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175Y1 - 높낮이 조절 호차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175Y1
KR200383175Y1 KR20-2005-0003002U KR20050003002U KR200383175Y1 KR 200383175 Y1 KR200383175 Y1 KR 200383175Y1 KR 20050003002 U KR20050003002 U KR 20050003002U KR 200383175 Y1 KR200383175 Y1 KR 200383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atch
elevating
lift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현승
Original Assignee
민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현승 filed Critical 민현승
Priority to KR20-2005-0003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1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짝의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의 레일상에서 구동되는 호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차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는 높낮이 조절 호차에 관한 것으로, 미서기식 창짝의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의 레일 상부상에서 구동되는 호차내의 로울러를 상,하로 승강이 용이하게 가능토록 형성하여, 호차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음으로 유리 및 골재로 구성되어 있는 창짝의 과중한 하중에 의한 호차의 손상방지를 하여, 창짝이 원활하게 창틀의 레일상부에서 구동을 시킬수가 있는 등의 높낮이 조절 호차(10)에 관한 고안으로서, 몸체(1) 및 카바(6) 내부의 일측면에 45도 각도의 사선 돌출테인 승강유도면(1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유도면(11,61)과 대응되어 사용되는 사선 돌출테인 상,하부 승강면(26,27)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아 로울러(4)를 내재한 상태로 상,하로 높이 이동이 되는 승강구(2) 및 높이조절나사(7)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7)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승강구(2)를 전,후진을 시켜 승강유도면(11,61)의 상,하로 높이이동을 시키며,상기 승강구(2)의 상,하 높이 이동시 승강구(2)를 지지하여 주는 등의 승강지지부(3)가 형성되어 있는 등의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 호차(10)를 이용하여, 종래 상기 용도의 높낮이를 조절할수 있는 호차의 문제점인 호차 내부의 로울러가 상,하로 승강이 원활이 안되는 문제점 및 그의 작동구조상의 문제점등을 해결하여, 호차 내부의 로울러가 용이하게 상,하로 승강이 되어 창짝의 개폐가 원활하며, 창짝용골재의 과중한 하중에도 견고히 지탱할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가 있는 높낮이 조절 호차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호차{Height contol roller}
일반적으로 미서기식 창호는 창짝용 골재의 하부에 호차를 설치후,상기 창짝용골재를 창틀용골재의 레일상부에 설치후,상기 창짝용골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차가 창틀용골재의 레일을 따라 이동을 함으로서,상기 창짝용골재를 개폐를 하게 되어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 용도의 창짝용골재의 하부에 설치,사용되는 호차의 높이를 상,하로 승강이 용이하게 가능토록 형성하여, 창짝이 원활하게 창틀의 레일상부에서 구동 및 창짝용골재의 유격을 방지하여 창짝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수가 있는 높낮이 조절 호차에 관한 고안으로서, 종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부합시키기 위하여 창짝용골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호차의 높낮이를 조절 할수 있는 호차가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종래의 호차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호차내부의 로울러가 승,하강을 하여 높이 조절을 할수가 있으나 유리 및 창짝용골재등으로 구성된 창짝의 하중으로 인하여 호차가 찌그러 지는등의 문제점으로 창짝이 원활하게 레일 상부에서 구동을 하지 못하였으며,특히 신축작용을 하는 스프링의 결합구성이 견고하지 못하여 사용중 스프링이 외부로 이탈 되어 사용이 불가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호차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 장기간 높이유지가 되지 않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호차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및 조절된 높이를 장기간 유지할수 있으며, 그의 설치,사용이 용이한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호차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미서기식 창짝의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의 레일상부상에서 구동되는 호차의 높이를 상,하로 승강이 용이하게 가능토록 형성하여, 창짝의 과중한 하중에 의한 호차의 손상방지를 하여 창짝이 원활하게 창틀의 레일상부에서 구동 및 외부에서 심한 바람이 유입될 경우 호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창짝용골재를 창틀용골재에 밀착시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창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특히 호차의 높낮이 조절시 신축작용을 하는 스프링의 결합구성을 간단 하면서도 사용중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 및 호차내의 로울러가 승하강이 원활하여 호차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수가 있으며, 그의 설치,사용이 간편한등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높낮이조절 호차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 및 본고안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호차의 주요 구성은;
