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946Y1 -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946Y1
KR200383946Y1 KR20-2005-0005018U KR20050005018U KR200383946Y1 KR 200383946 Y1 KR200383946 Y1 KR 200383946Y1 KR 20050005018 U KR20050005018 U KR 20050005018U KR 200383946 Y1 KR200383946 Y1 KR 200383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lade
cutting device
cutting
sl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이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권 filed Critical 이재권
Priority to KR20-2005-0005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심부 칼날지름축 칼날 및 다수개의 절편용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과일절단 칼날 상호간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과일절단시 칼날과 과일 사이의 마찰력 및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일스낵용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과일절편(切片, slice)을 일정한 두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일절편용 절단장치{CUTTING DEVICE FOR SLICING A FRUIT}
본 고안은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낵용 식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과일절편(切片,slice)을 만드는데 있어서 일정한 두께의 과일절편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과, 감, 배, 복숭아 등과 같이 내부에 씨앗이 있거나 파인애플 등과 같이 내부에 먹지 못하는 부분이 있는 과일을 간편하게 먹기 위해서, 과일 내부의 씨앗이 있는 부분 등 먹지 못하는 부분을 일시에 제거함과 동시에 식용부분을 등분내고자 하는 개수만큼 일시에 등분하는 과일용 다등분 절단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과일 다등분 절단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을 방사형으로 절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절단되는 과일의 중앙부에 절단압력이 집중되어 과일이 으깨질 수 있고, 또한 절단된 과일조각의 내면폭(내부원호길이)과 외면폭(외부원호길이)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과일절편(切片,slice)을 일정두께로 만들기 곤란하며 특히 스낵용 식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과일절편의 건조과정에서 과일절편의 부분마다 건조정도의 차이가 나게 되어 과일절편이 뒤틀어지고 부스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식품용 과일절편(切片,slice)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과일절편의 두께 및 크기가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하고 또 과일절편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극대화시키고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과일절편용 절단장치(10)는
중심부 칼날(21)과;
상기 중심부 칼날의 지름축 상에 형성되는 지름축 칼날(22)과;
상기 지름축 칼날(22) 선을 일정등분한 각각의 위치로부터 중앙부(Y) 외곽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절편용 칼날(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스테인레스 재질의 과일절편용 절단장치(10)는 가로206㎜, 세로206㎜, 두께20㎜의 금속판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판의 중앙부(Y)의 지름축 A 또는 B (A와 B는 수직교차)의 길이는 150㎜이며, 따라서 중앙부(Y)의 원주(圓周)길이는 471㎜ 이다.
상기 중앙부(Y)내에 중심부 칼날(21)과 지름축 칼날(22) 및 절편용 칼날(23)이 설치된다. 중앙부(Y)는 다각형 형태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원형(圓形)형태로 이루어진다.
도2에는 본 고안인 과일절편용 절단장치(10)의 평면도 및 칼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지름축 칼날(22) 및 절편용 칼날(23)은 과일절단시 칼날이 두꺼워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부하(마찰력)를 감소시키기 위해 칼날 양면 전체를 대칭적으로 경사지도록 테이퍼(taper)처리하여 과일절편이 칼날의 양면으로부터 밀려나도록 구성되며, 중심부 칼날(21)의 경우는 칼날 바깥쪽 한쪽면만 경사지도록 테이퍼(taper)처리(즉,구배(勾配)처리)하여 과일절편이 중심부 칼날(21)의 외곽방향으로밀려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심부 칼날(21)은 다각형 형태가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圓形)형태로 이루어지며, 또한 중심부 칼날(21)의 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십자형(十) 칼날만이 설치된다.
