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444B1 -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444B1
KR100641444B1 KR1020040062368A KR20040062368A KR100641444B1 KR 100641444 B1 KR100641444 B1 KR 100641444B1 KR 1020040062368 A KR1020040062368 A KR 1020040062368A KR 20040062368 A KR20040062368 A KR 20040062368A KR 100641444 B1 KR100641444 B1 KR 10064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oven
frame
reflection glass
heat refl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777A (ko
Inventor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444B1/ko
Priority to US11/198,330 priority patent/US20060027230A1/en
Publication of KR2006001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4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에 구비되는 열반사유리를 프레임의 절곡면으로 고정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는, 오븐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의 후측에 구비되어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후측에 음식물의 요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성형되며, 내부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발생되는 열을 내부로 반사하도록 구비되는 열반사유리와; 상기 열반사유리의 일부분이 지지되도록 절곡면과 슬리팅면이 형성되며, 열반사유리를 고정시키는 상프레임과; 상기 상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반사유리의 일부분을 지지하면서 고정시키는 하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는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작원가가 감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전기오븐레인지, 오븐도어, 열반사유리, 프레임, 슬리팅, 절곡면

Description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A structure of oven door for electric oven rang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가 개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의 요부 구성인 오븐도어의 개략적인 체결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의 요부 구성인 프레임과 열반사유리의 체결도.
도 8 은 도 7 의 A-A'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탑버너부 110 : 상판
120 : 버너 200 : 제어부
210 : 디스플레이 220 : 조작노브
300 : 오븐부 310 : 오븐캐비티
320 : 후면플레이트 330 : 측면플레이트
340 : 하면플레이트 350 : 랙(Rack)
360 : 그루브(Groove) 370 : 가스켓
400 : 드로워부 410 : 드로워손잡이
500 : 컨벡션부 510 : 컨벡션커버
520 : 컨벡션팬 600 : 오븐도어
610 : 도어핸들 620 : 전면투시창
630 : 전면판넬 640 : 전방프레임
650 : 단열재 660 : 전방열반사유리
670 : 후방열반사유리 680 : 프레임
681 : 상프레임 682 : 하프레임
683 : 상우측체결부 683a: 상좌측체결부
683': 하우측체결부 683a': 하좌측체결부
684 : 체결공 685 : 슬리팅(Slitting)면
686 : 절곡면 690 : 후면판넬
본 발명은 전기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에 구비되는 열반사유리를 프레임의 절곡면으로 고정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오븐레인지는 전기를 열원(熱源)으로 다수개의 히터(Heater)에서 발산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전기오븐레인지는 밀폐된 공간내에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오븐(Oven)과, 요리할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상면에 위치시킨후 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요리하는 레인지(Range)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주방기기의 일종이다.
전기오븐레인지는 요리할 음식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가스오븐레인지보다 요리 속도가 빠르고, 열원으로 가스가 아닌 전기를 이용함으로 안전성이 높으며, 발산되는 열을 이용하는 열효율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전기오븐레인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오븐레인지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여 요리하는 탑버너부(10)와,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밀폐된 공간의 열대류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30)와, 요리된 음식물을 데우거나 간단한 요리를 담당하며, 요리된 음식물을 저장하기도 하는 드로워부(40)가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먼저, 탑버너부(10)를 살펴보면 탑버너부(10)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상면은 세라믹 소재로 성형되는 상판(12)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상판(12)의 하측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열을 발산하는 버너(14)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하방에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0)의 전면 일측에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 상태 및 요리 시간, 요리 온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22)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2)의 측방에는 사용자가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조작노브(24)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의 하방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30)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다수개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오븐부(30)의 정면에는 오븐부(30)의 정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60)가 구비되며, 상기 오븐도어(60)의 정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60)를 개폐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핸들(61)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븐부(30)의 하방에는 요리된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하게 보관하는 드로워부(4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에는 사용자가 드로워부(40)를 사용하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드로워손잡이(42)가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부의 내부에는 드로워부(40)에 소정의 열을 제공하는 드로워히터(도시되지 않음)가 별도로 더 구 비되기도 한다.
