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458Y1 -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 Google Patents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3458Y1 KR200383458Y1 KR20-2005-0003494U KR20050003494U KR200383458Y1 KR 200383458 Y1 KR200383458 Y1 KR 200383458Y1 KR 20050003494 U KR20050003494 U KR 20050003494U KR 200383458 Y1 KR200383458 Y1 KR 2003834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hift
- trolley
- bridge
- hois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4—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adapted to operate on crane or bridge structure of particular configuration, e.g. on reinforced concrete girders of rectangular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4—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movements relative to bridge or gant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제1교대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네개의 지지축을 형성하고 각 지지축은 가로대와 세로대에 의해 서로 지지 고정되며 상단에 호이스트(hoist)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trolley)가 형성된 후방지지대와, 제1교대와 인접한 제2교대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네개의 지지축을 형성하고 각 지지축은 가로대와 세로대에 의해 서로 지지 고정되며 상단에 호이스트(hoist)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trolley)가 형성된 전방지지대와, 일단은 후방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 호이스트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가 형성된 중심지지대를 구비하는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후교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외부조건에 의해 구애받지 않아 보다 안전하고 손쉽게 다수개의 빔을 인출하고 인양하여 전후교대 상면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시공기간도 더욱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대와 상판 사이에 위치되는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교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외부조건에 의해 구애받지 않아 보다 안전하고 손쉽게 다수개의 빔을 인출하고 인양하여 전후교대 상면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시공기간도 더욱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crane)은 하물(荷物)을 들어올려서 상하·좌우·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 사용목적에 따라 크레인의 형식과 운동방식 등이 각각 달라서 크레인을 분류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명칭도 다양해서 일정하지 않으나, 용도와 형상을 고려해서 크레인을 분류하면, 천장 크레인(overhead crane), 지브 크레인(jib crane), 다리형 크레인(bridge crane), 탑형 크레인(tower crane), 케이블 크레인(cable crane), 언로더(unloader)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산악지형이나 늪지 및 강이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교량을 가설할 경우에는 평지에서 사용하는 탑형 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두개가 한조로 전후교대 상면에 호이스트가 장착된 빔(Beam)인양장치인 문형가설기(門型Frame)를 각각 한기씩 다수개의 고정와이어로 세워 고정시킨 후, 문형가설기 상단의 횡이동대차(윈치)를 이용하여 피시 빔(PC Beam),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PSC Beam) 등을 인출하고, 문형가설기를 이용하여 빔을 인양하여 횡이동하여 전후교대 상면의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빔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두개의 문형가설기를 한조로 교대상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는 기온이나 바람 등의 여러외부 조건에 의해서 수축이나 팽창이 일어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공시 실제로 인명사고 및 안전사고가 비일비재로 일어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후교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외부조건에 의해 구애받지 않아 보다 안전하고 손쉽게 다수개의 빔을 인출하고 인양하여 전후교대 상면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시공기간도 더욱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량의 제1교대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네개의 지지축을 형성하고 각 지지축은 가로대와 세로대에 의해 서로 지지 고정되며 상단에 호이스트(hoist)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trolley)가 형성된 후방지지대와, 제1교대와 인접한 제2교대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네개의 지지축을 형성하고 각 지지축은 가로대와 세로대에 의해 서로 지지 고정되며 상단에 호이스트(hoist)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trolley)가 형성된 전방지지대와, 일단은 후방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 호이스트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가 형성된 중심지지대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후방지지대와 전방지지대의 각각 네개의 지지축은 유압장치에 의해 하부로 길이가 연장되고 또한 상부로 길이 단축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중심지지대는 삼각 트러스(truss)구조인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후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후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후 횡방향 호이스트의 작동전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후 횡방향 호이스트의 작동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시 유압장치에 의해 지지축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1)은, 전후교대에 각각 네개의 지지축(11a,11b,11c,11d)(21a,21b,21c,21d)으로 직립되는 전후방지지대(10)(20)와, 전후방지지대(10)(20)를 연결 고정시키는 중심지지대(30)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지지대(20)는 교량의 제1교대(40)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가로대(22)와 세로대(23)에 의해 서로 지지 고정되는 네개의 지지축(21a,21b,21c,21d)과, 지지축(21a,21b,21c,21d)을 하부로 길이 연장시키고 또한 상부로 길이 단축시키는 유압장치(24a,24b,24c,24d)와, 상단에 횡방향 호이스트(hoist)(26)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횡방향 트롤리(trolley)(25)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지지대(10)는 교량의 제1교대(40)와 인접한 제2교대(41)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가로대(12)와 세로대(13)에 의해 서로 지지 고정되는 네개의 지지축(11a,11b,11c,11d)과, 지지축(11a,11b,11c,11d)을 하부로 길이 연장시키고 또한 상부로 길이 단축시키는 유압장치(14a,14b,14c,14d)와, 상단에 횡방향 호이스트(hoist)(16)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횡방향 트롤리(trolley)(15)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지지대(30)는 삼각 트러스(truss)구조로 형성되어 일단이 후방지지대(2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전방지지대(1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 종방향 호이스트(32)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종방향 트롤리(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같이, 전후방지지대(10)(20)의 유압장치(14a,14b,14c,14d)(24a,24b,24c,24d)를 작동시켜 지지축(11a,11b,11c,11d)(21a,21b,21c,21d)을 유압장치(14a,14b,14c,14d)(24a,24b,24c,24d) 내부로 삽입시켜 길이를 최소화한 다음, 런칭거더(launching girder)(50) 상의 대차(51)에 안착되어 이동되다가 전방지지대(10)가 제2교대(41)의 설정위치에, 후방지지대(20)가 제1교대(40)의 설정위치에 다다르면, 전후방지지대(10)(20)의 유압장치(14a,14b,14c,14d)(24a,24b,24c,24d)가 가동되어 지지축(11a,11b,11c,11d)(21a,21b,21c,21d)이 하부로 돌출되면서 전후방지지대(10)(20)는 각각 제2교대(41)와 제1교대(40) 상면에 각각 직립된다.