한편, 도3,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 홈(11b)에 체결구를 설치하여, 상기 절편용 칼날(23)과는 별도의 보조 칼날(24)이 구성된 보조 절단장치(10a)가 상기 과일절편용 절단장치(10)와 적층결합된다. 한편, 도3에서 보조 칼날(24)은 칼날 바깥쪽 한쪽면만 경사지도록 테이퍼(taper)처리(즉,구배(勾配)처리)하여 과일절편이 중앙부(Y)의 외곽방향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3에서 중심부 칼날(21), 지름축칼날(22), 절편용 칼날(23), 보조 칼날(24)은 바람직하게는 칼날 높이 20 ㎜, 테이퍼 처리하지 않은 칼날의 두께 1 ㎜ 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 칼날(21) 하부에 파이프(21a)를 부착하고 이 파이프에 호스(21b)를 연결하여 씨방만 별도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6에는 씨방이 없는 과일의 절편(切片,slice)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되도록 중심부 칼날(21), 파이프(21a), 호스(21b)가 구비되지 않은 과일절편용 절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다)는, 체결구 홈(11a)에 체결구를 설치하여, 과일절편용 절단장치(10) 2개((가) 및 (나))가 상호 수평회전각도를 이루며 적층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다수개의 과일절편용 절단장치가 적층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과일절편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의 절편용 칼날(23)의 배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주를 36등분하면 원호(圓弧) 하나의 길이는 13.083㎜가 되고, 지름축A와 상기 원주와의 교차점 a에서부터 원주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13.083㎜만큼 떨어진 위치가 36등분 교차점b가 된다.
또한 지름축B를 18등분하면 등분 하나의 길이는 8.333㎜이고, 중앙부(Y)의 중심점(o)으로부터 지름축B를 따라 우측방향으로 8.333㎜만큼 떨어진 위치가 d점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점b와 점d를 일대일 대응시켜 형성되는 직선경로상에 절편용 칼날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점b와 점d가 다시 기준점이 되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대일 대응점이 형성되어 절편용 칼날의 위치가 결정되며,
마찬가지 방법으로 나머지 반원부분의 36등분 교차점도 지름축B의 18등분 교차점과 일대일 대응점을 형성하여 절편용 칼날의 위치가 결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편용 칼날(23)의 배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서 직선경로 2와 3 사이의 각도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즉, 원주를 36등분한 값이 13.083㎜이고, 지름축B의 18등분의 길이는 8.333㎜이므로, 도6에서 점a와 점b 사이의 호의 길이는 13.083㎜ 이되고, 점o와 점d 사이의 길이는 8.333㎜이 되는데, 이 둘의 길이의 차이는 4.75㎜이고 이를 점e와 점b 사이의 호의 길이로 근사한다. 이 호의 길이를 원주와의 비로 계산하면 4.75/471는 약 1/100이며, 다시 이를 각도의 비율로 계산한다면 360 °/100 이므로 3.6°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절편용 칼날(23)의 배치구조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만일. 본 고안과 달리 지름축A와 평행하게 절편용 칼날(23)들이 배치된다면, 중심부 칼날(21), 지름축 칼날(22) 및 절편용 칼날(23)이 과일을 절단해 들어가면서 과일절편이 각각의 칼날 옆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중앙부(Y)의 외곽 부분(즉, 평행하게 이웃한 2개의 절편용 칼날(23)과 금속판 부분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부채꼴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중심부 칼날(21)로부터 밀려나는 과일절편은 이웃한 절편용 칼날(23) 및 금속판에 가로막히게 되어 압축되는 상태가 되며, 또한 절편용 칼날(23)에 수직한 방향으로 옆으로 밀려나는 과일절편도 이웃한 절편용 칼날(23)에 가로막히게 되어 압축되는 상태가 되므로 과일절편의 형태가 변형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각각의 절편용 칼날이 이웃한 절편용 칼날과 일정 각도(3.6°)를 이루며 배치되면 과일절편이 절단되어 밀려나온 후에도 중앙부(Y)의 외곽 부분(즉, 일정 각도를 이루며 이웃한 2개의 절편용 칼날(23)과 금속판 부분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부채꼴 형상이므로 중심부 칼날(21)로부터 밀려나는 과일절편의 형태가 유지되며, 한편 절편용 칼날(23)에 수직한 방향으로 옆으로 밀려나는 과일절편은 이웃한 절편용 칼날(23)과의 사이에 설치된 일정 각도(상기에서는 3.6°)만큼의 여유공간으로 밀려갈 수 있어서 절편용 칼날(23)로부터의 부하가 감소되기 때문에 과일절편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와 칼날의 갯수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인 과일절편용 절단장치는 가공식품용 과일절편(切片,slice)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과일절편의 크기 및 두께를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할 수 있고 또 과일절편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극대화시키고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보조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4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와 보조 절단장치의 적층결합 평면도