1) 몸체
2) 승강구
3) 승강지지부
4) 로울러
5) 스프링
6) 카바
7) 높이조절나사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이 이에 의하여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 호차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 호차의 승강구 및 승강지지부의 결합된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 호차의 승강구 및 승강지지부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호차의 몸체에 부착되는 카바의 내면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고안 호차의 높이조절나사가 나사체결홀에 부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 호차의 로울러가 높은높이에 위치할때의 몸체 내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 호차의 로울러가 낮은높이에 위치할때의 몸체 내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고안은 미서기식 창짝의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의 레일상부상에서 구동되는 호차의 높이를 상,하로 승강이 용이하게 가능토록 구성한 높낮이조절 호차(10)에 관한 것으로, 내부 일측면에 승강유도면(11,61) 및 상,하부에 상,하부가이드(12,13,62)가 형성되어 있는 등의 몸체(1) 및 카바(6); 상기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는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은 상태로 로울러(4)를 내재, 상,하로 높이 이동이 되는 승강구(2); 상기 승강구(2)를 전,후진 및 높이 이동시 지지를 하여주는 승강지지부(3); 상기 승강구(2) 및 승강지지부(3)의 내부에 내재되어 상기 승강구(2)의 높이이동시 신축역활을 하여주는 스프링(5); 상기 승강지지부(3)에 체결되어 높이조절을 하여주는 높이조절나사(7);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지지부(3)에 체결되어 있는 높이조절나사(7)를 조절시 승강지지부
(3)가 가이드(12,13,62)를 따라 전,후진을 하게되어 승강지지부(3)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구(2)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몸체(1) 및 카바(6)내부의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아 승강구(2)가 로울러(4)를 내재 한상태로, 상기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높이이동을 하여, 호차의 높낮이 조절을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구(2) 및 승강지지부(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삽입홀
(24,24a,34)에 스프링(5)이 위치되어,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높이이동시 신축역활을 하여 승강구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을 몸체(1)및 카바(6)의 승강유도면(11,61)에 밀착되게 하여, 상부에서 전달되는 창짝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구(2)의 후면에 레일
(23,23a) 및 삽입요홈(23b,23c)이 형성 및 승강지지부(3) 전면에 상기 승강구(2)의 레일(23,23a) 및 삽입요홈(23b,23c)과 대응되는 레일(33,33a) 및 삽입요홈
(33b,33c)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승강구(2)의 레일(23,23a)을 승강지지부(3)의 삽입요홈(33b,33c)에 삽입 및 승강지지부(3)의 레일(33,33a)을 승강구(2)의 삽입요홈
(23b,23c)에 삽입하여, 승강구(2) 및 승강지지부(3)가 연결되어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는 내부로부터 정면과 하측으로 개방된 블록형상의 상단부와 상단부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창짝용골재의 저면에 고정되는 창짝고정판(17)등으로 되어 있는 몸체(1)내부에 카바(6)에 결합되는 돌기형상의 결합돌기(16,16a,16b,16c,
16d)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면에 45도 각도의 사선 돌출테인 승강유도면(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에 상기 승강지지부(3)의 본체(31)가 전,후진을 할때 가이드역활 및 본체(31)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토록 하여 주는 돌출테 형태의 상,하부가이드(12,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가이드(12)의 끝단부에 승강지지부(3)의 본체(31)가 이동시 본체(31)가 일정거리 이동후 더이상 이동이 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31)의 이동제한턱(32)에 맞닿는 돌기인 고정돌턱(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상기 높이조절나사(7)가 위치되는 홈형태의 나사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 양측면의 하단에 창짝용골재의 저면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형상의 삽입돌기(18,1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구(2)는 로울러(4)를 내재 시키기 위하여 하부(21) 및 상부승강구
(22)로 구성하여 하부승강구(21)의 내부에 로울러(4)를 위치후, 다수개의 체결핀