도 2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Oven cacity,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븐캐비티(34)의 내부 상면에는 전기를 열원으로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는 상부히터(3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븐캐비티(34)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37)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히터(3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히터(3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오븐부(3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8)에는 오븐캐비티(34)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컨벡션(Convection)부(50)가 성형된다. 상기 컨벡션부(5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벡션팬(51)과 상기 컨벡션팬(51)을 구동시키기 위한 컨벡션모터(52)가 구비된다. 상기 컨벡션모터(52)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회전 동력으로 컨벡션모터(52)에 축결합되는 상기 컨벡션팬(5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컨벡션팬(51)은 다수개의 날개를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오븐캐비티(34)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팬(5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컨벡션팬(51)의 테두리를 따라 원형으로 성형되며,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히터(53)가 구비된다.
상기 컨벡션팬(51)과 컨벡션히터(53)가 구비되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후면플레이트(38)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성형되는 컨벡션커버(54)가 구비된 다. 즉, 상기 컨벡션부(50)의 내부 공간을 컨벡션커버(54)가 형성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컨벡션팬(51)과 컨벡션히터(53)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상기 컨벡션모터(5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컨벡션모터(52)와 축결합되는 상기 컨벡션팬(5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컨벡션팬(5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컨벡션커버(54)의 전면에 성형되는 흡입구(55)를 통해 오븐캐비티(34)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부(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컨벡션부(50)의 내부로 흡입되는 오븐캐비티(34)의 내부 공기는 컨벡션팬(51)의 회전으로 상기 컨벡션커버(54)의 외주면 방향으로 배출된다.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컨벡션히터(53)에 의해 가열되면서 컨벡션커버(54)의 외주면 방향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컨벡션팬(51)의 회전에 의해 오븐캐비티(34)의 내부 공기가 컨벡션부(50)의 전방에서 흡입되어 측방으로 배출되면서 오븐캐비티(34)의 내부 공기가 강제 열대류된다. 이처럼 가열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을 반복하면서 오븐캐비티(34)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오븐도어를 살펴보면, 상기 오븐도어(60)의 전면에는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서 요리되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전면투시창(62)이 형성되며, 상기 오븐도어(60)의 내부에는 전면투시창(62)을 통해 상기 오븐부(3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열반사유리(6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반사유리(63)의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64)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64)의 내주면에는 열반사유리(63)를 지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65)이 열반사유리(63)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프레임(64)의 내주면을 따라 성형되는 고정홈(65)에 열반사유리(63)의 테두리가 끼워지면서 상기 오븐도어(60)의 내부에 열반사유리(63)가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60)는 열반사유리(63)의 테두리를 프레임(64)이 감싸고 있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프레임(64)이 일체로 성형되는 형상에서 열반사유리(63)의 테두리를 감싸기 위해서는 프레임(64)의 세면을 성형한 다음 열반사유리(63)를 끼우고 다른 한 면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프레임(64)을 완성해야 된다.
따라서, 부품 체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반사유리(63)가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64)을 가공해야 되기 때문에 가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가공시 열반사유리(63)가 파손되는 등 가공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프레임(64)의 내주면에 열반사유리(63)가 끼워진 상태에서 가공할 때, 열반사유리(6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열반사유리(63)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시켜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븐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의 일부가 슬리팅(Slitting)되어 열반사유리를 고정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는, 오븐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의 후측에 구비되어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후측에 음식물의 요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성형되며, 내부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발생되는 열을 내부로 반사하도록 구비되는 열반사유리와; 상기 열반사유리의 일부분이 지지되도록 절곡면과 슬리팅면이 형성되며, 열반사유리를 고정시키는 상프레임과; 상기 상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반사유리의 일부분을 지지하면서 고정시키는 하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프레임은 상기 열반사유리의 상부와 측면부가 지지되고, 상기 하프레임은 상기 열반사유리의 하부와 타측면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에는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은 스크류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는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작원가가 감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오븐레인지의 상부에는 탑버너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100)는 일반적인 가정 요리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버너(120)에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로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용기에서 음식물로 전달되는 전도열로 용기의 내부에 담긴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탑버너부(100)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탑버너부(100)의 상면은 세라믹 소재로 성형되는 상판(11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판(110)은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성형되고, 탑버너부(100)의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상판(110)의 하측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열을 발산하는 버너(120)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버너(120)는 통상적으로 코일(Coil) 등으로 성형되며,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요리될 음식물이 담긴 용기로 직접 열을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버너(120)가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게 되면, 발산되는 복사열은 상기 상판(110)을 투과하게 되고, 투과된 복사열은 음식물이 담긴 용기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버너(120)의 상방에 구비되는 상판(110)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열이 전달되지 않아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요리 후 남은 열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탑버너부(100)의 후측에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200)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전기오븐레인지의 후면과 일체로 성형되며, 대략 중앙부에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상태 및 요리시간, 