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568Y1 -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 Google Patents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568Y1
KR200382568Y1 KR20-2005-0001072U KR20050001072U KR200382568Y1 KR 200382568 Y1 KR200382568 Y1 KR 200382568Y1 KR 20050001072 U KR20050001072 U KR 20050001072U KR 200382568 Y1 KR200382568 Y1 KR 200382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block
formwork
pill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20-2005-0001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다수의 철근이 결합되고 그 좌우방향 양단에 제1걸림부(14)가 형성되는 한편 그 상하방향 양단에 제2걸림부(16, 16')가 형성된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을 구비하여, 상기 제1걸림부(14)에 의해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걸림부(16, 1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이 서로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에 의해 일체로 기둥이 형성되므로,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고 별도로 거푸집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거푸집과 일체로 기둥을 시공함으로써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form for constructing a pillar}
본 고안은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건축 및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기둥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으로 시공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철재나 목재로 통 형상의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통 형상의 거푸집 내부에 철근 및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시공된다.
상기 기둥은 대체적으로 그 내부에 철심이 내장되어 철근 콘크리트로 가득 찬 중실 단면의 기둥으로 되어 있는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65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중심에 강관이 삽입된 중공단면의 기둥으로 시공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거푸집을 설치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기둥을 완성하므로, 기둥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재료비가 많이 들고 거푸집의 설치 및 제거로 인해 시공기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고 별도로 거푸집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거푸집과 일체로 기둥을 시공함으로써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줄이는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은, 그 내부에 다수의 철근이 결합되고 그 좌우방향 양단에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 상하방향 양단에 제2걸림부가 형성된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을 구비하여, 상기 제1걸림부에 의해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걸림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에 의해 일체로 기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좌우방향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좌우방향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어 있다.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내면에는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의 접합력을 높이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기둥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거푸집(10)의 내부에 철근(S) 및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함에 의해 일체로 기둥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식 거푸집(10)은 다수의 철근 콘트리트 블록판(12, 12')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도면에서는 사각통)을 이루게 되는데, 기둥이 시공될 때에는 블록판(1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공지의 밴드 결착기에 위해 밴드(B)가 조립식 거푸집의 외면을 따라 결착되고, 그 내부에 타설된 철근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밴드(B)는 제거된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은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조립된다.
도2 및 도3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일부)이고, 도4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거푸집(10)은 두쌍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이 조립되어 사각통형상을 이루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데, 그 좌우방향 양단에는 걸림홈으로 된 제1걸림부(14)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끼워지고, 그 상하방향 양단에는 걸림홈으로 된 제2걸림부(16, 16')가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끼워져 적층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1걸림부(14)와 상기 제2걸림부(16, 16')는 2단의 계단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는 콘크리트(18)의 내부에 다수의 철근(20)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엮어져 구비되어 강성을 높이게 되어 있다. 상기 철근(20)은 봉이나 판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의 내면에는 요철부(22)가 형성되어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의 접합력을 높이게 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22)는 돌기형태로 되어 있으나, 홈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110)은 두쌍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12, 112')이 조립되어 사각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1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1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1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12, 112')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상기 걸림홈(114a)은 입구가 좁고 내부가 넓은 홈형태로서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114b)는 상기 걸림홈(114a)의 넓은 부분에 끼워지는 머리부와 상기 걸림홈(114a)의 좁은 부분에 끼워지는 목부를 가진 형태로서, 상기 걸림홈(114a)과 걸림돌기(114b)가 결합되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구속되므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별도의 밴드(B)가 불필요하므로 시공하기가 간편하다.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12, 112')의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도2)와 동일하다.
도6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210)은 ㄱ 형으로 된 한쌍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212, 212)이 조립되어 사각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2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2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2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212, 212)이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요철부(22')는 홈형태로 되어 있으나, 돌기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214a) 및 걸림돌기(214b)의 형태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도5)와 동일하다.
도7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310)은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312)이 조립되어 육각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3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3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3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312, 312)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상기 걸림홈(314a) 및 걸림돌기(314b)의 형태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도5)와 동일하다.
도8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410)은 원호형으로 된 다수(3개)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412)이 조립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4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4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4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412)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요철부(22")는 홈형태로 되어 있으나, 돌기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414a) 및 걸림돌기(414b)의 형태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도5)와 동일하다.
도9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510)은 반원형으로 된 2개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512)이 조립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5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5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5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512)이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요철부(22"')는 돌기형태로 되어 있으나, 홈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514a) 및 걸림돌기(514b)의 형태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도5)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10, 110, 210, 310, 410, 510)은,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 112, 112', 212, 312, 412, 512)이, 2단턱으로 된 걸림부(14)에 의해 끼워져 밴드(B)로 결착되어 조립되거나, 걸림홈(114a, 214a, 314a, 414a, 514a) 및 걸림돌기(114b, 214b, 314b, 414b, 514b)로 된 걸림부에 의해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폐쇄형 통이 형성되고, 이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기둥의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에 의하면,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고 별도로 거푸집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거푸집과 일체로 기둥을 시공함으로써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기둥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일부),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식 거푸집 12, 12' :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
14 : 제1걸림부 16, 16' : 제2걸림부
18 : 콘크리트 20 : 철근
22, 22', 22", 22"' : 요철부