(28,28a,28b,28c)을 상부승강구(2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29,29a,29b,29c)에 체결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하부(21) 및 상부(22)승강구의 전면이 몸체(1) 및 카바(6)에 형성되어 있는 45도 각도의 사선 돌출테인 승강유도면(11,61)과 대응되어 사용할수 있는 45도 각도의 사선 형태로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구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상기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은 상태로 승강구(2)의 상,하 높이 이동 및 창짝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지지부(3)는 본체(31)후면의 U자형의 나사체결홀(36)에 높이조절나사(7)가 너트(8)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7)를 조절시, 상기 몸체(1) 내부의 상,하부가이드(12,13) 및 카바(6)내부의 상부가이드(62)를 따라 전,후진이 되며, 본체(31)상부에 상기 몸체(1)내의 고정돌턱(14)에 맞닿아 본체(31)가 일정거리 이동후 더이상 이동이 되지 않토록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돌출턱형태의 이동제한턱(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2)가 상,하로 높이 이동시 힘을 지지 및 중심축의 역활을 하여 주는 승강지지부(3)와의 연결을 위하여, 하부및 상부승강구(21,22)의 후면에 레일(23,23a) 및 삽입요홈(23b,23c)이 각기 형성 및 승강지지부(3)의 전면에 상기 승강구의 레일(23,23a) 및 삽입요홈(23b,23c)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레일(33,33a) 및 삽입요홈(33b,33c)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의 레일(23,23a)이 승강지지부(3)의 삽입요홈(33b,33c)에 삽입 및 승강지지부(3)의 레일(33,33a)이 상기 승강구(21,22)의 삽입요홈(23b,23c)에 삽입되어,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가 승강지지부(3)에 연결되어 하부(21) 및 상부승강구(22)로 구성된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에 형성되어 있는 "반 U자형"의 스프링 삽입홀(24,24a) 및 승강지지부(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U 자형"의 스프링 삽입홀
(34)에 스프링(5)이 위치되어, 스프링(5)의 상부(51)가 승강구(2)의 스프링삽입홀
(24,24a)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면인 스프링 상부 고정면(25,25a)에 고정 및 스프링(5)의 하부(52)가 승강지지부(3)의 스프링 삽입홀(34)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면인 스프링 하부 고정면(35)에 고정되는 구조로, 상기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높이이동시 신축역활을 하여 승강구(2)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을 몸체(1) 및 카바(6)의 승강유도면(11,61)에 밀착되게 하여, 상부에서 전달되는 창짝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 및 스프링(5)이 외부로 이탈이 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카바(6)는 몸체(1)와 대응되어 결합이 되는 구조로, 내부 일측면에 상기 몸체(1)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유도면(11)과 동일한 사선 돌출테인 승강 유도면(6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승강구(2)의 상부승강면(27)이 맞닿토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상기 몸체(1)의 나사삽입홈(15)과 연장,사용되는 구조의 높이조절나사(7)가 위치되는 나사삽입홈(6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 상부에 상기 몸체의 상부가이드(12)와 연장 사용되는 돌출테 형상의 상부가이드(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몸체(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16,16a,16b,16c,16d)가 삽입 결합되는 홀형상의 결합홀(64,
64a,64b,64c,64d)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면 및 내부중앙부위에 상기 몸체(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18,18a)와 연장,사용되는 구조의 삽입돌기(65,65a)가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나사(7)는 승강지지부 본체(31)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U 자형의 나사체결홀(36) 내부의 너트삽입홀(37,37a)사이에 너트(8)를 삽입한후, 상기 너트(8)에 높이조절나사(7)를 체결하여 상기 높이조절나사(7)를 조절시,상기 승강지지부(3)의 본체(31)가 전,후진이 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8)에 삽입된 높이조절나사(7)가 몸체(1)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가이드
(13)에 의하여 하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도 1 및 도 5a에 도시한바와 같이 몸체(1) 및 카바(6)의 승강유도면(11,61)에 승강구(2)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맞닿아 있는 상태로, 상기 승강지지부 본체(31)의 나사체결홀(36)내의 너트(8)에 체결되어 있는 높이조절나사(7)를 풀으면 상기 본체(31) 및 승강구(2)가 상기 가이드(12,13,62)를 따라 전진을 하게 되어, 승강구(2)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몸체(1) 및 카바(6)의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은 상태에서,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하부로 이동이 되게 되어 결국, 상기 승강구(2)내면에 위치되어 있는 로울러
(4)가 몸체 외부로 많이 돌출이 됨으로, 호차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며, 도 1 및 도 5b에 도시 한바와 같이 반대로, 높이 조절나사(7)를 조이면 상기 본체(31) 및 승강구(2)가 가이드(12,13,62)를 따라 후진을 함으로서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승강구(2)의 내면에 위치되어 있는 로울러(4)가 내부로 함몰됨으로서 호차의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높이 조절후에도 몸체(1) 및 카바(6)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유도면(11,61)에 상기 승강구(2)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밀착되어 지지가 되는 구조로, 호차의 높이를 용도에 따라 상,하로 승강이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구(2)의 레일(23,23a)이 승강지지부(3)의 삽입요홈(33b,33c)에 삽입 및 승강지지부(3)의 레일(33,33a)이 승강구(2)의 삽입요홈(23b,23c)에 삽입되어승강구(2) 및 승강지지부(3)가 연결되어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상기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에 형성되어 있는 "반 U자형"의 스프링 삽입홀(24,24a) 및 승강지지부(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U 자형"의 스프링 삽입홀(34)에 스프링(5)이 위치되어, 스프링의 상부(51)가 하부 및 상부승강구(21,