요리온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210)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10)의 양측방에는 사용자가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작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조작노브(22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노브(220)는 상기 탑버너부(10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너(1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버너(120)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조작노브(220)가 구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오븐부(300) 또는 드로워부(4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노브(22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버너(120)와 오븐부(300) 및 드로워부(400)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탑버너부(100)의 하방에는 오븐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300)는 통구이나 대용량의 요리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열을 발산시키는 다수개의 히터가 구비되며, 이러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의 데워진 공기가 가지는 열에너지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즉, 데워진 공기에서 전달되는 복사열과, 가열된 철판에서 전달되는 전도열 그리고, 데워진 공기가 대류되면서 발생하는 대류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오븐부(300)는 대용량의 요리가 가능하고 음식물 고유의 맛과 향이 유 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오븐부(300)의 하방에는 드로워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부(400)는 요리된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데우기도 하며, 필요에 따라 간단한 요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히터가 내측 상면 또는 하면이나 상·하 양면에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에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가열된 철판에서 전달되는 전도열로써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데우기도 하고, 간단한 요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로워부(40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드로워부(400)의 정면에는 사용자가 드로워부(400)를 사용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내부로 함몰되어 성형되는 드로워손잡이(410)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부(400)는 서랍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슬라이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고, 후방으로 밀게되면 슬라이딩되어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가 개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오븐부를 살펴보면, 상기 오븐부(3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310)가 형성된다. 즉, 오븐부(300)는 전면의 일부가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오븐부(300)의 정면은 상기 오븐부(300)의 전면에 소정의 힌지로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성형되는 오븐도어(6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또한, 상기 오븐도어(600)와 접하는 오븐부(300)의 전면에는 가스켓(370)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370)은 오븐도어(600)가 오븐부(300)의 전면을 차폐했을 때 오븐부(30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310)는 오븐캐비티(3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20)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330)와,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340)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일체로 성형되거나, 각각 성형되어 오븐캐비티(310)의 외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오븐캐비티(3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20)에는 상기 오븐캐비티(310)의 내부에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개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강제 대류시키는 컨벡션부(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벡션부(50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벡션팬(520)이 구비되며, 이러한 컨벡션팬(520)의 회전에 의해 오븐캐비티(310)의 내부 열기가 대류되면서 음식물이 골고루 요리되는 것이다.
상기 컨벡션부(500)는 회전으로 오븐캐비티(310)의 내부 공기를 대류시키는 컨벡션팬(520)과, 상기 컨벡션팬(520)의 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후면플레이트(3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성형되는 컨벡션커버(510)와 그 외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플레이트(32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븐부(3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 온도센서와 오븐부(300)의 내부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내부 조명을 형성하는 오븐램프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오븐부(3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히터가 구비되는데, 상기 오븐캐비티(310)의 내부 상면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오븐캐비티(31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는 상부히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면플레이트(34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부히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히터(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히터와 하부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오븐캐비티(3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이 요리되고, 음식물의 요리에 필요한 열예너지를 제공한 공기는 상기 다수개의 히터에 의해 데워지면서 상기 컨벡션부(500)에 의해 계속적으로 오븐캐비티(310)의 내부를 대류하게 된다.
상기 오븐캐비티(310)의 내부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지지되는 랙(Rack,350)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330)에는 상기 랙(350)의 좌우측단부를 지지하는 그루브(Groove,360)가 오븐캐비티(31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그루브(360)는 요리하게 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높이에 따라 랙(350)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성형된다.
즉, 오븐캐비티(31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330)에 상기 오븐캐비티(310)의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그루브(360)가 성형되고, 이러한 그루브(360)의 상면에 상기 랙(350)의 양측단부가 지지되면서 랙(350)의 상면에 요리될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를 나타낸 개략적인 체결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오븐도어(600)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오븐도어(600)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투시창(620)이 형성되며, 오븐도어(6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630)이 성형된다. 상기 전면판넬(63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도어핸들(61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넬(630)의 후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단열재(650)가 수납되는 전방프레임(640)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640)의 중앙부는 천공 형성되며, 천공 형성되는 중앙부의 테두리에는 외주면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층이 성형되며, 이러한 층은 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전방프레임(640)의 전면 중앙부의 테두리를 따라 성형되는 층에는 상기 전면투시창(620)이 안착된다.
즉, 상기 전방프레임(640)의 전면은 상기 전면판넬(630)의 후면과 밀착되며, 상기 전면투시창(620)의 테두리는 전방프레임(640)의 전면 중앙부 테두리를 따라 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층에 안착되면서 체결된다.
