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261Y1 -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261Y1
KR200383261Y1 KR20-2005-0004429U KR20050004429U KR200383261Y1 KR 200383261 Y1 KR200383261 Y1 KR 200383261Y1 KR 20050004429 U KR20050004429 U KR 20050004429U KR 200383261 Y1 KR200383261 Y1 KR 200383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as
tank
synthetic resin
gas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석범
Original Assignee
(주)동방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아이디 filed Critical (주)동방아이디
Priority to KR20-2005-0004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합성수지를 열분해 반응을 이용한 일련의 과정을 대폭 축소한 장치와 공정을 통해 경제적으로 휘발유,디젤유 등의 오일을 회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과 촉매제를 투입하여 가열 용융시켜 유류성분인 탄화수소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로와; 상기 반응로를 통하여 생성된 가스를 분리시키는 가스분리탑과; 상기 가스분리탑에 의해 분리된 가스를 액화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의해 액화된 B-C오일, LIGHT오일, GASOLINE오일이 보관하는 복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LIGHT과 GASOLINE 오일을 이송하여 먼저 촉진제를 투입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이어 탈색재를 투입하여 안정된 색상을 갖도록 한 촉매기와; 상기 촉매기에 의해 탈취와 탈색된 혼합유를 필터링한 정제유가 보관되는 정제유저장탱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Oil creation device}
본 고안은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폐합성수지를 가열용융시켜 발생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높은 효율의 유류를 회수하기 위한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PE, PP, PS, PVC 등의 폐합성수지가 발생되면 이를 소각 처리하거나 매립 처리하였으나, 이들 처리방식은 자원의 낭비는 물론, 소각 방식의 경우 염화수소(HCL), 유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다이옥신 등의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시켜 2차 대기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매립방식도 합성수지의 특성인 난분해성에 따른 토양오염, 침출수 등으로 인한 오염 문제가 심각하였다.
이에 폐합성수지를 소각하거나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는 방안으로서 열가소성수지르 열분해하여 유용한 오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유화방법이나 그 장치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폐합성수지를 열분해 반응을 이용한 일련의 과정을 대폭 축소한 장치와 공정을 통해 경제적으로 휘발유,디젤유 등의 오일을 회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과 촉매제를 투입하여 가열 용융시켜 유류성분인 탄화수소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로와; 상기 반응로를 통하여 생성된 가스를 분리시키는 가스분리탑과; 상기 가스분리탑에 의해 분리된 가스를 액화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의해 액화된 B-C오일, LIGHT오일, GASOLINE오일이 보관하는 복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LIGHT과 GASOLINE 오일을 이송하여 먼저 촉진제를 투입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이어 탈색재를 투입하여 안정된 색상을 갖도록 한 촉매기와; 상기 촉매기에 의해 탈취와 탈색된 혼합유를 필터링한 정제유가 보관되는 정제유저장탱크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폐합성수지 등을 열분해 반응시켜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로(10)와, 상기 반응로(10)에 연통되며 생성된 가스를 분리하는 가스분리탑(20)과, 가스분리탑(20)에 의해 분리된 가스를 액화하는 냉각기(30)와, 냉각기(30)에서 액화된 유류를 보관하는 저장탱크(40)와, 저장탱크(40)에서 공급되어 혼합유에 추출제를 첨가하여 탈취,탈색하는 촉매기(50)와, 이어 혼합유를 필터를 거쳐 정제유가 저장되는 정제유저장탱크(62,63)로 구성된다.
상기 반응로(10)는 외부에 가스버너를 구비하여 열을 간접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하며, 상기 반응로(10)에서 350∼450℃로 용융되어 유류성분인 탄화수소를 분해되어 기화되고 일부는 미분해 잔재로 남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반응로(10) 내부에서 탄화방지 및 오일의 추출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혼합유로된 모유를 일정량 투입시켜 열분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유로는 혼합유,경유,등유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반응로(10)에서 기화된 혼합가스는 반응로(10)에 연통된 가스분리탑(20)으로 상승된다.
상기 가스분리탑(20)에 곧바로 유입된 혼합가스는 가스분리탑(20)을 통과하면서 비점차에 의해 유종별로 분리되어 상기 가스분리탱크(21)로 이송된다.
상기 가스분리탱크(21)는 가스분리탑(20)에 유종별로 복수개 연결되며, 내부에 촉매제가 첨가된다.
상기 촉매제는 산화니켈, 산화알루미늄,산화코발트,이산화규소,구리,산화망간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가스분리탱크(21)는 촉매제에 의해 가스분리탱크(21)로 유입된 혼합가스 중 불완전가스는 가스분리탱크(21)에 고착되고, 유류가스는 연결된 가스이송관(22)를 통해 냉각기(30)를 통과하여 저장탱크(40)에 이송된다.
상기 가스이송관(22)에는 유류가스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는 내부식재가 가스배출구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보온재가 감싸지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가스이송관(22)에 내부식재가 설치되어 관체가 부식되지 않고 슬러지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스분리탱크(21)와 가스이송관(22) 사이에 커플러(23)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기(30)로 이송된 유류가스는 냉각기(30)를 통과하면서 1,2차 냉각되어 유류가 액상화되고, 이렇게 액화된 유류는 복수의 저장탱크(4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탱크(40)에는 B-C오일, LIGHT오일, GASOLINE오일이 보관되도록 복수 구비되는데, 상기 B-C오일이 저장되는 A탱크(41)는 설치된 펌프에 의해 다시 반응로(10)로 보내진다.
그리고, LIGHT오일과 GASOLINE오일의 저장되는 B,C탱크(42,43)는 설치된 펌프에 의해 촉매기(50)의 정제탱크에 이동되고, 나머지는 보조탱크(44)에 보관된다.
상기 촉매기(50)는 1차 LIGHT오일과 GASOLINE오일(혼합유)이 이송된 제1정제탱크(51)에 설치되고, 이 제1정제탱크(51)에 연통되게 제1케미칼탱크(5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미칼탱크(52)에서 일정량의 탈취제를 제1정제탱크(51)에 공급하여 혼합유의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악취를 제거한다.
이어 2차 혼합유가 보관되는 제2정제탱크(53)가 설치되고, 이 제2정제탱크(53)에 연통되게 제2케미칼탱크(5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케미칼탱크(54)에서 일정량의 탈색제를 공급하여 혼합유의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탈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해가스가 제거되고 탈취 및 탈색된 혼합유는 여과기(60)를 거쳐 필터링되어 제1정제유탱크(63)에 저장된다.
상기 여과기(60)는 제1여과기(61)(OIL SEPARA) 거쳐 1차 여과하고 비중차에 따라 경질유 및 중질유로 응축된 정제유를 분리하고, 이어 복수의 제1여과기(62) 통과하여 2차적으로 불순물 등을 필터링하여 제1정제유탱크(63)로 보내진다.
상기 제1정제유탱크(63)에 보관된 정제유의 일부는 버너의 열원으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용량이 큰 제2정제유탱크(64)에 보관되어 수급처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폐합성수지를 열분해 반응을 이용한 일련의 과정을 대폭 축소한 장치를 통해 경제적으로 휘발유,디젤유 등의 오일을 회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반응로 20: 가스분리탑
30: 냉각기 40: 저장탱크
41: A탱크 42,43: B,C탱크
50: 촉매기 51: 제1정제탱크
52: 제1케미칼탱크 53: 제2정제탱크
54: 제2케미칼탱크 60: 여과기