도 5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와 보조 절단장치의 적층결합 단면도
도 6은 중심부 칼날이 제거된 과일절편용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7은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2개의 적층결합 평면도
도 8은 과일절편용 칼날의 배치도
도 9는 종래 방사형 구조의 절단부를 구비한 과일 다등분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 ; 직선경로
10 ;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10a ; 보조 절단장치
11a,11b,12 ; 체결구 홈
21 ; 중심부 칼날 21a ; 파이프 21b ; 호스
22 ; 지름축 칼날 22a ; 방사형 칼날
23 ; 절편용 칼날 24 ; 보조 칼날
Y ; 중앙부 A,B ; 지름축
o ; 중심점
a ; 지름축A와 중앙부 원주와의 교차점
b ; 중앙부 원주의 36등분점
c ; 점b로부터 지름축B에 내린 수직교차점
d ; 지름축B의 18등분점
e ; 점d로부터 지름축B에 대한 수직선과 중앙부 원주와의 교차점

Claims (6)

  1. 중심부 칼날(21)과;
    상기 중심부 칼날의 지름축 상에 형성되는 지름축 칼날(22)과;
    상기 지름축 칼날(22) 선을 일정등분한 각각의 위치로부터 중앙부(Y) 외곽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절편용 칼날(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편용 칼날(23)은
    상기 지름축 칼날(22) 선을 일정등분한 각각의 위치를, 상기 지름축 칼날(22)의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주(圓周)의 반원(半圓)부위를 일정등분한 각각의 위치와 일대일 대응시키고, 나머지 반원부위를 일정등분한 각각의 위치와도 일대일 대응시켜 형성되는 각각의 직선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절편용 절단장치(10)는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칼날(21)의 하부에는 파이프(21a) 및 호스(21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절편용 절단장치(10)가 다수개 적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절편용 절단장치(10)가 보조 절단장치(10a)와 적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KR20-2005-0005018U 2005-02-24 2005-02-24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KR200383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018U KR200383946Y1 (ko) 2005-02-24 2005-02-24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018U KR200383946Y1 (ko) 2005-02-24 2005-02-24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946Y1 true KR200383946Y1 (ko) 2005-05-10

Family

ID=4368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018U KR200383946Y1 (ko) 2005-02-24 2005-02-24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9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37A (ko) * 2017-04-04 2018-10-12 금난영 세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37A (ko) * 2017-04-04 2018-10-12 금난영 세절 장치
KR101959844B1 (ko) * 2017-04-04 2019-03-19 금난영 세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5072C2 (ru) Ножевой узел для кухонного комбайна и кухонный комбайн,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вой
CN101938917B (zh) 用于对蔬菜进行切片的装置和方法
KR102071014B1 (ko) 나선 형상 조각을 커팅하기 위한 시스템
US7856913B2 (en) Rotary cutting blade
US20150135926A1 (en) Cutting blade
MX2008013425A (es) Aparato para cortar papas o vegetales similares.
JP2019509903A (ja) 製品のスライス装置および方法
US11897158B2 (en) Impellers for cutting machines and cutting machines equipped therewith
KR200383946Y1 (ko) 과일절편용 절단장치
AU2019378754A1 (en) Vegetable knife having a pulverizing coring pin
KR20080024794A (ko) 슬라이스 야채절단기의 깍둑 썰기용 커터 구조
US9204659B2 (en) Rotary food cutter device
JP3986498B2 (ja) 回転駆動可能な切断用刃
EP2615954A1 (en) Knife for a cutting disc for a cutting machine
KR200432126Y1 (ko) 슬라이스 야채절단기의 깍둑 썰기용 커터 구조
US8882009B2 (en) Forming disc for food processing
CN113302029B (zh) 食品加工设备
JP2003266368A (ja) 野菜カッター
US20100043236A1 (en) Food processor
US9821485B2 (en) Rotating cutting blade assembly
US201601073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food pieces into a twisted shape
AU2020473992A1 (en) Impellers for cutting machines and cutting machines equipped therewith
CN204306694U (zh) 在家用电器中使用的切割刀片和家用电器
NZ775957B2 (en) Vegetable knife having a pulverizing coring pin
JP2024506429A (ja) タブブレードを備えたナイフアセンブリ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