상기 전방프레임(640)의 후면에는 천공 형성되는 중앙부의 테두리를 따라 외주면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층이 성형되며, 이러한 층은 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단차지게 형성되는 층에는 상기 단열재(650)가 안착된다. 상기 단열재(650)는 상기 오븐도어(600)의 후방에서 전달되는 뜨거운 공기의 열이 전방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열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단열재(650)는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는 오븐캐비티(310)의 내부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무기질 소재로 성형되는 단열재(650)가 사용된다.
상기 단열재(650)의 후측에는 전방열반사유리(660)와 후방열반사유리(670)가 지지되면서 고정되는 프레임(680)이 구비된다. 상기 열반사유리(660,670)는 유리를 약 500∼600℃로 가열하여 급냉시킴으로써 유리 표면부를 압축 변형시키고 내부를 인장 변형시킨 강화 유리의 외면에 열을 반사시키는 특수도료 또는 필름(Film) 등을 코팅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열반사유리(660,670)는 일반 유리에 비해 강도와 내충격성이 강하며 내열성도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또한, 외면에 열반사 물질을 코팅하여 오븐캐비티(310)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를 오븐캐비티(310)의 내부로 다시 반사시킴으로써 오븐캐비티(310) 내부의 열 누설을 방지하여, 오븐캐비티(310) 내부의 보온성을 유지한다.
한편, 도 7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의 요부 구성인 프레임과 열반사유리의 체결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상기 열반사유리(660,670)는 상기 프레임(680)에 의해 지지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680)은 열반사유리(660,670)의 상면과 일측면(좌측면)을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상프레임(681)과 열반사유리(660,670)의 하면과 일측면(우측면)을 지지하며 고정하는 하프레임(682)으로 구성된다.
먼저, 열반사유리(660,670)의 상면과 좌측면이 지지되면서 고정되는 상기 상프레임(681)을 살펴보면, 상기 상프레임(681)은 대략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상프레임(681)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하프레임(682)과 체결되는 상우측체결부(683)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돌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상우측체결부(683)의 대략 중앙에는 상우측체결부(683)와 상기 하프레임(682)이 체결되는 나사가 관통되는 상우측체결공(684)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상프레임(681)의 전·후측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면(686)이 성형된다. 다시말해, 상기 상프레임(681)의 상면을 우측방에서 보면, 좌측선단 부는 대략 “┌”형상으로 성형되며, 우측선단부는 대략 “┐”형상으로 성형되어 하방으로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면(686)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내측으로 더 슬리팅되어 하방으로 절곡되는 슬리팅(Slitting)면(685)이 성형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상프레임(681)을 우측방에서 볼 때 좌측선단부의 중앙부는 우측방으로 더 슬리팅되어 하방으로 절곡되고, 우측선단부의 중앙부는 좌측방으로 더 슬리팅되어 하방으로 절곡된다.
즉, 전방선단부의 슬리팅면(685)은 후방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더 슬리팅되어 하방으로 절곡되며, 후방선단부의 슬리팅면(685)은 전방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더 슬리팅되어 하방으로 절곡된다.
이때, 슬리팅면(685)과 절곡면(686)의 사이 폭은 열반사유리(660,67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게 되어 상기 슬리팅면(685)과 절곡면(686)의 사이 폭에 열반사유리(660,670)가 끼워지면서 지지되어 고정된다.
다시말해, 상기 전방열반사유리(660)의 상면과 좌측면은 상기 상프레임(681)의 상면과 좌측면에 성형되는 전방선단부의 슬리팅면(685)과 절곡면(686) 사이 폭에 끼워지면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프레임(681)의 좌측면하단부에는 상기 하프레임(682)과 체결되도록 상좌측체결부(684a)가 좌측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된다. 상기 상좌측체결부 (684a)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프레임(682)과 체결되도록 상좌측체결공(683a)이 천공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방열반사유리(670)의 하면과 우측면은 상기 하프레임(682)의 하면과 우측면에 끼워지면서 체결된다. 상기 하프레임(682)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하프레임(682)의 하면과 우측면의 전방선단부는 상방과 좌측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면(686')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면(686')의 중앙부에는 슬리팅면(685')이 슬리팅되어 절곡된다.
