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116Y1 - 주차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주차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116Y1
KR200385116Y1 KR20-2005-0004710U KR20050004710U KR200385116Y1 KR 200385116 Y1 KR200385116 Y1 KR 200385116Y1 KR 20050004710 U KR20050004710 U KR 20050004710U KR 200385116 Y1 KR200385116 Y1 KR 200385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ining
drum
gear
brak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곤
남상흥
Original Assignee
김행곤
남상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곤, 남상흥 filed Critical 김행곤
Priority to KR20-2005-0004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6Positive lock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0Drums for externally- or internally-engag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드럼(10)과, 외면에 부착된 라이닝(30)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내면과 접촉되는 브레이크슈(20)가 구비된 통상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은, 내면상에 다수의 기어치(11)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닝(30)은, 외면상에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다수의 접속기어치(31)가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슈(20)의 확장이동에 의해 상기 라이닝(30)과 브레이크드럼(10)이 기어접속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경사면 등에서 드럼과 라이닝의 접속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라이닝과 드럼의 접속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브레이크가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으며, 다른 부속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접속면의 마찰성능에 의해 수명이 결정되던 기존에 비해 드럼 및 라이닝의 수명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주차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브레이크장치{PARKING BRAKE DEVICE}
본 고안은 주차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의 접촉면에 기어치를 형성시킴으로써 브레이크슈가 확대이동될 시 브레이크드럼에 라이닝이 기어접속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에 마찰접촉된 라이닝이 경사면 등에서 자중에 의해 밀리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는 주차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차브레이크는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뒷바퀴를 제동시키는 장치인 바, 이와 같은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장치는 통상적으로 브레이크 드럼과 슈 및 스프링을 갖추고서 주차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켜 그 때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뒷바퀴를 제동시키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주차브레이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브레이크의 개략도이다.
상기 주차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드럼(20)의 안쪽에 라이닝(11)이 부착된 2개의 제1, 2슈(12,13)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1, 2슈(12, 13)의 상부에는 제1, 2슈(12, 13)를 드럼(20)쪽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휘일실린더(14)가 장착되며, 상기 제1, 2슈우(12, 13)의 하부에는 제1, 2슈우(12, 13)와 드럼(20)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어져스터(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쪽 슈(12)의 상부에는 브레이크 슈 레버(16)가 핀(17)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 슈 레버(16)에는 스트러트(18)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그 한쪽 선단부가 고정되게 장착되며, 이 스트러트(18)의 다른쪽 선단부는 제2슈(13)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브레이크 슈 레버(16)에는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버와 연결된 주차케이블(19)의 한쪽 선단부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를 록킹시키기 위해 조작레바를 조작하면, 이 조작레바의 회동운동으로 상기 주차케이블(19)이 당겨지면서 브레이크 슈 레버(16)가 핀(17)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과 더불어 브레이크 슈는 드럼(20)에 밀착되어, 휠을 록킹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주차브레이크에서는 상기 드럼에 브레이크 슈를 강한 장력이나 배력 등에 의해 밀착시키고 상기 드럼과 브레이크 슈 접촉면의 마찰에 의해 밀착정지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되나, 중량의 짐을 싫는 화물자동차 내지 대형자동차나 노후된 자동차는 급경사상에 주차하게 되면 장력이나 배력, 마찰접속력 등이 미세하게 저하되면서 마찰정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풀리게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경사면 등에서 드럼에 밀착되는 브레이크 슈나 라이닝의 접속압력이 저하되더라도 라이닝과 드럼사이의 접속상태를 고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주차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브레이크드럼과, 외면에 부착된 라이닝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내면과 접촉되는 브레이크슈가 구비된 통상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은, 내면상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닝은, 외면상에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다수의 접속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슈의 확장이동에 의해 상기 라이닝과 브레이크드럼이 기어접속되는 주차브레이크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기어치는, 상기 라이닝 둘레길이의 1/3에 해당되게 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어치 및 접속기어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사면 등에서 드럼과 라이닝의 접속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라이닝과 드럼의 접속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브레이크가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른 부속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접속면의 마찰성능에 의해 수명이 결정되던 기존에 비해 드럼 및 라이닝의 수명이 월등히 향상된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요부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장치는 브레이크드럼(10)과, 외면에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내면과 접촉되는 라이닝(30)이 형성된 브레이크슈(20)가 구비된 통상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슈(20)가 상기 브레이크드럼(10) 내측에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측으로 이동될 시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라이닝(30)간의 접속이 마찰뿐만 아니라 기어접속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라이닝(30)의 상기 브레이크드럼(10)측으로의 가압력이 약해진다하더라도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라이닝(30)의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된 접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원형둘레를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내면상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기어치(11)가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브레이크슈(20)의 외주단부에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내면에 대응되는 외면형상을 가지고 연결형성되는 상기 라이닝(30)은 외면상에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다수의 접속기어치(31)가 형성된다.
도 2, 3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에 형성된 상기 기어치(11)와, 상기 라이닝(30)에 형성된 상기 접속기어치(31)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슈(20)가 상기 브레이크드럼(10)측으로 확장이동되면 상기 라이닝의 접속기어치(31)가 상기 브레이크슈의 기어치(11) 사이에 끼여 서로 맞물리게 되면서, 경사면 등에서 상기 라이닝(30)을 상기 브레이크드럼(10)측으로 일정하게 가압시키지 못하거나 상기 브레이크드럼(10)으로부터 미세하게 소정간격 이격된다 하더라도 상기 라이닝(30)이 브레이크드럼(10)의 지정위치에 접속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라이닝(30)이 마찰보다는 걸림턱에 의해 이동이 한정되는 접속구조가 주요하게 작용하게되어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의 접속 및 해제가 명확하게 이루어지게되며, 잘게 형성될수록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라이닝(30)의 마찰접촉면적이 보다 확장되는 효과를 가지게됨에 따라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가 보다 견고하게 마찰접촉되고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의 높이에 따른 간격만큼은 걸림턱에 의한 접속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속기어치(31)는 상기 라이닝(30)의 둘레 전반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라이닝(30) 둘레길이의 1/3에 해당되게 형성되며, 이는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를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라이닝(31) 둘레 전반에 형성시키면 오로지 기계적인 걸림턱접속구조에 의해서만 접속이 이루어지게되어 상기 기어치(11)과 접속기어치(31)에만 하중이 집중되게 되나, 상기 기어치(11)와 접속기어치(31)의 접속부 양측에서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라이닝(30)을 마찰접속시키면 마찰접속 및 기어접속이 고르게 작용하게 된다.
자동차 운행 중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이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시 상기 접속기어치(31)가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임의의 위치에 접속하게 되고,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내면 전반에 형성되어도 상기 라이닝(30)과의 마찰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에는 둘레 전체에 상기 기어치(11)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는 상기 일실시예와 같이 명확한 기어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브레이크드럼(10)상에 톱날과 같이 다수가 잘게 형성되는 실시예나,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의 형상도 사다리꼴형상 외에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라이닝(30)이 임의로 서로 접속이 이루어질 시 상기 기어치(11)와 접속기어치(31)가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기어치(11)와 접속기어치(31)간의 맞물림 조정이 자연히 발생될 수 있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이 경사형성된 직각삼각형형상으로 형성되는 등의 실시예도 당연히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장치는 기존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상기 브레이크드럼(10) 및 라이닝(30)을 교체하면 구현가능함에 따라 별도의 부속을 추가로 구비하여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브레이크드럼(10) 및 라이닝(30) 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견고한 작동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하기도 용이하다.
기존의 주차브레이크장치에서는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라이닝(30) 접속면의 마찰성능이 저하되면 교환이 이루어져야 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장치는 상기 라이닝(30)을 상기 브레이크드럼(10)측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되는 마찰접속과, 상기 기어치(11)와 접속기어치(31)의 접속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기어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접속상태에 따라 택일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마찰면 또는 기어접속부 중 일측으로만 가압력이 지속적으로 가중되지 않게 상호 보조 및 보완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가 파손되어야 수행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접속면의 상태에 의해서만 오로지 수명이 결정되던 기존에 비해 드럼 및 라이닝의 수명이 월등히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경사면 등에서 드럼과 라이닝의 접속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라이닝과 드럼의 접속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브레이크가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부속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접속면의 마찰성능에 의해 수명이 결정되던 기존에 비해 드럼 및 라이닝의 수명이 월등히 향상된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 일반적인 주차브레이크장치의 개략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 도2의 요부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브레이크드럼 11 : 기어치
20 : 브레이크슈 30 : 라이닝
31 : 접속기어치

