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119Y1 -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119Y1
KR200382119Y1 KR20-2005-0002069U KR20050002069U KR200382119Y1 KR 200382119 Y1 KR200382119 Y1 KR 200382119Y1 KR 20050002069 U KR20050002069 U KR 20050002069U KR 200382119 Y1 KR200382119 Y1 KR 200382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loom
repi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대
Original Assignee
신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대 filed Critical 신상대
Priority to KR20-2005-0002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5Drive mechanisms
    • D03D47/276Details or arrangement of sprocket whee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기의 측면프레임(1)에 설치되어 크랭크축(4)과 기어트레인(G1)(G2)(G3)에 의해 연계 작동되는 바디축(5) 및 롤러축(6)등이 구비되는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에 관련된다. 구성에 있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상기 바디축(5)에 베어링(B)이 개재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4)에 레버(14)로 링크되어 왕복운동하는 부채꼴기어(10);와, 상기 부채꼴기어(10)에 치합되는 피동기어(22)를 기어트레인(G2)과 동축상에 축설하되, 베벨기어(24)를 통하여 구동축(26)과 이송기어(28)를 회동시켜 레피어(R)를 왕복이송시키는 레피어구동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기존에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최소한의 비용투자로 구조를 개선하여 레피어직기방식으로 고급원단을 직조함에 따라 신형직기의 재구입과 설비투자에 따른 비용손실을 최소화하여 시장경쟁력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The rotary equipment using rapier loom}
본 고안은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최소한의 비용투자로 구조를 개선하여 레피어직기방식으로 고급원단을 직조함에 따라 직기의 재구입과 설비투자에 따른 비용절감으로 시장경쟁력을 제고하는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직기는 직물의 폭에 해당하는 올수만큼의 경사(經絲)가 감긴 빔으로부터 나란히 송출되는 경사는 종광(綜:잉아)의 눈에 올올이 끼워지고, 이들 경사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2군 이상으로 나누어 각각 위와 아래로 벌어져 개구(開口)를 형성하면 개구 속으로 위사(緯絲)가 가로질러 모든 경사의 위아래로 교차하여 위입(緯入)이 일어나며, 이 위사를 바디(reed)로 쳐서 이미 짜여진 천의 끝에 밀착시킴으로써 비로소 경사와 위사의 조직이 완성된 원단이 직조된다.
이처럼 직기는 경사ㅇ위사 2계열의 실을 사용하여 개구ㅇ위입ㅇ바디질 등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경사방향으로 연속된 직사각형의 직물이 짜여지고, 위사를 개구 안으로 위입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직기로 분류되는 바, 국내의 섬유산업 부흥기에는 분수(噴水)가 노즐을 통하여 분출되는 동안 위사가 이 유속(流速)에 의하여 잡아 끌려서 개구 속으로 위입시키는 방식의 워터제트(water jet)직기가 초창기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종래에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는 직기의 측면 프레임(1)에 축설되어 모터(M)와 연동되는 크랭크축(4)과, 크랭크축(4)에 설치되는 크랭크레버(4a)와 크랭크로드(4b)를 통하여 회동하는 바디축(5)과, 크랭크축(4)에 기어트레인(G1)(G2)(G3)으로 치합으로 구동되는 롤러(6)등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작동에 있어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크랭크축(4)이 크랭크레버(4a)와 크랭크로드(4b)를 통하여 바디축(5)이 소정의 폭만큼 좌우방향으로 반복회동되어 별도의 장치에 의해 2군 이상으로 나누어지는 경사사이로 위입된 위사를 바디로 쳐서 밀착시킴과 함께 크랭크축(4)에 기어트레인(G1)(G2)(G3)으로 치합되어 구동되는 롤러(6)를 통하여 경사 또는 원단이 이송된다.
