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702Y1 -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 Google Patents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702Y1
KR200382702Y1 KR20-2005-0002673U KR20050002673U KR200382702Y1 KR 200382702 Y1 KR200382702 Y1 KR 200382702Y1 KR 20050002673 U KR20050002673 U KR 20050002673U KR 200382702 Y1 KR200382702 Y1 KR 200382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riving
driver
drunk
drunk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영
Original Assignee
박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영 filed Critical 박희영
Priority to KR20-2005-0002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7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6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sliding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3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pivotab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부(10)의 일측으로 유도홈(21)이 형성된 열쇠(20)가 결합 고정된 것에 있어서;
손잡이부(10)는 함체 형상을 갖고 몸체 내부로 알코올 측정기(30)와 구동수단(40)이 내장되도록 하며, 알코올 측정기(30)의 신호에 의해 구동수단(40)을 작동시켜 유도홈(21)을 따라 잠금핀(41)이 전후 이동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자동차 열쇠를 휴대하고 다니는 운전자가 자신의 알코올 수치를 바로 측정하여 음주 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 음주 운전을 예방하게 되고, 음주 상태의 운전자가 측정을 거부하고 시동키를 키박스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주운전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알코올 수치가 적정수치 이하에서만 시동키의 결합이 가능해 음주운전에 의한 각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Starting Key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본 고안은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열쇠의 손잡이부에 운전자의 알콜지수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기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는 열쇠의 유도홈 상에 위치된 잠금핀을 고정시켜 시동키가 키 박스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해 음주 운전이 불가능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주운전은 운전자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도 피해를 일으키게 되어 강력한 법 기준으로 이를 제재하고 있으나, 많은 운전자가 이를 위반하고 음주운전을 하게 되어 교통순경들이 도로 곳곳에서 음주 측정기를 이용해 음주측정 및 단속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하는 이유로는 자신이 술을 마셨을 경우, 자기가 마신 음주량이 운전을 할 수 있을 정도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으므로, 본인의 기분에 의해 무리하게 차량을 운행하다가 교통법규를 위반함은 물론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음주운전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각 유흥음식점에서는 음주 후 자신의 음주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음주 측정기를 비치하여 유흥음식점을 나서기 전 자신의 음주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도 음주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석 상측에 음주 여부를 측정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일정량 이상의 알콜 농도가 감지되면 시동을 제한하여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차량 내부의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을 위해 운전석에 앉아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음주 측정 감지센서가 운전자의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측정하여 음주여부와 알콜농도를 판단하게 하여 스타트 모터를 제어하게 된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의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운전자가 음주를 측정하기 위해 호흡기를 감지센서에 밀착해서 측정하여야 하나, 운전자가 음주 후에는 측정을 회피하여 시동을 걸게 되므로 음주운전을 예방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음주 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유흥 음식점에 설치된 음주 측정기도 하나의
측정기에 여러 사람이 모두 사용해 위생상 매우 불결하므로, 측정을 거부하는 사람도 발생하였으며, 음주 측정을 하여 알콜 농도가 일정수치 이상이어도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시키는데 아무런 제재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시동키의 손잡이부로 알코올 측정기를 내장시켜 운전자에게서 일정수치 이상의 알코올이 측정되면, 손잡이부에서 돌출된 잠금핀이 복귀되지 않아 시동키가 키박스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에 열쇠가 삽입되어 원터치방식으로 돌출 고정되는 방식의 시동키에서도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측정하여 잠금핀이, 상기 열쇠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음주운전에 의한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부(10)의 일측으로 유도홈(21)이 형성된 열쇠(20)가 결합 고정된 것에 있어서;
손잡이부(10)는 함체 형상을 갖고 몸체 내부로 알코올 측정기(30)와 구동수단(40)이 내장되도록 하며, 알코올 측정기(30)의 신호에 의해 구동수단(40)을 작동시켜 유도홈(21)을 따라 잠금핀(41)이 전후 이동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자동차 열쇠를 휴대하고 다니는 운전자가 자신의 알코올 수치를 바로 측정하여 음주 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 음주 운전을 예방하게 되고, 음주 상태의 운전자가 측정을 거부하고 시동키를 키박스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주운전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알코올 수치가 적정수치 이하에서만 시동키의 결합이 가능해 음주운전에 의한 각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의 구성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의 내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의 실시 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100)는 통상적으로 유도홈(21)이 형성된 열쇠(20)가 일측으로 손잡이부(10)에 결합 고정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10)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함체 형상을 갖고 있도록 형성하며, 몸체 내부로 알코올 측정기(30)와 구동수단(40) 및 몸체 외면으로 표시수단(50)이 설치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손잡이부(10)내에 설치되는 알코올 측정기(30)는 도 3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날숨을 불어넣을 수 있는 흡입부(31)와 흡입된 날숨에서 알코올 수치를 검사하는 판독센서(32)로 이루어지며, 판독센서(32)에서 체크된 수치가 손잡이부(10)의 외면에 고정설치된 표시수단(50)에 표현되어 운전자가 자기의 음주수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판독센서(32)에는 음주운전의 기준치가 내장되어 있어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검토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구동수단(40)을 작동시키지 않아 열쇠(20)의 유도홈(21)상에 잠금핀(41)이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음주상태에서 시동키(100)를 키박스에 결합시킬 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운전자의 알코올 수치가 기준치 이하이면 판독센서(32)가 구동수단(40)을 작동시켜 잠금핀(41)이 유도홈(21)상에서 손잡이부(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열쇠(20)가 키박스에 온전히 결합되어, 차량의 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구동수단(40)은 소형의 실린더와 같이 단순히 잠금핀(41)을 전, 후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사용되는 것이 생산 및 제작단가에 바람직하다.
또 도 4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0)의 함체 내측에 열쇠(20)가 수납된 상태에서 알코올 측정기(30)의 제어에 의해 일측에서, 상기 열쇠(20)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 잠금핀(41)을 개방시켜 내측에 위치된 열쇠(20)를 외부로 인출하여 키박스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열쇠(20)가 손잡이부(10)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는 시동키(100)에, 알코올 측정기(30)의 신호에 따라 구동수단(40)이 잠금핀(41)을 이동시켜 내부에 수납된 열쇠(20)가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는 자동차의 도어나 시동을 걸 수 없도록 하여 음주운전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이나 탑승을 위해서는 다시 시동키(100)의 흡입부(31)로 날숨을 불어넣어 판독센서(32)가 운전자의 알코올 수치를 확인하여야만 구동수단(40)을 작동시킬 수 있어 음주운전에 의한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자동차 열쇠를 휴대하고 다니는 운전자가 자신의 알코올 수치를 바로 측정하여 음주 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 음주 운전을 예방하게 되고, 음주 상태의 운전자가 측정을 거부하고 시동키를 키박스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주운전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운전자가 알코올 수치가 적정수치 이하에서만 시동키의 결합이 가능해 음주운전에 의한 각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인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부 20 - 열쇠
21 - 유도홈 30 - 알코올 측정기
31 - 흡입부 32 - 판독센서
40 - 구동수단 41 - 잠금핀
50 - 표시수단 100 - 시동키

