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018B1 -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 Google Patents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018B1
KR100662018B1 KR1020050003228A KR20050003228A KR100662018B1 KR 100662018 B1 KR100662018 B1 KR 100662018B1 KR 1020050003228 A KR1020050003228 A KR 1020050003228A KR 20050003228 A KR20050003228 A KR 20050003228A KR 100662018 B1 KR100662018 B1 KR 10066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block
formwork
present
block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644A (ko
Inventor
유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05000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0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다수의 철근이 결합되고 그 좌우방향 양단에 제1걸림부(14)가 형성되는 한편 그 상하방향 양단에 제2걸림부(16, 16')가 형성된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을 구비하여, 상기 제1걸림부(14)에 의해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걸림부(16, 1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이 서로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에 의해 일체로 기둥이 형성되므로,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고 별도로 거푸집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거푸집과 일체로 기둥을 시공함으로써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form for constructing a pillar}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둥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일부),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식 거푸집 12, 12' :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
14 : 제1걸림부 16, 16' : 제2걸림부
18 : 콘크리트 20 : 철근
22, 22', 22", 22"' : 요철부
본 발명은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건축 및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기둥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으로 시공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철재나 목재로 통 형상의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통 형상의 거푸집 내부에 철근 및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시공된다.
상기 기둥은 대체적으로 그 내부에 철심이 내장되어 철근 콘크리트로 가득 찬 중실 단면의 기둥으로 되어 있는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65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중심에 강관이 삽입된 중공단면의 기둥으로 시공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거푸집을 설치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기둥을 완성하므로, 기둥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재료비가 많이 들고 거푸집의 설치 및 제거로 인해 시공기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고 별도로 거푸집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거푸집과 일체로 기둥을 시공함으로써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줄이는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은, 그 내부에 다수의 철근이 결합되고 그 좌우방향 양단에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 상하방향 양단에 제2걸림부가 형성된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을 구비하여, 상기 제1걸림부에 의해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걸림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에 의해 일체로 기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좌우방향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좌우방향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어 있다.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내면에는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의 접합력을 높이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둥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거푸집(10)의 내부에 철근(S) 및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함에 의해 일체로 기둥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식 거푸집(10)은 다수의 철근 콘트리트 블록판(12, 12')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도면에서는 사각통)을 이루게 되는데, 기둥이 시공될 때에는 블록판(1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공지의 밴드 결착기에 위해 밴드(B)가 조립식 거푸집의 외면을 따라 결착되고, 그 내부에 타설된 철근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밴드(B)는 제거된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은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조립된다.
도2 및 도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일부)이고, 도4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거푸집(10)은 두쌍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이 조립되어 사각통형상을 이루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데, 그 좌우방향 양단에는 걸림홈으로 된 제1걸림부(14)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끼워지고, 그 상하방향 양단에는 걸림홈으로 된 제2걸림부(16, 16')가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끼워져 적층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1걸림부(14)와 상기 제2걸림부(16, 16')는 2단의 계단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는 콘크리트(18)의 내부에 다수의 철근(20)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엮어져 구비되어 강성을 높이게 되어 있다. 상기 철 근(20)은 봉이나 판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의 내면에는 요철부(22)가 형성되어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의 접합력을 높이게 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22)는 돌기형태로 되어 있으나, 홈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110)은 두쌍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12, 112')이 조립되어 사각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1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1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1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12, 112')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상기 걸림홈(114a)은 입구가 좁고 내부가 넓은 홈형태로서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114b)는 상기 걸림홈(114a)의 넓은 부분에 끼워지는 머리부와 상기 걸림홈(114a)의 좁은 부분에 끼워지는 목부를 가진 형태로서, 상기 걸림홈(114a)과 걸림돌기(114b)가 결합되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구속되므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별도의 밴드(B)가 불필요하므로 시공하기가 간편하다.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12, 112')의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도2)와 동일하다.
도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210)은 ㄱ 형으로 된 한쌍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212, 212)이 조립되어 사각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2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2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2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212, 212)이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요철부(22')는 홈형태로 되어 있으나, 돌기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214a) 및 걸림돌기(214b)의 형태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도5)와 동일하다.