하지만, 상기에 전술한 워터젯트직기는 노즐(도시생략)을 통하여 분출되는 분수와 함께 위사가 위입되므로 필연적으로 원단이 젖은 상태로 직조되어 품질이 저하됨은 물론 주로 나일론, 우연사 등의 단섬유 직물을 전용으로 직조되어 생산성저하와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밖에 없으므로 기능적이고 고급원단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사양길로 접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는 레피어직기를 도입하여 보다 기능적이고, 고품질의 원단 즉, 신축성 스판덱스, 펜시사, 등과 같은 신합섬용 장섬유를 직조하고 있으나, 대부분 섬유업계들은 설비투자에 따른 비용부담을 극복하지 못하고 생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는 폐단이 따른다.
한편, 국내수출산업의 주력이던 섬유공업을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및 동남아시아 등에 견주어 품질은 물론 가격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섬유업계의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설비투자를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기존에 워터젯트직기를 구조개선하여 재활용하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최소한의 비용투자로 구조를 개선하여 레피어직기방식으로 고급원단을 직조함에 따라 직기의 재구입과 설비투자에 따른 비용절감으로 시장경쟁력을 제고하는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직기의 측면프레임(1)에 설치되어 크랭크축(4)과 기어트레인(G1)(G2)(G3)에 의해 연계 작동되는 바디축(5) 및 롤러축(6)등이 구비되는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축(5)에 베어링(B)이 개재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4)에 레버(14)로 링크되어 왕복운동하는 부채꼴기어(10);와, 상기 부채꼴기어(10)에 치합되는 피동기어(22)를 기어트레인(G2)과 동축상에 축설하되, 베벨기어(24)를 통하여 구동축(26)과 이송기어(28)를 회동시켜 레피어(R)를 왕복이송시키는 레피어구동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의 내면 즉, 직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축(4)상에 이중캠판(30)이 장착됨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4)과 대향하는 바디축(5)상에 한 쌍의 로드바(32)를 설치하여 서로 맞물려 캠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워터젯트직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직기의 측면프레임(1)에 설치되어 크랭크축(4)과 기어트레인(G1)(G2)(G3)에 의해 연계 작동되는 바디축(5) 및 롤러축(6)등이 구비되는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구동장치는 바디축(5)에 설치되는 크랭크축(4)에 레버(14)로 링크되는 부채꼴기어(10)와, 부채꼴기어(10)에 치합되는 피동기어(22)와 함께 베벨기어(24), 구동축(26), 이송기어(28)를 회동시켜 레피어(R)를 왕복이송시키는 레피어구동수단(20)과, 크랭크축(4)을 통해 바디축(5)을 왕복 회동시키는 이중캠판(30)과 로드바(32) 등을 주요구성으로 하는 바, 이러한 구성은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최소한의 비용투자와 기존의 부품을 최대한 활용하여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레피어직기방식으로 고급원단이 직조되는 이른바, 워터젯트직기를 레피어직기로 개량한 구동장치의 구성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부채꼴기어(10)는 바디축(5)에 베어링(B)이 개재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4)에 레버(14)로 링크되어 왕복운동한다. 부채꼴기어(10)는 원주면에 일정한 소정의 폭만큼의 기어이빨(10a)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피동기어(22)와 치합하되, 그 원주면의 센터위치에 힌지공(10b)이 형성되어 베어링(B)이 개재된 상태로 바디축(5)에 설치되므로 부채꼴기어(10)의 회동이 바디축(5)과 별개로 자유롭게 회동된다. 부채꼴기어(10)는 크랭크축(4)과 인접하는 일측에 체결공(10c)이 관통됨과 함께 레버(14)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레버(14)의 타단은 크랭크축(4)상에 베어링(도시생략)과 함께 장착된다. 레버(12)는 크랭크축(4)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부채꼴기어(10)를 소정의 폭만큼 왕복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최대한 좁은 폭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축(4)은 직기의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M)와 벨트, 체인, 기어 등의 동력전달수단(V)에 의해 연동되는 바, 이러한 크랭크축(4)의 회동구성은 종래의 구성에 변형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적용된다.
