븐도어(30)의 상부에는 도어탑브라켓(36)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탑브라켓(36)은 상기 전면유리(50)와 내열유리(56)의 사이에는 반사유리(54)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상방에서 차폐함과 동시에 오븐도어(3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탑브라켓(36)은 대략 사각 통상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면과 상면의 모서리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탑브라켓(36)은 하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븐도어(3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끼움결합된 후 양측방에서 스크류(S)가 상기 도어탑브라켓(36)의 양측면과 상기 도어프레임(34)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도어의 요부구성인 도어프레임장착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34)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프레임(34)은 대략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34)의 개구된 하면은 일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전면유리(50)와 면접촉하는 접착면(3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접착면(34')은 상기 도어프레임(34)의 하면 전체에 걸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접착면(34')에는 실리콘(Silicon)과 같은 접착재가 도포되며, 상기 전면유리(50)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상기 전면유리(50)에 상기 도어프레임(34)이 단단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유리(50)가 결합된 면과 대응하는 상기 도어프레임(34)상의 타면에는 내열유리(56)가 결합된다.
상기 내열유리(56)는 상기 도어프레임(34)의 타면과 면접촉하게 되며, 상기 전면유리(50)와 같이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되어 상기 전면유리(50) 양측의 상기 도어프레임(34)이 형성하는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오븐도어(30)의 내열유리(56)는 상기 오븐캐비티(20) 내부의 고온의 열기에 직접 노출되며, 열기로 인해서 고온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가열된 내열유리(56)는 상기 도어프레임(34)의 일면과 면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내열유리(56)의 열기가 상기 도어프레임(34)으로 그대로 전도되어 도어프레임(34)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도어프레임(34)으로 전도된 열기는 다시 상기 전면유리(50)와 면접촉된 접착면을 통해서 상기 전면유리(50)로 전달되어 상기 전면유리(50) 즉, 상기 오븐도어(30)의 표면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오븐도어(30)의 표면온도의 상승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전면유리(50)에 닿게 될 경우 감성불만을 초래할 뿐 아니라 고온의 요리시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하반부 일측만이 전면유리에 면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전면유리에 결합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는, 전면(前面)의 외형을 형성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전면유리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어, 후면(後面)의 외형을 형성하는 내열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전면유리의 측방에서 상하로 길게 장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전면유리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면유리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부의 하반부 일측에는 상기 전면유리와 면접촉하는 하접착면이 더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전면유리와 면접촉하는 상접착면이 더 형성된다.
상기 도어프레임은 저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유리에 장착된 도어핸들이 장착된 전면유리의 이면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핸들의 장착을 위한 스크류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스크류체결공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오븐도어의 표면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감성불만 해소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전기오븐의 외형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오븐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오븐도어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오븐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대부분이 오븐캐비티(1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오븐캐비티(100)는 조리물이 수납되어 조리되는 공간으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븐캐비티(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히터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납된 조리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며, 컨백션팬에 의해 내부의 열기를 강제 순환시켜 조리물을 조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100)의 개구된 전면은 전방으로 회동하는 오븐도어(20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오븐도어(200)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오븐캐비티(100)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전기오븐의 하측과 힌지결합되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오븐도어(200)의 전면(全面) 외형은 전면유리(300)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전면유리(300)는 상기 오븐도어(200)의 가장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기오븐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심미감을 개선함과 동시에 긁힘 등의 외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코팅처리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유리(300)의 전면(前面) 상부에는 도어핸들(220)이 결합된다. 상기 도어핸들(220)은 상기 오븐도어(200)를 개폐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유리(300)의 이면(裏面) 양측에는 도어프레임(400)이 결합된다. 상기 도어프레임(400)은 상기 전면유리(300)를 지지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반사유리(320)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길이가 긴 사각 통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프레임(400)의 일면은 상기 전면유리(300)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면유리의 측방과 상방 일측에 실리콘(Silicon)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유리(300)의 양측에 장착된 각각의 도어프레임(400) 사이에는 상기 오븐캐비티(100)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를 반사시키는 반사유리(320)가 장착된다.