도7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310)은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312)이 조립되어 육각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3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3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3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312, 312)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상기 걸림홈(314a) 및 걸림돌기(314b)의 형태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도5)와 동일하다.
도8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410)은 원호형으로 된 다수(3개)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412)이 조립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4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4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4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412)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요철부(22") 는 홈형태로 되어 있으나, 돌기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414a) 및 걸림돌기(414b)의 형태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도5)와 동일하다.
도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식 거푸집(510)은 반원형으로 된 2개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512)이 조립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되, 좌우방향 일단에는 걸림홈(514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514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514b)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512)이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요철부(22"')는 돌기형태로 되어 있으나, 홈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514a) 및 걸림돌기(514b)의 형태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도5)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10, 110, 210, 310, 410, 510)은,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12, 12', 112, 112', 212, 312, 412, 512)이, 2단턱으로 된 걸림부(14)에 의해 끼워져 밴드(B)로 결착되어 조립되거나, 걸림홈(114a, 214a, 314a, 414a, 514a) 및 걸림돌기(114b, 214b, 314b, 414b, 514b)로 된 걸림부에 의해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폐쇄형 통이 형성되고, 이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기둥의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에 의하면,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고 별도로 거푸집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거푸집과 일체로 기둥을 시공함으로써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그 내부에 다수의 철근이 결합되고 그 좌우방향 양단에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 상하방향 양단에 제2걸림부가 형성된 다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을 구비하여, 상기 제1걸림부에 의해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걸림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서로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에 의해 일체로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좌우방향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좌우방향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이 교대로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블록판의 내면에는 상기 폐쇄형 통의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의 접합력을 높이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1020050003228A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10066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28A KR100662018B1 (ko)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28A KR100662018B1 (ko)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072U Division KR200382568Y1 (ko)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44A KR20060082644A (ko) 2006-07-19
KR100662018B1 true KR100662018B1 (ko) 2006-12-28

Family

ID=3717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228A KR100662018B1 (ko) 2005-01-13 2005-01-13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383A (zh) * 2019-04-19 2019-07-30 侯乾隆 一种建筑施工梁柱混凝土浇筑密实型组合式模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62B1 (ko) * 2012-07-02 2014-05-15 박해영 콘크리트포장도로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CN107268893B (zh) * 2017-05-24 2023-04-21 山东英特力新材料有限公司 一种拼接式预应力碳纤维板承重柱
KR102153283B1 (ko) * 2020-04-20 2020-09-08 김서중 몰탈충진용 조립식 몰드패널
CN114427188A (zh) * 2022-01-18 2022-05-03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采用节段预制壳体的墩柱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383A (zh) * 2019-04-19 2019-07-30 侯乾隆 一种建筑施工梁柱混凝土浇筑密实型组合式模板
CN110067383B (zh) * 2019-04-19 2021-03-30 侯乾隆 一种建筑施工梁柱混凝土浇筑密实型组合式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44A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08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KR101752275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하여 내부에 t형 돌기를 갖는 기둥 영구거푸집
KR200382568Y1 (ko)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100662018B1 (ko)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0991046B1 (ko)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KR20140109587A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CN105649321B (zh) 一种剪力墙模板的拼装系统及其拼装方法
KR101370930B1 (ko) 구조물용 휨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662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JP2008214959A (ja) 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ユニット、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及び中空床版橋梁の施工方法
KR20160142985A (ko) 커플러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20140006226A (ko) 선형 보강재에 의해 복수개가 연결된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KR20120094886A (ko) 조립식 옹벽블록
KR10134482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트 빔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KR20120028198A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106475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KR101538757B1 (ko) Psc 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JP7125573B2 (ja) 高強度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れを利用して組積した壁体とその組積方法
JP2009281141A (ja) 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ユニット、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及び中空床版橋梁の施工方法
KR101650856B1 (ko) 상단에 슬래브 블록이 일체로 구성되는 i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190062806A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CN215978081U (zh) 一种钢筋混凝土的钢筋垫块
CN112900235B (zh) 装配式支撑栈桥及充填芯骨混凝土撑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