한편, 상기 모터(M)와 연동되는 크랭크축(4)과 동축상에 설치됨과 함께 크랭크축(4)의 회동력을 롤러축(6)으로 전달하는 기어트레인(G1)(G2)(G3)의 구성은 종래에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와 그 구성이 동일하나, 다만 중앙에 설치되는 기어(G2)는 베어링(도시생략)이 개재된 상태로 개별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피어구동수단(20)은 부채꼴기어(10)에 치합되는 피동기어(22)를 기어(G2)와 동축상에 축설하되, 베벨기어(24)를 통하여 구동축(26)과 이송기어(28)를 회동시켜 레피어(R)를 왕복이송시킨다. 레피어구동수단(20)은 크랭크축(4)의 회동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바디축(5)을 중심으로 소정의 폭만큼 반복적으로 회동되는 부채꼴기어(10)의 구동력에 의해 레피어(R)를 왕복이송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레피어구동수단(20)은 부채꼴기어(10)의 기어이빨(10a)에 치합되는 피동기어(22)가 기어(G2)와 동축상에 피동축(22a)과 함께 설치되고, 피동축(22a)의 끝단에 한 쌍의 베벨기어(24)가 개재된다. 베벨기어(22)는 피동축(22a)상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26)을 연동시키는 한편, 구동축(26)은 일단에 장착되는 이송기어(28)를 통하여 레피어(R)를 연속적으로 왕복이송시키는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처럼, 상기 레피어구동수단(20)은 크랭크축(4)과 연계 작동되는 부채꼴기어(10)에 피동기어(22)가 치합된 상태로 피동축(22a)과 구동축(26)이 회동되므로 원단을 직조시 2군 이상으로 나누어지는 경사사이로 위사를 위입시키는 레피어(R)의 왕복이송력이 제공되는 바, 이때 레피어구동수단(20)의 구동력에 의해 경사사이로 위사를 위입시키는 레피아(R)의 구성은 종래의 레피어직기(도시생략)에 사용되는 공지공용의 기술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의 내면 즉, 직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축(4)상에 이중캠판(30)이 장착됨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4)과 대향하는 바디축(5)상에 한 쌍의 로드바(32)를 설치하여 서로 맞물려 캠구동된다. 바디축(5)은 직기의 내측 즉, 측면프레임(1)의 내면에 근접하게 한 쌍의 로드바(32)가 일정한 등각을 유지한 상태로 끝단에 캠롤러(32a)가 설치되고, 이때 로드바(32)는 크랭크축(4)의 연장축상에 설치되는 이중캠판(30)의 외주면에 맞물린다. 이에 크랭크축(4)이 회전시 이중캠판(30)과 로드바(32)가 서로 맞물려 시소운동과 같은 방식으로 캠구동되므로 바디축(5)이 소정의 구간을 반복회동하는 동안 회동오차는 물론 유격없이 정ㆍ역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전술한 캠구동에 의한 바디축(4)의 반복적인 회동운동은 경사사이로 위사를 위입하는 레피어(R)의 왕복이송과 위입된 위사를 밀착시키는 바디축(4)의 반복회동이 오차없이 정확하게 연계 작동됨으로 마찰에 의한 직기의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직물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레피어직기에 사용되는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모터의 회동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이 레버(12)를 직선운동시켜 부채꼴기어(10)를 소정의 폭만큼 반복적으로 정ㆍ역회전 되고, 이때 부채꼴기어(10)의 기어이빨(10a)이 피동기어(22)와 치합되어 피동축(22)과 구동축(26)이 연동됨과 동시에 구동축(26)이 이송기어(28)를 회동시켜 레피어(R)가 왕복이송됨에 따라 경사사이로 위사가 위입되는 한편, 크랭크축(4)이 회전시 이중캠판(30)과 로드바(32)가 서로 맞물려 시소운동과 같은 방식으로 캠구동되므로 바디축(5)이 소정의 구간을 회동오차는 물론 유격없이 반복적으로 회동되어 레피어(R)의 왕복이송으로 위입된 위사가 전방으로 밀착되고, 이러한 상기 작동/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원단이 직조된다.