즉, 상기 하프레임(682)의 하면 전방선단부에 성형되는 슬리팅면(685')은 전방열반사유리(66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후방으로 슬리팅되어 상방으로 절곡되고, 후방선단부에 성형되는 슬리팅면(685')은 상기 후방열반사유리(67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전방으로 슬리팅되어 상방으로 절곡된다.
다시말해, 상기 하프레임(682)의 우측면 전방선단부에 성형되는 절곡면(686')은 좌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슬리팅면(685')은 후방열반사유리(67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후방으로 슬리팅되어 상방으로 절곡된다. 후방선단부에 성형되는 절곡면(686')은 좌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슬리팅면(685')은 후방열반사유리(67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전방으로 슬리팅되어 상방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열반사유리(660)의 하면과 우측면은 상기 하프레임(682)의 하면과 우측면에 성형되는 슬리팅면(685')과 절곡면(686')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프레임(682)의 하면 좌측단부에는 상기 상프레임(681)의 좌측면하단부에 성형되는 상좌측체결부(684a)와 체결되는 하좌측체결부(684a')가 상좌측체결부(684a)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하프레임(682)의 우측면 상 단부에는 상기 상우측체결부(683)와 체결되는 하우측체결부(683')가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상우측체결부(683)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하프레임(682)은 상기 상프레임(681)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상프레임(68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시키면, 하프레임(682)의 형상이 된다.
도 8 을 참조하여 열반사유리가 체결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면, 상기 전방열반사유리(660)의 상면은 상기 상프레임(681)의 저면과 밀착되고, 좌·우측면의 상부 일부분은 절곡면(686)과 슬리팅면(685)의 사이에 수용되면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열반사유리(660)의 하면은 상기 하프레임(682)의 상면과 밀착되고, 좌·우측면의 하부일부분은 절곡면(686')과 중앙절곡면(686')의 사이에 수용되면서 지지된다.
또한, 후방열반사유리(670)가 지지되는 것도 동일한 형상으로 지지된다. 뿐만아니라, 열반사유리(660,670)의 좌측면과 우측면도 동일한 형상으로 지지된다. 이처럼 열반사유리(660,670)가 상기 상프레임(681)과 하프레임(682)에 지지될때, 상프레임(681)과 하프레임(682)을 나사로 체결하면 상기 열반사유리(660,670)가 프레임(680)에 지지되면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68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전방열반사유리(660)와 후방열반사유리(670)의 냉각을 위해 외부의 찬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통기공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프레임(680)의 후측에는 중앙부가 천공 형성되고, 내주면이 후방으로 단차지게 성형되는 층이 구비되는 후면판넬(390)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판넬(390)의 내주면에 후방으로 단차지게 성형되는 층에는 상기 프레임(680)이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면판넬(630)에 성형되는 전면투시창(620)을 통해 상기 열반사유리(660,670)를 거쳐 오븐캐비티(310)에서 요리되는 음식물의 요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630)의 후면과 전방프레임(640)의 전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부품이 더 구비되기도 하며, 상기 전면판넬(630)과 전방프레임(640)이 체결되면, 단열재(650)가 위치하게 되고, 단열재(650)의 후측에는 상기 프레임(680)이 안착되는 후면판넬(690)이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630)과 후면판넬(690)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오븐도어(600)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 오븐도어 구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전기오븐레인지의 탑버너부(100)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상판(110)의 상면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어부(200)의 조작노브(220)를 조작하여 상기 버너(120)를 작동시킨다.
상기 버너(120)가 작동하면 버너(120)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판(110)을 통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탑버너부(100)는 버너(120)에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로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가열되는 용기에서 음식물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담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300)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도 어핸들(610)을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오븐도어(600)는 하방으로 회동하여 오븐부(300)의 전면이 개방된다. 상기 오븐부(300)의 전면이 개방되면 사용자는 요리될 음식물을 오븐캐비티(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랙(350)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오븐도어(60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오븐부(300)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오븐부(300)가 밀폐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200)에 구비되는 조작노브(220)를 조작하여 오븐부(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히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노브(220)를 조작하게 되면, 오븐부(300)에 전기가 공급되면 오븐캐비티(3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히터와 하면플레이트(34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히터 등이 공급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밀폐된 오븐부(300)의 내부 즉, 오븐캐비티(310)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오븐캐비티(31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또한, 전기오븐레인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후면플레이트(3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컨벡션모터가 회전하게 되고, 컨벡션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컨벡션팬(5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컨벡션팬(520)의 회전으로 오븐캐비티(310)의 내부 공기는 계속적으로 열대류되면서 오븐캐비티(3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오븐캐비티(310)의 내부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면, 오븐도어(6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후방열반사유리(670)의 후면에 의해 열이 반사되어 상기 오븐캐 비티(310) 내부의 보온성이 유지된다. 이때, 상승하게 되는 열반사유리(660,670)의 표면온도는 전방열반사유리(660)와 후방열반사유리(670)의 사이에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열교환되면서 냉각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에서는 열반사유리를 프레임의 슬리팅되는 절곡면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은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의 슬리팅되는 절곡면으로 열반사유리를 고정하게 되면, 열반사유리의 고정이 용이하여 부품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부품의 제조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에 열반사유리가 지지된 상태에서 타프레임을 체결하여 고정함으로 프레임의 가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부품의 생산이 용이해 짐에 따라 부품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불량율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이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됨에 따라 하나의 금형으로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금형비가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제작원가가 절 감되는 효과가 있다.