상기 전면유리(300)가 장착된 도어프레임(400)의 일면과 대응하는 도어프레임(400)의 타면 즉, 상기 오븐도어(200)가 닫힐 때 내측에 해당하는 면에는 내열유리(340)가 장착된다. 상기 내열유리(340)는 상기 오븐도어(200)의 후면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프레임(400) 사이의 공간 전체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프레임(400)의 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열유리(340)는 상기 오븐도어(200)의 최후방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캐비티(100)와 직접 접하게 되므로, 비교적 고온의 열기에 직접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내열유리(340)는 열기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코팅처리 되거나 특수 가공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전면유리(300)의 이면 상부에는 도어탑브라켓(360)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탑브라켓(360)은 상기 오븐도어(2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열에 강하고 내식성이 우수한 스텐인레스스틸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구된 다각형 박스형상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탑브라켓(360)은 상기 도어핸들(220)의 고정시에 상기 전면유리(300)의 이면(裏面)으로 노출되는 스크류(S) 또는 결합기구들을 차폐하고, 상기 전면유리(300) 이면 양측방에 장착된 도어프레임(400)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상방에서 하방으로 장착된다.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도어프레임의 장착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도어프레임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프레임(400)은 상기 전면유리(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전면유리(300)의 좌/우측부와 상부 일측에 접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도어프레임(400)은 저면이 개구된 사각단면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유리(300)의 좌측에 장착되는 도어프레임(400)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유리(300)의 우측에 장착되는 도어프레임(400)은 대략 '┓'모양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프레임(400)은 수직부(420)와 수평부(44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420)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도어프레임(400)의 좌우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전면유리(300)의 도어핸들(220)이 장착된 부분에서부터 하반부까지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유리(300)와 접하는 상기 수직부(420)의 하반부 하단에는 전면유리(300)의 중앙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하접착면(422)이 형성된다. 상기 하접착면(422)은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면유리(300)와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부(420)의 하반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접착면(422)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수직부(420)의 하단부는 상기 하접착면(422)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만큼 이격되거나, 잘려짐으로써 상기 전면유리(3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부(4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직부(420)의 상단부에서 상기 전면유리(300)의 중앙을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44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440)는 상기 전면유리(300)의 상부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면유리(300)에서 상기 도어핸들(220)을 결합하는 스크류(S)가 체결된 부위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을 만큼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유리(300)와 접하는 상기 수평부(4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유리(300)의 중앙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상접착면(442)이 형성된다. 상기 상접착면(442)은 상기 하접착면(422)과 같이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면유리(3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부(440)는 상기 전면유리(300)의 상반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핸들(220)이 장착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도어핸들(220)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S)가 체결되는 상기 전면유리(300)상의 위치와 수직상방으로 대응하는 수평부(440)에는 스크류체결공(444)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체결공(444)은 상기 도어프레임(400)을 장착한 후에 상기 스크류(S)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 상기 수평부(4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핸들(220)의 체결을 위해서는 상기 스크류체결공(444)로 드라이버 등의 기구를 통하여 상기 스크류(S)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요리를 위해 상기 전기오븐 오븐도어(200)의 도어핸들(220)을 파지한 후에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오븐도어(200)가 열리게 되어 상기 오븐캐비티(10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오븐캐비티(100)를 개방한 후에 조리를 위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상기 오븐캐비티(100) 내부에 넣고, 상기 도어핸들(220)를 파지한 채로 상기 오븐도어(20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오븐도어(200)를 닫게 된다.
상기 오븐도어(200)가 닫히게 되면 상기 오븐캐비티(100)이 완전하게 밀폐되며, 조리를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전기오븐이 작동되면, 상기 오븐캐비티(100) 내부에 장착된 각종 히터와 전장품에 전원이 인가되어 오븐캐비티(100) 내부를 가열하게 되고, 상기 오븐캐비티(100) 내부의 열기는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오븐캐비티(100) 내부에서 강제 대류하면서 오븐캐비티(100) 내부의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하여 조리하게 된다.