한편,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최소한의 비용투자로 구조를 개선함은 물론 바디축(5)과 레피아(R)의 구동이 오차없이 정확하게 연계작동되어 직기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고품질의 원단이 직조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기존에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최소한의 비용투자로 구조를 개선하여 레피어직기방식으로 고급원단을 직조함에 따라 직기의 재구입과 설비투자에 따른 비용절감으로 시장경쟁력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워터젯트직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부채꼴기어 14: 레버
20: 레피어구동수단 22: 피동기어
24: 베벨기어 26: 구동축
28: 이송기어 30: 이중캠판
32: 로드바

Claims (2)

  1. 직기의 측면프레임(1)에 설치되어 크랭크축(4)과 기어트레인(G1)(G2)(G3)에 의해 연계작동되는 바디축(5) 및 롤러축(6)등이 구비되는 워터젯트직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축(5)에 베어링(B)이 개재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4)에 레버(14)로 링크되어 왕복운동하는 부채꼴기어(10);와,
    상기 부채꼴기어(10)에 치합되는 피동기어(22)를 기어트레인(G2)과 동축상에 축설하되, 베벨기어(24)를 통하여 구동축(26)과 이송기어(28)를 회동시켜 레피어(R)를 왕복이송시키는 레피어구동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1)의 내면 즉, 직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축(4)상에 이중캠판(30)이 장착됨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4)과 대향하는 바디축(5)상에 한 쌍의 로드바(32)를 설치하여 서로 맞물려 캠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KR20-2005-0002069U 2005-01-24 2005-01-24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KR200382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069U KR200382119Y1 (ko) 2005-01-24 2005-01-24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069U KR200382119Y1 (ko) 2005-01-24 2005-01-24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119Y1 true KR200382119Y1 (ko) 2005-04-18

Family

ID=4368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069U KR200382119Y1 (ko) 2005-01-24 2005-01-24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1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458A (ko) * 2020-08-27 2022-03-08 신상대 산업용 격자 구조물의 제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458A (ko) * 2020-08-27 2022-03-08 신상대 산업용 격자 구조물의 제직장치
KR102435713B1 (ko) 2020-08-27 2022-08-23 신상대 산업용 격자 구조물의 제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35459B (zh) 一种高速打纬起毛机构
US20060231274A1 (en) Device for modulating a first rotational motion of an input shaft to a second,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al motion of an output shaft in textile machines
WO2003085182A1 (en) A method for weaving curved warp yarns and a woven fabric
KR200382119Y1 (ko) 레피어직기에 이용되는 구동장치
CN201082911Y (zh) 用于剑杆织机的空间曲柄摇杆引纬机构
CN1779008B (zh) 用于剑杆织机的剑带驱动机构
US6510871B2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leno fabrics
KR100650441B1 (ko) 3-링크 니들용 라셀기의 니들 가이드장치
CN203530563U (zh) 一种宽幅高经密织造的多针提花机构
CN203065725U (zh) 塑料编织布喷水织机
CN2910974Y (zh) 织机打纬行程传动装置
CN101078151B (zh) 织机打纬行程传动装置
CN214088818U (zh) 综框横动装置
CN101418491A (zh) 三维织机剑杆引纬装置
JP3377166B2 (ja) パイル形成装置
CN2470373Y (zh) 毛巾剑杆织机
CN2813656Y (zh) 剑杆织机用引纬机构
DE3623016C1 (en) Shuttleless weaving machine for the single-shot production of double-pile fabric
JPH1143848A (ja) 筬打ち位置変更装置及び該装置を有する織機
CN102605508B (zh) 一种渔网编织机
CN102505281A (zh) 偏心非圆齿轮—曲柄摇杆的剑杆织机引纬、打纬机构
US6520217B2 (en) Weaving machine transmission for the control of the stroke of a sley shaft
CN220827522U (zh) 一种经线开交机构
US2818085A (en) Head motion for looms
CN202298003U (zh) 一种偏心非圆齿轮—曲柄摇杆的剑杆织机引纬、打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