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51Y1 - 철도차량의 씨형 레일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씨형 레일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451Y1
KR200385451Y1 KR20-2005-0007357U KR20050007357U KR200385451Y1 KR 200385451 Y1 KR200385451 Y1 KR 200385451Y1 KR 20050007357 U KR20050007357 U KR 20050007357U KR 200385451 Y1 KR200385451 Y1 KR 200385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haped
type rail
rail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하
장대성
이병석
김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20-2005-0007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 압축재질의 차체를 가진 철도차량의 상하기기, 배관 및 실내 의장품 등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C형 레일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직사각형지게 형성되며, 하부측은 폭보다 좁게 돌출되는 걸림턱라인(37)이 형성되고, 중앙부측에는 끼움홀(36)을 갖는 T형 볼트 캐리어(30)와; 상기 T형 볼트 캐리어(30)의 끼움홀(36)에 상부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볼트(32) 및 너트(34)와; 볼트(32) 및 너트(34)에 의해 조여 질시 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C형 레일의 하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된 ∪형 스티프너(40)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씨형 레일 결합구조{COUPLING STRUCTURE OF C-TYPE RAIL OF RAIL CARS}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압축재질의 차체를 가진 철도차량의 상하기기, 배관 및 실내 의장품 등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형성되어 있는 C형 레일(10)에 탭시트(12)를 넣은 후 브라켓 등을 볼트(11)로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탭시트(12)에 볼트(11)를 끼워 브라켓(20)을 고정시킬시에는 볼트(11)의 나사산에 수직으로 하중이 부여되기 때문에 나사산의 마모 또는 탭시트(12)에 형성된 나사산이 마모되어 고정력을 약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탭시트(1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볼트의 중심을 맞추기가 힘들기 때문에 고정시키는 작업의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와 같이 C형 레일(10)에 머릿부분이 큰 사각볼트(14)를 끼운 후 하부측에 브라켓(20)을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16)를 끼워 고정시킬시에는 사각볼트(14)의 두부가 C형 레일(10)에 걸려 가해지는 하중이 좁은 면적에 집중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알루미늄 압축재질의 차체를 가진 철도차량의 상하기기, 배관 및 실내 의장품 등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는, C형 레일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직사각형지게 형성되며, 하부측은 폭보다 좁게 돌출되는 걸림턱라인이 형성되고, 중앙부측에는 끼움홀을 갖는 T형 볼트 캐리어와; 상기 T형 볼트 캐리어의 끼움홀에 상부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볼트 및 너트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여 질시 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C형 레일의 하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된 ∪형 스티프너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를 이용해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끼움홀(36)을 갖는 T형 볼트 캐리어(30)는, 도 3 의 C형 레일의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C형 레일의 내경보다 작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측은 C형 레일의 하부측으로 개구된 부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부측의 폭보다 좁은 걸림턱라인(37)이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T형 볼트 캐리어(30)에 끼워져 고정되는 체결수단으로는 볼트(32) 및 너트(34)가 형성되며, 상기 T형 볼트 캐리어(30)에 형성된 끼움홀(36)에 볼트(32)의 두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볼트(32)가 끼워진 T형 볼트 캐리어(30)의 하부측에 너트(32)에 끼워져 체결되어 고정될시 그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밀쳐지면서 C형 레일의 하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 스티프너(40)가 형성된다.
또한, 볼트(32)가 끼워지는 T형 볼트 캐리어(30)의 내부측에는 볼트(32)의 걸침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용 시트(3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차체(20)에 형성된 C형 레일(22)에 차량의 전장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브라켓(50)을 미리 볼트(32)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차체(20)와 이와 결합되는 전장품 등과 같은 부재는 다른 강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용접성이 좋지 않아 서로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C형 레일(22)을 형성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T형 볼트 캐리어(30)를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2)를 T형 볼트 캐리어(30)의 끼움홀(36)에 끼운 상태로 C형 레일(22)의 길이방향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단측 또는 중간에 형성된 인입홀 등으로 끼워서 고정될 위치를 잡는다.
상기와 같이 차체(20)의 C형 레일(22)에 볼트(32)가 끼워진 T형 볼트 캐리어(30)가 끼워져 결합되면, 볼트(32)의 단부측으로 ∪형 스티프너(40)를 C형 레일(22)의 하부측을 덮도록 끼운 후 그 하부 측에 전장품 등과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30)을 맞닿음 되게 밀쳐넣은 후 와셔 등을 끼워 너트(34)로 조여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볼트(32)상에 너트(34)를 끼워 조여주면, 그사이에 끼워져 있는 브라켓(30)과 ∪형 스티프너(40)를 C형 레일(22)측으로 밀치면서 볼트(32)에 체결된다.
T형 볼트 캐리어(30)의 볼트(32)에 끼워져 있는 너트(34)에 의해 밀쳐지면서 조여지는 ∪형 스티프너(40)는 C형 레일(22)측으로 밀쳐지면서 감싸지도록 덮은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형 스티프너(40)는 C형 레일(22)의 바깥측을 덮으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브라켓(30)의 하부측에 고정되는 중량의 전장품 등이 고정되어도 하중에 의해 T형 볼트 캐리어(30)가 하부측으로 당겨져도 C형 레일(22)은 쉽게 벌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T형 볼트 캐리어(30)의 하부측에 형성된 걸림턱라인(37)이 C형 레일(22)의 하단측에 끼워서 고정되면서 닫는 면적을 길게 형성하여 넓힐 수 있으므로 T형 볼트 캐리어(30)에 가해지는 흔들림이나 하중 등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에 의해 알루미늄 압축재질의 차체를 가진 철도차량의 상하기기, 배관 및 실내 의장품 등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탭시트를 넣은 브라켓을 볼트를 이용해 C형 레일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종래의 사각볼트를 이용해 C형 레일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를 이용해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T형 볼트 캐리어 32: 볼트
36: 끼움홀 34: 너트
37: 걸림턱라인 40: ∪형 스티프너