Claims (3)

  1.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과 촉매제를 투입하여 가열 용융시켜 유류성분인 탄화수소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로와;
    상기 반응로를 통하여 생성된 가스를 분리시키는 가스분리탑과;
    상기 가스분리탑에 의해 분리된 가스를 액화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의해 액화된 B-C오일, LIGHT오일, GASOLINE오일이 보관하는 복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연통되며 유입된 LIGHT오일, GASOLINE오일에 촉진제를 투입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제1정제탱크와, 상기 제1정제탱크에서 정제된 오일에 탈색재를 투입하여 안정된 색상을 갖는 제2정제탱크가 포함된 촉매기와;
    상기 촉매기에 의해 탈취와 탈색된 혼합유를 필터링한 정제유가 보관되는 정제유저장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리탑에 연통되며 상기 가스분리탑에서 생성된 혼합가스 중 불완전가스와 유류가스를 분리하는 가스분리탱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GHT오일, GASOLINE오일 보관된 저장탱크와 제1정제탱크 사이에는 보조탱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KR20-2005-0004429U 2005-02-18 2005-02-18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KR200383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29U KR200383261Y1 (ko) 2005-02-18 2005-02-18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29U KR200383261Y1 (ko) 2005-02-18 2005-02-18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447A Division KR20060092504A (ko) 2005-02-18 2005-02-18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261Y1 true KR200383261Y1 (ko) 2005-05-03

Family

ID=4368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29U KR200383261Y1 (ko) 2005-02-18 2005-02-18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2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5256A1 (en) Production of hydrocarbon fuels from plastics
KR100748624B1 (ko)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65273B1 (ko) 폐플라스틱의 유화방법 및 장치
JP4465851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方法及び装置
CN100513533C (zh) 一种鲁奇炉煤制气的煤气水处理方法
KR101296267B1 (ko) 폐전선 재활용 장치
KR200383261Y1 (ko)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Cao et al. Modelling and simulation of waste tire pyrolysis process for recovery of energy and production of valuable chemicals (BTEX)
KR20060092504A (ko)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JP3579875B2 (ja) ゴミを分類焼化して資源を回収する方法とその設備
KR101307395B1 (ko) 재생 중질유, 재생 탄소화합물을 이용한 합성고분자 폐기물 열분해 유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9244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재생유 가공시스템
JP2005068435A (ja) 有機物に富む供給原料から除染合成ガスを高効率で製造する方法およびプラント
CN116064064A (zh) 一种热解回收废塑料的方法及系统
US10442996B1 (en) Production and use of ultra-clean carbon compounds and uniform heat from carbon-based feedstocks
KR20100008856U (ko) 폐 플라스틱의 재생유 유화장치
KR100988297B1 (ko) 액상폐기물의 에너지화를 위한 고온고압 처리시스템
KR200316387Y1 (ko)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KR20040055507A (ko)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JPH0881685A (ja) 廃プラスチックスの処理方法
KR100520131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연료유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05330437A (ja) 廃プラスチック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廃プラスチックを用いたガス発電システム
KR100590281B1 (ko) 가속분해공정에 의해 회수율이 향상되는 폐합성수지의유화방법 및 그 장치
JP3146195U (ja) 廃油・廃プラスチック油化還元装置
CA2153395C (en) Process for recovery of tank bottom was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