Claims (2)

  1. 손잡이부(10)의 일측으로 유도홈(21)이 형성된 열쇠(20)가 결합 고정된 것에 있어서;
    손잡이부(10)는 함체 형상을 갖고 몸체 내부로 알코올 측정기(30)와 구동수단(40)이 내장되도록 하며, 알코올 측정기(30)의 신호에 의해 구동수단(40)을 작동시켜 유도홈(21)을 따라 잠금핀(41)이 전후 이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손잡이부(10)의 함체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열쇠(20)가 손잡이부(10)와 힌지 결합되며, 알코올 측정기(30)의 신호에 따라 구동수단(40)이 잠금핀(41)을 이동시켜 열쇠(20)가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KR20-2005-0002673U 2005-01-28 2005-01-28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KR200382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673U KR200382702Y1 (ko) 2005-01-28 2005-01-28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673U KR200382702Y1 (ko) 2005-01-28 2005-01-28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702Y1 true KR200382702Y1 (ko) 2005-04-22

Family

ID=4368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673U KR200382702Y1 (ko) 2005-01-28 2005-01-28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7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452A (ko) 2020-01-14 2021-07-2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주운전 방지 제어 방법 및 음주운전 방지 제어 시스템
KR102658201B1 (ko) 2023-09-25 2024-04-18 (주)핫셀러 차량키 잠금식 음주운전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452A (ko) 2020-01-14 2021-07-2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주운전 방지 제어 방법 및 음주운전 방지 제어 시스템
KR102658201B1 (ko) 2023-09-25 2024-04-18 (주)핫셀러 차량키 잠금식 음주운전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0027B2 (en) Preventive and persuasive actions against drunk driving
US7190255B2 (en) Anti-theft device in motorcycle
US8648728B2 (en) Motion sensitive interlock for a vehicle having a breath analyzer
JP4097132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盗難防止装置
EP1539521A1 (en) Motor vehicle equipped with a deception-proof safety control system
JP4006715B1 (ja) 飲酒運転防止装置
KR20160114420A (ko)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KR102036838B1 (ko)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시동제어 시스템
US1139811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CA2441735A1 (en) Anti-theft device in motorcycle
KR200382702Y1 (ko) 음주운전 방지용 시동키
CN107139722A (zh) 车载安全驾驶自动控制系统
KR100816249B1 (ko) 음주시동 방지장치
CN101125530A (zh) 一种车辆酒精检测的方法和系统
JP2008265507A (ja) 飲酒状態推定装置、飲酒情報収集システム、飲酒状態推定システム、飲酒状態推定装置の酒気状態推定方法
JP3886044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盗難防止装置
JP5045573B2 (ja) 飲酒運転防止装置
KR200232934Y1 (ko) 알콜지수에 따른 잠금해제수단이 장착된 자동차용 열쇠
JP2770489B2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状況表示装置
KR20210102704A (ko)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CN201082677Y (zh) 一种车辆酒精检测装置
KR20210025158A (ko) 자동차 안전 시동 장치
AU2021104572A4 (en) An Ignition Interlock Device and Car Seat Alarm
KR102658201B1 (ko) 차량키 잠금식 음주운전 방지 장치
GB2418488A (en) Breathaly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