제작원가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으로 생산비의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오븐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의 후측에 구비되어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후측에 음식물의 요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성형되며, 내부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발생되는 열을 내부로 반사하도록 구비되는 열반사유리와;
    상기 열반사유리의 일부분이 지지되도록 절곡면과 슬리팅면이 형성되며, 열반사유리를 고정시키는 상프레임과;
    상기 상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반사유리의 일부분을 지지하면서 고정시키는 하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프레임은 상기 열반사유리의 상부와 측면부가 지지되고, 상기 하프레임은 상기 열반사유리의 하부와 타측면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에는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은 스크류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KR1020040062368A 2004-08-09 2004-08-09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Expired - Lifetime KR10064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68A KR100641444B1 (ko) 2004-08-09 2004-08-09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US11/198,330 US20060027230A1 (en) 2004-08-09 2005-08-08 Oven door of electric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68A KR100641444B1 (ko) 2004-08-09 2004-08-09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777A KR20060013777A (ko) 2006-02-14
KR100641444B1 true KR100641444B1 (ko) 2006-10-31

Family

ID=3575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368A Expired - Lifetime KR100641444B1 (ko) 2004-08-09 2004-08-09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27230A1 (ko)
KR (1) KR100641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05B1 (ko) * 2006-05-29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레인지용 도어 어셈블리
EP1939534A3 (de) * 2006-12-21 2011-01-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gerät
EP1939533A3 (de) * 2006-12-21 2011-01-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gerät
US8857422B2 (en) * 2007-02-06 2014-10-14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Oven door assembly having shield for drawing heat away from an oven door window
US9297538B2 (en) * 2008-12-09 2016-03-29 Whirlpool Corporation Oven door lighting
CN101881473B (zh) * 2010-07-15 2012-08-29 广东格兰仕微波炉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门结构
MX2011002230A (es) 2011-02-28 2012-08-31 Mabe Sa De Cv Puerta de horno.
US9429329B2 (en) * 2012-05-31 2016-08-30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mounting system for a middle door glass
US10495305B2 (en) 2012-11-19 2019-12-03 Whirlpool Corporation Oven door assembly
EP2868981B1 (en) * 2013-10-31 2017-10-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door for a domestic appliance
EP3172490A1 (en) * 2014-07-24 2017-05-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odular profile system for suspending a door of a kitchen appliance
DE102014214833A1 (de) * 2014-07-29 2016-02-04 BSH Hausgeräte GmbH Isolationsvorrichtung, Tür und Haushaltsgargerät
USD871823S1 (en) * 2018-01-02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range
JP7161897B2 (ja) * 2018-09-20 2022-10-27 ホシザ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1029036B2 (en) 2019-08-05 2021-06-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nterlocking door frame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2766421B1 (ko) * 2020-03-31 2025-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571A (en) * 1990-08-23 1991-07-09 Mills Products, Inc. Oven door window unit
US5881710A (en) * 1998-05-21 1999-03-16 Whirlpool Corporation Oven door and method of assembly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27230A1 (en) 2006-02-09
KR20060013777A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44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US20060027560A1 (en) Convection part for electric oven range
KR100686772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KR10064688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20060036997A (ko) 전기오븐레인지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4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2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5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3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80334Y1 (ko) 전기오븐의 안티팁브라켓 장착구조
KR20060082256A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 고정구조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100693526B1 (ko) 전기오븐의 오븐캐비티 구조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KR200380807Y1 (ko) 전기오븐의 오븐캐비티 전면 결합구조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60013779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60075156A (ko) 전기오븐의 컨벡션챔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502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