Claims (2)

  1.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에 있어서,
    C형 레일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직사각형지게 형성되며, 하부측은 폭보다 좁게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라인(37)이 형성되고, 중앙부측에는 끼움홀(36)을 갖는 T형 볼트 캐리어(30)와;
    상기 T형 볼트 캐리어(30)의 끼움홀(36)에 상부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볼트(32) 및 너트(34)와;
    볼트(32) 및 너트(34)에 의해 조여 질시 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C형 레일의 하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된 ∪형 스티프너(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볼트 캐리어(30)의 내부에 볼트(32) 두부가 걸리도록 끼워지는 보강용 시트(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C형 레일 결합구조.
KR20-2005-0007357U 2005-03-18 2005-03-18 철도차량의 씨형 레일 결합구조 KR200385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57U KR200385451Y1 (ko) 2005-03-18 2005-03-18 철도차량의 씨형 레일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57U KR200385451Y1 (ko) 2005-03-18 2005-03-18 철도차량의 씨형 레일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451Y1 true KR200385451Y1 (ko) 2005-05-27

Family

ID=4368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357U KR200385451Y1 (ko) 2005-03-18 2005-03-18 철도차량의 씨형 레일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4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66B1 (ko) 2007-08-09 2009-04-15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시트의 부착구조
CN103707944A (zh) * 2012-10-05 2014-04-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重型车辆的连接结构
KR20190055299A (ko) * 2017-11-14 2019-05-23 디케이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볼트 캐리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66B1 (ko) 2007-08-09 2009-04-15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시트의 부착구조
CN103707944A (zh) * 2012-10-05 2014-04-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重型车辆的连接结构
CN103707944B (zh) * 2012-10-05 2017-06-0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重型车辆的连接结构
KR20190055299A (ko) * 2017-11-14 2019-05-23 디케이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볼트 캐리어
KR102043649B1 (ko) * 2017-11-14 2019-11-13 디케이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볼트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2076B2 (ja) クリップ付ナット
KR200385451Y1 (ko) 철도차량의 씨형 레일 결합구조
US20160109051A1 (en) Tensioning or pipe clamp
KR20090040379A (ko) 차량용 범퍼 비임
WO2021073784A1 (en) Device for anchoring to a tube associated to a vehicle and to a fender associable to the vehicle
JP2007501740A5 (ko)
KR20120119392A (ko) 풀림방지 체결구조
WO2010067170A1 (en) Structure that includes bolt fastening portion having higher resistance against external force
KR20180083390A (ko) 밴드-형태의 조임 스트랩용 부착 장치
JP2010513140A (ja) 車両にキャリアを締結する装置
CN204309539U (zh) 一种汽车后拖钩固定装置
KR20080001122U (ko)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KR101500263B1 (ko) 풀림방지용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JP5064324B2 (ja) 車両のリヤバンパー取付構造
CN210723156U (zh) 电池模组、电池包和车辆
CN210555110U (zh) 一种新型载货车结构拉杆
JP6556582B2 (ja) 荷締具
JPH06115357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保持構造
JP7010437B2 (ja) 屋根用取付金具
US4505503A (en) Locking fastener
US10604058B1 (en) Lashing pawl
RU2753053C2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яжного хомута
US3079660A (en) Clamp having stamped hook bolt
KR0131686B1 (ko)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KR970001255Y1 (ko) 자동차의 타이 다운 브래킷(tie down bracket)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