이 상태에서 전후방지지대(10)(20)를 연결하는 삼각 트러스구조의 중심지지대(30) 하부에 장착된 종방향 트롤리(31)의 종방향 호이스트(32)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60)을 상부에서 지지하면서 런칭거더(50)의 대차(51)상에서 제2교대(41)와 제1교대(40)에 걸치게 위치시킨다.
이때, 종방향 트롤리(31)의 롤러(33)는 모터(35)의 힘으로 중심지지대(30)의 양측단에 설치된 레일(34)을 따라 진행된다.
이렇게 제2교대(41)와 제1교대(40)에 걸쳐져 위치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60)은 전후방지지대(10)(20)의 횡방향 트롤리(15)(25)의 횡방향 호이스트(16)(26)로 각각 양단을 잡아 제2교대(41)와 제1교대(40)의 좌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횡방향 트롤리(15)(25)의 롤러(17)(27)는 모터(19)(29)의 힘으로 전후방지지대(10)(20)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레일(18)(28)을 따라 반복 진행된다.
이렇게 제2교대(41)와 제1교대(40)에 다수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60)을 가설시킨 후에는, 다시 도 5와 같이, 지지축(11a,11b,11c,11d)(21a,21b,21c,21d)을 유압장치(14a,14b,14c,14d)(24a,24b,24c,24d) 내측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런칭거터(50)의 대차(51)에 실려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상기와 같은 작업을 계속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후교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외부조건에 의해 구애받지 않아 보다 안전하고 손쉽게 다수개의 빔을 인출하고 인양하여 전후교대 상면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시공기간도 더욱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후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후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후 횡방향 호이스트의 작동전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후 횡방향 호이스트의 작동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시 유압장치에 의해 지지축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가설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레인 10,20 : 전후방지지대
11a,11b,11c,11d,21a,21b,21c,21d : 지지축
12 : 가로대 13 ; 세로대
14a,14b,14c,14d,24a,24b,24c,24d ; 유압장치
15,25 ; 횡방향 트롤리 16,26 : 횡방향 호이스트
17,27 : 롤러 18,28 : 레일
19,29 : 모터 30 : 중심지지대
31 : 종방향 트롤리 32 : 종방향 호이스트
33 : 롤러 34 : 레일
35 ; 모터 40 : 제1교대
41 : 제2교대 50 : 런칭거더
51 : 대차 6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Claims (3)
- 교량의 제1교대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네개의 지지축을 형성하고 각 지지축은 가로대와 세로대에 의해 서로 지지 고정되며 상단에 호이스트(hoist)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trolley)가 형성된 후방지지대와;제1교대와 인접한 제2교대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네개의 지지축을 형성하고 각 지지축은 가로대와 세로대에 의해 서로 지지 고정되며 상단에 호이스트(hoist)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trolley)가 형성된 전방지지대와;일단은 후방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 호이스트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가 형성된 중심지지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후방지지대와 전방지지대의 각각 네개의 지지축은 유압장치에 의해 하부로 길이가 연장되고 또한 상부로 길이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중심지지대는 삼각 트러스(truss)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3494U KR200383458Y1 (ko) | 2005-02-04 | 2005-02-04 |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3494U KR200383458Y1 (ko) | 2005-02-04 | 2005-02-04 |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3458Y1 true KR200383458Y1 (ko) | 2005-05-03 |
Family
ID=4368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3494U KR200383458Y1 (ko) | 2005-02-04 | 2005-02-04 |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3458Y1 (ko) |
-
2005
- 2005-02-04 KR KR20-2005-0003494U patent/KR20038345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11268A (en) | Construction of large structures by robotic crane placement of modular bridge sections | |
KR101193608B1 (ko) |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 | |
CN101559905A (zh) | 一种缆载吊机 | |
WO1996005375A9 (en) | Construction of large structures by robotic crane placement of modular bridge sections | |
KR100634848B1 (ko) |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 |
KR20150108625A (ko) |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0605089B1 (ko) | 런칭거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철거방법 | |
JP4188170B2 (ja) | 鉄骨構造物の建方工法及びその装置 | |
KR101373098B1 (ko) | 복합 트러스 에프씨엠 교량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트러스 에프씨엠 교량시공방법 | |
CN113279335A (zh) | 一种可用于跨山岭大吨位、宽幅度钢箱梁安装的装置及方法 | |
KR100627102B1 (ko) |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방법 | |
CN110344334B (zh) | 采用背索式架桥机的两跨连做钢混组合桥梁施工方法 | |
KR200383458Y1 (ko) | 교량의 빔 가설용 크레인 | |
CN205382425U (zh) | 铁路t型桥梁加筑声屏障梁模板桁架车 | |
CN112160246A (zh) | 组合梁安装方法 | |
KR200363059Y1 (ko) |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시스템 | |
KR20060085053A (ko) | 교량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시공방법 | |
CN107700363B (zh) | 一种自带提升系统的桥塔台架及施工方法 | |
CN214613613U (zh) | 桥面板吊装设备 | |
CN102102341B (zh) | 一种高架桥面施工方法 | |
CN212611986U (zh) | 一种门式架槽机 | |
CN115676683A (zh) | 一种桥面施工用车辆升降平台 | |
CN210368664U (zh) | 一种宽体架桥机 | |
CN108221639B (zh) | 一种三塔悬索桥主梁安装施工结构 | |
CN112982183A (zh) | 主梁的配重式安装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2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