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065Y1 -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Google Patents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5065Y1 KR200385065Y1 KR20-2005-0005850U KR20050005850U KR200385065Y1 KR 200385065 Y1 KR200385065 Y1 KR 200385065Y1 KR 20050005850 U KR20050005850 U KR 20050005850U KR 200385065 Y1 KR200385065 Y1 KR 2003850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handle
- shaft
- insertion groove
- moving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21F1/023—Straightening in a device rotating about the wire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직기에 관한 것으로, 정직기의 사용에 따라 롤러가 밀리거나 당겨지는 경우 다시 롤러의 간격을 쉽게 조정하기 위하여, 와이어가 지나갈 하나의 가상선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가 상하 교대로 배치되고,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 돌출 나선홈이 형성된 이동축을 따라 상기 롤러가 이동될 수 있는 와이어를 직선으로 펴는 정직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의 말단 단면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감싸고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된 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이 밀려지거나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직기의 사용에 따라 롤러가 밀리거나 당겨지는 경우 다시 롤러의 간격을 쉽게 조정하기 위해 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한 정직기에 관한 것이다.
전차선(trolley wire) 등을 가설하는 경우에, 소정의 장력을 갖도록 전차선을 직선으로 가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직선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고, 보관 및 운송의 편의성을 위하여 와이어를 말아서 보관 및 운송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가설 작업을 위해서는 와이어를 직선으로 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해 정직기가 사용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구성 및 사용을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10)는 크게 제1롤러대(20), 삼각 롤러대(30) 및 제2롤러대(40)로 구성되고, 각 롤러대에는 롤러가 결합되어 있다. 즉 제1롤러대(20)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롤러(22,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삼각 롤러대(30)에는 제2롤러(34), 제3롤러(32) 및 제4롤러(36)가 서로 지그재그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롤러대(40)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5롤러(42,4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롤러(22,24)는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 이동축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축의 말단에는 제1조임부(25)가 제1롤러대(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동축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두 개의 제1롤러(22,24) 중 하나, 예를 들면 제1롤러(24)는 이동축의 회전에 따라 나선돌기를 따라 다른 제1롤러(22)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제2롤러대(40)에도 제5롤러(42,44)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성 및 동작 또한 제1롤러대(22,24)와 제1롤러(22,24) 및 제1조임부(25)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삼각 롤러대(30)에는 제2롤러(34)와 제4롤러(3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3롤러(32)가 회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제3롤러(32)의 회전축은 이동대(37)와 조임 볼트(39)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가이드(38)를 따라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롤러(32)의 회전축은 제3조임부(35)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6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직선으로 펴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6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동작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와이어(1)는 제1롤러들(22,24) 사이, 제2롤러(34), 제3롤러(32), 제4롤러(36) 및 제5롤러들(42,44)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때, 금속 와이어(1)는 롤러들을 통과하면서 파단으로 휘어지다가, 최종적으로는 직선 형태로 사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와이어(1)가 제1롤러들(22,24) 사이를 통과하면서, 와이어(1)와 제1롤러들(22,24) 사이의 압력에 의해 제1롤러들(22,24)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제5롤러들(42,44) 사이에서도 발생한다. 이때 제1롤러들(22,24)과 제5롤러들(42,44) 사이의 간격을 다시 재조정해야 한다.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제1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10)는 제1롤러들(22,2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소켓 렌치(2) 등을 사용하여 제1조임부(25)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와이어(1)의 직경에 따라 제1롤러들(22,24) 또는 제5롤러들(42,4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도 이루어진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롤러(32)의 간격을 재조정할 경우도 발새d하게 된다. 이때에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렌치(2) 등을 사용하여 제3조임부(35)를 회전시켜야 한다.