Claims (3)

  1. 그 내부에 다수의 철근이 결합되고 그 좌우방향 양단에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 상하방향 양단에 제2걸림부가 형성된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을 구비하여, 상기 제1걸림부에 의해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걸림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에 의해 일체로 기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좌우방향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좌우방향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내면에는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의 접합력을 높이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20-2005-0001072U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200382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072U KR200382568Y1 (ko)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072U KR200382568Y1 (ko)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228A Division KR100662018B1 (ko)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568Y1 true KR200382568Y1 (ko) 2005-04-22

Family

ID=4368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072U KR200382568Y1 (ko)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56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52Y1 (ko) * 2008-09-18 2011-07-06 이재수 건축물용 기둥체
KR101167067B1 (ko) * 2009-10-28 2012-07-27 한성피씨건설 주식회사 확장형 베이스플레이트가 부착된 pc기둥을 이용한 기초두께 저감 공법 및 그 기둥
KR101476665B1 (ko) * 2012-11-23 2015-01-06 주식회사 예스스틸 단열재와 거푸집이 일체화된 건설공사용 양면단열 거푸집
KR20190117889A (ko) * 2018-04-09 2019-10-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체결유닛이 적용된 미분리형 블록 프리캐스트 거푸집 조립체
CN111827674A (zh) * 2020-07-30 2020-10-27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桥梁柱墩模板加固装置
CN117536428A (zh) * 2024-01-10 2024-02-09 陕西航投安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易于拆装的铝合金模板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52Y1 (ko) * 2008-09-18 2011-07-06 이재수 건축물용 기둥체
KR101167067B1 (ko) * 2009-10-28 2012-07-27 한성피씨건설 주식회사 확장형 베이스플레이트가 부착된 pc기둥을 이용한 기초두께 저감 공법 및 그 기둥
KR101476665B1 (ko) * 2012-11-23 2015-01-06 주식회사 예스스틸 단열재와 거푸집이 일체화된 건설공사용 양면단열 거푸집
KR20190117889A (ko) * 2018-04-09 2019-10-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체결유닛이 적용된 미분리형 블록 프리캐스트 거푸집 조립체
KR102102522B1 (ko) * 2018-04-09 2020-04-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체결유닛이 적용된 미분리형 블록 프리캐스트 거푸집 조립체
CN111827674A (zh) * 2020-07-30 2020-10-27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桥梁柱墩模板加固装置
CN111827674B (zh) * 2020-07-30 2022-02-22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桥梁柱墩模板加固装置
CN117536428A (zh) * 2024-01-10 2024-02-09 陕西航投安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易于拆装的铝合金模板
CN117536428B (zh) * 2024-01-10 2024-04-02 陕西航投安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易于拆装的铝合金模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275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하여 내부에 t형 돌기를 갖는 기둥 영구거푸집
KR101584008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KR200382568Y1 (ko)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101267807B1 (ko)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0948358B1 (ko)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62018B1 (ko)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101478131B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KR100991046B1 (ko)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KR20170074293A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CN105649321B (zh) 一种剪力墙模板的拼装系统及其拼装方法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CN113898102A (zh) 一种带肋混凝土叠合板
KR101370930B1 (ko) 구조물용 휨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2985A (ko) 커플러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20140006226A (ko) 선형 보강재에 의해 복수개가 연결된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101457080B1 (ko)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KR10134482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트 빔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KR10106475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KR101538757B1 (ko) Psc 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7125573B2 (ja) 高強度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れを利用して組積した壁体とその組積方法
KR20190062806A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JP2009281141A (ja) 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ユニット、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及び中空床版橋梁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