Claims (3)

  1. 브레이크드럼(10)과, 외면에 부착된 라이닝(30)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내면과 접촉되는 브레이크슈(20)가 구비된 통상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은,
    내면상에 다수의 기어치(11)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닝(30)은,
    외면상에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다수의 접속기어치(31)가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슈(20)의 확장이동에 의해 상기 라이닝(30)과 브레이크드럼(10)이 기어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어치(31)는,
    상기 라이닝(30) 둘레길이의 1/3에 해당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브레이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치(11) 및 접속기어치(31)는,
    반구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브레이크장치.
KR20-2005-0004710U 2005-02-22 2005-02-22 주차브레이크장치 KR200385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710U KR200385116Y1 (ko) 2005-02-22 2005-02-22 주차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710U KR200385116Y1 (ko) 2005-02-22 2005-02-22 주차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116Y1 true KR200385116Y1 (ko) 2005-05-24

Family

ID=4368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710U KR200385116Y1 (ko) 2005-02-22 2005-02-22 주차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1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3066A (zh) * 2017-12-26 2018-04-27 吉林大学 一种防溜车式中央驻车制动器
KR102485754B1 (ko) * 2021-06-30 2023-01-06 이미나 마찰력과 기어력을 이용하는 회전 운동 브레이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3066A (zh) * 2017-12-26 2018-04-27 吉林大学 一种防溜车式中央驻车制动器
KR102485754B1 (ko) * 2021-06-30 2023-01-06 이미나 마찰력과 기어력을 이용하는 회전 운동 브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02072B (zh) 电动盘式制动器
US10690206B2 (en) Brake device
KR200385116Y1 (ko) 주차브레이크장치
US20170051802A1 (en) Brake for vehicle
JP2008289591A (ja) 車椅子用ブレーキ
JP2020051519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08045655A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2008068841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2019015396A (ja) ドラムブレーキの隙間の自動補正装置
JP4672130B2 (ja) シュー間隙自動調節機構付きドラムブレーキ
JP4670779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S6114373B2 (ko)
KR100312596B1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구조
JP2018141544A (ja) 車両用ブレーキ
KR19990048066A (ko) 풋 작동식 주차 브레이크
KR100405564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2005090647A (ja) ドラムブレーキ
JP4328284B2 (ja) ブレーキケーブル接続装置
JP2011007270A (ja) ドラムブレーキ
KR200196981Y1 (ko) 브레이크슈 흔들림 방지장치
JP2008303919A (ja) ドラムブレーキ
KR0152618B1 (ko) 자동차용 풋 브레이크를 이용한 파킹 해제장치
KR20120062331A (ko) 드럼 일체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20130068959A (ko) 볼 인 램프 캘리퍼 타입 주차 제동장치
KR19990056631A (ko) 기어식 주차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