도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제3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정직기(10)는 와이어의 직경이 바뀌거나, 동작에 따라 롤러의 간격이 변하는 경우에 일일이 소켓 렌치(2)를 사용하여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상존하고 있다. 또한 렌치(2)를 찾지 못하는 경우에는, 정직기(10)의 완전한 동작을 보장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롤러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정직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직기는 와이어가 지나갈 하나의 가상선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가 상하 교대로 배치되고,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 돌출 나선홈이 형성된 이동축을 따라 상기 롤러가 이동될 수 있는 와이어를 직선으로 펴는 정직기로서, 상기 이동축의 말단 단면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감싸는 몸체를 구비한 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이 밀려지거나 당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직기는 와이어가 지나갈 하나의 가상선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가 상하 교대로 배치되고,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 돌출 나선홈이 형성된 이동축을 따라 상기 롤러가 이동될 수 있는 와이어를 직선으로 펴는 정직기로서, 내주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감싸는 몸체를 구비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삽입홈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축과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밀림축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동축의 말단 단면 또는 상기 밀림축의 말단에 견고하게 고정결합 되도록 체결 너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손잡이 몸체 외주면에는 사용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손잡이의 몸체 표면은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100)와 도5에 도시된 정직기(10)는 손잡이(125,135,145)가 제1조임부(25), 제3조임부(35) 및 제4조임부(45)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외형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25,135,145)는 이동축의 말단에 형성된 조임부(25,35,45)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며, 사용 중 상기 손잡이(125,135,145)가 상기 조임부(25,35,4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는 상기 조임부에 억지 끼움이 되도록 대응 조임부의 직경과 상기 손잡이 삽입홈의 직경을 동등하게 형성한다. 이에 의해 손잡이들(125,135,145)은 조임부(25,35,45)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들(125,135,145)을 회전시키면, 조임부(25,35,45)가 같이 회전되어 이동축이 회전되게 된다.
또한 손잡이의 몸체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어 사용시에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의 표면에는 추가적으로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재의 코팅막(129)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동축의 말단 단면에 견고하게 고정결합 되도록 체결 너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제1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제1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에서 제1롤러(22,24)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이동축(29)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종래 기술과 달리 소켓 렌치(2)가 아닌 손잡이(125)의 회전만으로 제1롤러(22,24)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다.
이후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제3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제3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롤러(32)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10)는 소켓 렌치(2)를 이용해야 했지만,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손잡이(135)의 회전만으로 간격 조정이 가능해 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직기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직기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와 이동축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 부분의 구성만이 틀리기 때문에,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직기는 손잡이(225)와 밀림축(230)을 사용하여 이동축(29)을 이동시킨다.
즉, 손잡이(225)에는 다각형 형상의 삽입홈(2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밀림축(230)에 형성된 동일한 형상의 단부가 삽입홈(227)에 삽입되어 손잡이(225)와 밀림축(230)이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손잡이는 제1실시예에서의 손잡이(125)와 같이,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하고, 표면에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고무 등)를 코팅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합된 손잡이(225)와 밀림축(230)은 손잡이(225)를 회전시킴에 따라, 밀림축(230)에 형성된 나사홈(23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어 이동축(29)을 밀거나 당기게 되어 롤러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225)에는 상기 밀림축(230)의 말단에 견고하게 고정결합 되도록 체결 너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손잡이는 원형 또는 다각형이 아닌 한쪽이 돌출된 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되어 적은 힘으로도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롤러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정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소켓 렌치 등의 기구를 별도로 소지하여 사용했어야 하므로 해당 기구를 소지하지 않고 있거나 분실한 경우에는 정직기의 롤러 간격 조절할 수 없었으므로 그때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언제든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정직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적용 가능한 용이하게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밀림부재를 활용하여 더욱 견고하고 용이하게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정직기에서는 손잡이의 삽입홈과 이동축 말단 또는 밀림축 말단이 억지끼움 되도록 해당 대응 부분들의 직경을 동등하게 형성하며, 체결 너트를 설치하여 더욱 견고하게 손잡이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바, 장기적으로 빈번하게 사용하여도 손잡이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몸체 외주면에는 사용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상 장갑을 착용하여 정직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미끌림 현상 없이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제1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직기의 제3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사시도이다.