22)의 스프링삽입홀(24,24a)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면인 스프링 상부고정면
(25,25a)에 고정 및 스프링의 하부(52)가 승강지지부(3)의 스프링 삽입홀(34)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면인 스프링 하부 고정면(35)에 고정되는 구조로, 상기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높이이동시 신축역활을 하여 승강구(2)의 승강면(26,27)을 몸체 및 카바의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게 하여, 상부에서 전달되는 창짝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 및 스프링(5)이 외부로 이탈이 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중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1) 및 카바(6)에 형성되어 있는 45도 각도의 승강유도면(11,61)과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에 형성되어 있는 45도 각도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을, 5도 내지 175도의 각도 범위내의 승강유도면
(11,61) 및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으로 형성하여 대응되어 서로 맞닿는 구조로 구성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은 호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창짝의 과중한 하중에 의한 호차의 손상방지 및 창짝이 원활하게 창틀의 레일상부에서 구동시킬수가 있으며, 외부에서 심한 바람이 유입될 경우 호차의 높이를 조절하여 창짝용골재를 창틀용골재에 밀착시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창짝이 이탈되지 않는 동시에, 특히 호차의 높낮이 조절시 신축작용을 하는 스프링의 결합구성을 간단 하면서도 사용중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 및 호차내의 로울러가 승하강이 원활하여 호차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수가 있으며, 그의 설치,사용이 간편하며, 내구성 및 작업성향상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 호차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 호차의 승강구 및 승강지지부의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 호차의 승강구 및 승강지지부의 해체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호차의 몸체에 부착되는 카바의 내면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고안 호차의 높이조절나사가 나사체결홀에 부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 호차의 로울러가 높은높이에 위치할때의 몸체 내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 호차의 로울러가 낮은높이에 위치할때의 몸체 내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높낮이 조절 호차
1 : 몸체
11 : 승강유도면 12,13 : 상,하부가이드
14 : 고정돌턱 15 : 나사삽입홈
16,16a,16b,16c,16d : 결합돌기
17 : 창짝고정판 18,18a : 삽입돌기
2 : 승강구
21 : 하부승강구 22 : 상부승강구
23,23a : 레일 23b,23c : 삽입요홈
24,24a : 스프링삽입홀 25,25a : 스프링상부 고정면
26 : 하부승강면 27 : 상부승강면
28,28a,28b,28c : 체결핀
29,29a,29b,29c : 체결홀
3 : 승강지지부
31 : 본체 32 : 이동제한턱
33,33a : 레일 33b,33c : 삽입요홈
34 : 스프링삽입홀 35 : 스프링하부 고정면
36 : 나사 체결홀 37,37a : 너트삽입홀
4 : 로울러
5 : 스프링
51 : 상부 52 : 하부
6 : 카바
61 : 승강유도면 62 : 상부가이드
63 : 나사삽입홈 64,64a,64b,64c,64d : 결합홀
65,65a : 삽입돌기
7 : 높이조절나사
8 : 너트

Claims (4)

  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호차에 있어서, 호차가 내부 일측면에 45도 각도의 사선 돌출테인 승강유도면(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에 돌출테 형상의 상,하부가이드(12,13) 및 상기 상부가이드(12)의 끝단에 고정돌턱(14)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 및,
    상기 몸체(1)의 승강유도면(11) 및 상부가이드(12)와 연장 사용하는 45도 각도의 사선 돌출테인 승강유도면(61) 및 돌출테 형상의 상부가이드(62)가 형성되어 있는 카바(6);
    전면에 상기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는 45도 각도의 사선 형태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형성되어,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아 로울러(4)를 내재한 상태로 상,하로 높이 이동이 되는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로 구성된 승강구(2);
    본체(31)의 전면에 상기 승강구(2)가 연결 및 그 상부에 상기 고정돌턱(14)에 의하여, 본체(31)가 일정거리 이동후,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턱형상의 이동제한턱(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의 나사체결홀(36)에 높이조절나사(7) 및 너트(8)가 체결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7)에 의하여 상기 몸체 및 카바의 가이드(12,13,62)를 따라 전,후진 및 상기 승강구(2)의 높이 이동시 지지를 하여주는 승강지지부(3);