이때 조리작업이 수행되는 오븐캐비티(100)의 내부온도는 상당히 고온이 되며, 상기 오븐도어(200)의 내열유리(340)는 상기 고온의 오븐캐비티(100)에 직접 접하게 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오븐캐비티(100) 내부의 열기에 의해 상승된 온도는 도어프레임(400)으로 전도되며, 전도된 열은 다시 도어프레임(400) 하단부의 상접착면(442)과 하접착면(422)을 통해 상기 도어프레임(400)과 접하는 상기 전면유리(300)로 전도된다.
이때, 상기 하접착면(422)은 도어프레임(400)의 하반부 즉, 상기 전면유리(300)의 하측과 접하므로 전도 또한 상기 전면유리(300)의 하측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상접착면(442)은 상기 도어핸들(220)이 장착된 상기 전면유리(300)의 상측과 접하게 되고 그곳을 통해 전도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전기오븐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본 고안은 가스오븐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에서는, 도어프레임이 전면유리의 상측과 하측 일부와 접하도록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의 수평부와 수직부에 각각 상접착면과 하접착면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접촉면적에 비해서 상기 전면유리와 접하는 면적을 대폭적으로 줄여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통한 상기 전면유리로 전도되는 열의 양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의 안전은 물론 뜨거운 열기에 의한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수평부를 상기 도어핸들이 위치한 곳에 형성하고 수평부의 저면에 상접착면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전면유리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도, 도어핸들에 의해 상기 전면유리와의 신체접촉이 방지되기 때문에, 비교적 온도규제에 여유가 있는 도어핸들이 장착된 부위에 수평부의 상접착면을 형성하여 실제적인 표면온도의 제한이 있는 다른 부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도어의 외형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도어의 요부구성인 도어프레임장착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오븐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오븐도어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과열방지 오븐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도어프레임의 장착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오븐캐비티 200. 오븐도어
220. 도어핸들 300. 전면유리
320. 반사유리 340. 내열유리
360. 도어탑브라켓 400. 도어프레임
420. 수직부 422. 하접착면
440. 수평부 442. 상접착면
444. 스크류체결공

Claims (6)

  1. 전면(前面)의 외형을 형성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전면유리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어, 후면(後面)의 외형을 형성하는 내열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전면유리의 측방에서 상하로 길게 장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전면유리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면유리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수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하반부 일측에는 상기 전면유리와 면접촉하는 하접착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전면유리와 면접촉하는 상접착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저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유리에 장착된 도어핸들이 장착된 전면유리의 이면 일측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핸들의 장착을 위한 스크류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스크류체결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오븐도어.
KR20-2005-0008630U 2005-03-30 2005-03-30 과열방지 오븐도어 KR200386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30U KR200386363Y1 (ko) 2005-03-30 2005-03-30 과열방지 오븐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30U KR200386363Y1 (ko) 2005-03-30 2005-03-30 과열방지 오븐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363Y1 true KR200386363Y1 (ko) 2005-06-13

Family

ID=4368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630U KR200386363Y1 (ko) 2005-03-30 2005-03-30 과열방지 오븐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2183A (zh) * 2016-05-24 2016-08-31 閤光洪 一种光波烤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2183A (zh) * 2016-05-24 2016-08-31 閤光洪 一种光波烤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0072B1 (en) Oven door
KR10064144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KR200386363Y1 (ko) 과열방지 오븐도어
KR101079402B1 (ko) 과열방지 오븐도어
KR100697458B1 (ko) 전면유리형 오븐도어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KR100737453B1 (ko) 오븐 렌지
KR100705067B1 (ko) 전기오븐의 라운드타입 하부히터 장착구조
CN220327324U (zh) 一种防冷凝水装置的烹饪器具
JPS5918621Y2 (ja) 電気調理器
KR100697456B1 (ko) 오븐도어 구조
KR101231322B1 (ko) 가스 오븐 레인지의 오븐 도어 손잡이 체결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KR20060104286A (ko) 오븐도어 잠금구조
JP3414298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0700758B1 (ko) 전기오븐의 사이드트림 결합구조
KR20060036997A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0707426B1 (ko) 용기 가열용 히터가 구비된 전기오븐
KR20060082256A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 고정구조
KR20060104285A (ko) 오븐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19990031175A (ko) 가스오븐렌지의 트레이 안착구조
KR101623590B1 (ko) 조리기기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