도6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동작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제1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직기의 제3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금속 와이어 2: 소켓 렌치
10,100: 정직기 20: 제1롤러대
22,24: 제1롤러 25: 제1조임부
28,29: 이동축 30: 삼각 롤러대
32: 제3롤러 34: 제2롤러
35: 제2조임부 36: 제4롤러
37: 이동대 38: 가이드
39: 조임 볼트 40: 제2롤러대
42,44: 제5롤러 45: 제4조임부
125,135,145: 회전 손잡이 128: 삽입홈
225: 손잡이 226: 코팅막
227: 삽입홈 230: 밀림축
232: 나사홈
Claims (5)
- 와이어가 지나갈 하나의 가상선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가 상하 교대로 배치되고,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 돌출 나선홈이 형성된 이동축을 따라 상기 롤러가 이동될 수 있는 와이어를 직선으로 펴는 정직기로서,상기 이동축의 말단 단면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감싸는 몸체를 구비한 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이 밀려지거나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와이어가 지나갈 하나의 가상선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가 상하 교대로 배치되고,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 돌출 나선홈이 형성된 이동축을 따라 상기 롤러가 이동될 수 있는 와이어를 직선으로 펴는 정직기로서,내주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감싸는 몸체를 구비한 손잡이; 및상기 손잡이의 삽입홈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축과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밀림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삽입홈과 상기 이동축의 말단 또는 상기 밀림축의 말단이 억지끼움 되도록 상기 삽입홈과 상기 이동축의 말단 또는 상기 밀림축의 말단의 직경은 동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동축의 말단 단면 또는 상기 밀림축의 말단에 견고하게 고정결합 되도록 체결 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 외주면에는 사용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850U KR200385065Y1 (ko) | 2005-03-04 | 2005-03-04 |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850U KR200385065Y1 (ko) | 2005-03-04 | 2005-03-04 |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5065Y1 true KR200385065Y1 (ko) | 2005-05-24 |
Family
ID=4368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5850U KR200385065Y1 (ko) | 2005-03-04 | 2005-03-04 |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506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1764B1 (ko) * | 2012-01-20 | 2013-09-26 | 임삼옥 | 정직기 |
-
2005
- 2005-03-04 KR KR20-2005-0005850U patent/KR2003850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1764B1 (ko) * | 2012-01-20 | 2013-09-26 | 임삼옥 | 정직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13403B2 (en) | Flexible drive rod for access to enclosed locations | |
CN100563864C (zh) | 一种用手操作的用于弯管的工具和弯管器 | |
JP2003533649A5 (ko) | ||
US20050278885A1 (en) | Paint roller | |
TW201102195A (en) | Pipe processing device having floating drive roller | |
WO2008078388A1 (ja) | 脱落防止具 | |
WO2007002596A3 (en) | Cosmetic dispenser with frictional swivel action | |
US7343652B1 (en) | Lace adjuster | |
US20100233653A1 (en) | Wrench for dental implant | |
KR200385065Y1 (ko) |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직기 | |
EP3489155B1 (en) | Tie-down | |
FI119888B (fi) | Holkkiliitos pituudeltaan teleskooppimaisesti säädettävän varren ulkoputken ja sisäputken välillä | |
US6401758B1 (en) | Variable pitch thread configuration | |
JPH06201014A (ja) | ボールねじナット・アセンブリ | |
US20170143097A1 (en) | Case for a stick of material, such as a stick of lipstick, including a flexible lip, and cosmetic product including such a stick of material contained in such a case | |
EP4150186B1 (en) | System for mounting a rollable screen | |
US8136801B2 (en) | Adjustable tension spring anchor with rotatable head | |
TW200500002A (en) | Screw thread mechanism and reel seat furnished therewith | |
JP5147529B2 (ja) | ケーブル引き寄せ具 | |
JP6687307B2 (ja) | 巻取装置 | |
JP4062970B2 (ja) | ボールねじ | |
JP2007076820A (ja) | テープ巻回装置 | |
KR100497009B1 (ko) | 권취롤타입의 자재 진열대 | |
JP5022254B2 (ja) | 機械部品の軸止め構造 | |
KR200310129Y1 (ko) | 파이프 길이가변용 록킹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