    상기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의 "반 U자형"의 스프링삽입홀(24,24a) 및 승강지지부(3) 내부의 "U자형"의 스프링삽입홀(34)에 내재되어, 상기 승강구(2)의 높이이동시 신축역활을 하여주는 스프링(5); 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7)를 조절시, 승강지지부(3)가 상기 가이드(12,13,62)를 따라 전,후진을 하여 승강지지부(3)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구(2)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이 상기 승강유도면(11,61)에 맞닿은 상태에서,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높이이동을 하여, 호차의 높낮이 조절을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호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2)의 상,하 이동시 스프링(5)이 지지 및 신축역활을 할수 있도록, 스프링(5)의 상부(51)가 상기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의 스프링삽입홀(24,24a)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면인 스프링 상부고정면(25,
    25a)에 고정 및 스프링(5)의 하부(52)가 승강지지부(3)의 스프링 삽입홀(34)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면인 스프링하부 고정면(35)에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호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2)와 승강지지부(3)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의 후면에 레일(23,23a) 및 삽입요홈(23b,23c)을 각기 형성 및 승강지지부(3)의 전면에 상기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의 레일(23,23a) 및 삽입요홈(23b,23c)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레일(33,33a) 및 삽입요홈(33b,33c)을 형성하여, 상기 레일(23,23a)이 승강지지부(3)의 삽입요홈(33b,33c)에 삽입 및 승강지지부(3)의 레일(33,33a)이 상기 삽입요홈(23b,23c)에 삽입되어, 승강구(2) 및 승강지지부(3)가 연결되어 승강구(2)가 승강지지부(3)를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호차.
  4. 상기 몸체(1) 및 카바(6)에 형성되어 있는 45도 각도의 승강유도면(11,61)과 하부 및 상부승강구(21,22)의 45도 각도의 하부 및 상부승강면(26,27)의 각도를, 5도 내지 175도 각도 범위내로 형성하여, 대응되어 서로 맞닿는 구조로 구성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호차.
KR20-2005-0003002U 2005-02-01 2005-02-01 높낮이 조절 호차 KR200383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02U KR200383175Y1 (ko) 2005-02-01 2005-02-01 높낮이 조절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02U KR200383175Y1 (ko) 2005-02-01 2005-02-01 높낮이 조절 호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940A Division KR100589631B1 (ko) 2005-02-01 2005-02-01 높낮이 조절 호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175Y1 true KR200383175Y1 (ko) 2005-05-03

Family

ID=4368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002U KR200383175Y1 (ko) 2005-02-01 2005-02-01 높낮이 조절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1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631B1 (ko) 높낮이 조절 호차
EP2195502B1 (en) A carriage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DK2476829T3 (en) Raising sliding structure, in particular raising sliding door or raising sliding window
RU2662696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как минимум, подъёмной, а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 также и пере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US20100248603A1 (en) Retrofit Fume Hood Drive Assembly
KR200383175Y1 (ko) 높낮이 조절 호차
KR100808885B1 (ko)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RU2225491C2 (ru) Окно или дверь
KR101654051B1 (ko)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200433623Y1 (ko)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US20070289219A1 (en) Sash Lift Mechanism
KR20020066592A (ko) 일자형 미세기 창호
US20230086262A1 (en) Sliding door with braking system
KR200362929Y1 (ko) 높낮이조절 호차
CA2597181C (en) A panel structure equipped with a seal, and a panel system
JP4625345B2 (ja) 吊り戸装置における密閉機構
KR1008280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KR200376931Y1 (ko) 호차
KR200371515Y1 (ko) 호차
KR10239886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경첩구조
KR100728567B1 (ko) 호차
KR200376932Y1 (ko) 호차
KR200362930Y1 (ko) 높낮이조절 호차
KR20090008008U (ko) 창호 설치용 처짐방지구
KR102553622B1 (ko)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