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093Y1 - 재귀반사체 - Google Patents

재귀반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093Y1
KR200382093Y1 KR20-2005-0001358U KR20050001358U KR200382093Y1 KR 200382093 Y1 KR200382093 Y1 KR 200382093Y1 KR 20050001358 U KR20050001358 U KR 20050001358U KR 200382093 Y1 KR200382093 Y1 KR 200382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reflective
tunnel
retroreflecti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일
Original Assignee
박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일 filed Critical 박원일
Priority to KR20-2005-0001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36Reflex reflectors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난반사를 줄이고 반사영역과 비반사영역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식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재귀반사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재귀반사체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상에 부착되어 반사층으로부터 난반사되는 빛은 차단하고 특정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흡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귀반사체{Reflective body}
본 고안은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난반사광의 파장을 흡수하여 식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사지는 차량의 번호판이나 도로 안전 표지판, 프로젝터의 투사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반사형 투사 스크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통상 보호역할을 하는 불투명한 필름 시트의 전면에 투명 접착제층을 통해서 투명 글래스 비드를 면형상으로 도포한 투명필름을 설치함으로써 반사지를 구성한다.
또한 좀더 고휘도의 반사성능을 얻기 위해 글래스 비드와 최상층 사이에 공기층을 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를 포함하여 종래의 모든 반사지의 경우 반사지로부터 빛이 재귀반사되는 반사영역과 비반사영역의 경계부분에서의 식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반사지의 반사영역에서 재귀반사되는 빛이 난반사되기 때문으로 예컨대 상기한 종래의 반사지를 차량의 번호판에 적용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한 촬영시 반사지가 부착된 반사영역과 번호가 적혀있는 비반사영역 사이에 경계가 모호해져 번호판 표식의 식별이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카메라를 통한 교통신호 위반 차량 적발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난반사를 줄이고 반사영역과 비반사영역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식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재귀반사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재귀반사체에 있어서,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 상에 빛의 난반사를 차단하고 특정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흡광층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흡광층은 두께를 갖는 광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터널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광층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광층에 형성되는 터널은 그 직경이 0.5 ~ 3mm 내외임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나 삼각형 등의 다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흡광층의 터널을 통과하면서 난반사되는 빛은 흡광층에 흡수되고 터널을 통과한 빛은 방향성이 부여됨으로써 난반사는 절감되고 반사의 본래 기능은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흡광층 상에 표면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색상층이 더욱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색상층 표면에는 상기 흡광층의 터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의 터널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반사층이 빛을 재귀 반사시키기 위한 구조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비드가 면형상으로 도포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반사층 위에 보호층을 더욱 적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체는 재귀반사가 요구되는 면상 구조물에 직접 코팅된 구조이거나, 반사층에 진공증착되는 알루미늄층과 접착층 및 이면지를 포함하는 반사지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소정 방향으로 편광시키기 위한 편광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층은 상기 반사층 위에 부착되거나 상기 색상층 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광층과 상기 색상층 사이에 부착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체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 번호판(10) 전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지(11)가 부착되어 반사영역을 이루고 차량 번호(12)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도료가 칠해져 비반사영역을 이루게 된다.
이에 상기 번호판(10)으로 빛이 조사되면 반사영역을 이루는 본 반사지(11)는 반사되는 빛 중 난반사되는 빛을 흡수하고 일정 영역을 지나는 빛만을 되반사시켜 반사영역과 비반사영역 사이의 경계면의 식별성을 높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지(11)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체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반사지(11)는 글래스 비드(13)가 면형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빛을 재귀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층(14)과, 상기 반사층(14) 전면에 일정 두께로 부착되고 표면에는 반사층(14)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터널(1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글래스 비드(13)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난반사를 차단하고 특정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흡광층(15), 상기 흡광층(15) 전면에 부착되고 표면에는 상기 흡광층(15)에 형성된 터널(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터널(18)을 포함하며 반사지(11)의 표면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색상층(17), 상기 흡광층(15)과 상기 색상층(17) 사이에 설치되어 흡광층을 거친 빛을 일방향으로 편광시키기 위한 편광층(30), 상기 색상층(17) 전면에 부착되어 최상층을 이루는 표면층(19) 및 상기 반사층(14) 후면에 진공증착되는 알루미늄층(20)과, 상기 알루미늄층(20) 후면에 도포되는 점착층(21), 이 점착층(21)을 매개로 부착되어 저층을 이루는 이면지(22)를 포함한다.
상기 글래스 비드(13)는 유리재질의 구로써 1.5 인덱스(index)의 저 굴절에서 1.9 - 2.5 인덱스의 고굴절에 이르기까지 모든 굴절률에 걸쳐 적용 가능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재귀반사를 위한 반사층(14)으로서 상기와 같이 글래스 비드(13)가 배열 설치된 구조에 대해 설명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글래스 비드 이외에 예컨대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태의 프리즘이 배열 설치된 구조가 반사층으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 재귀 반사 기능을 수행하는 한 모두 본 고안의 진정한 정신에 따른 반사층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광층(15)은 카본블랙 재질로 이루어지는 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산화무기물이나 UV차단합성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광층(15)에 형성되는 터널(1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구조 이외에 타원이나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터널(16)은 상기 흡광층(15)의 두께에 비례하여 그 직경이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터널의 직경은 0.5 ~ 3mm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mm로 이루어진다.
상기 터널(16)의 직경이 0.5mm 이하인 경우에는 빛의 투과율이 떨어지게 되고, 3mm보다 크게 되면 원하는 난반사 저감효율을 얻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편광층(30)은 모든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일방향으로 편광시키기 위한 것으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미세한 선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광층(15)을 거친 빛은 편광층(30)을 통과하면서 상기 편광층(30)에 형성된 미세선에 대응되는 성분 예컨대 미세선이 편광층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수직성분 또는 수평성분만이 편광층을 통과함으로써 난반사되는 빛을 더욱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편광층(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광층(13) 상에 부착되어 흡광층(13)과 색상층(17)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색상층(17) 상에 부착설치되고 상부에 표면층(19)가 부착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4)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상층(17)은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는 상기 흡광층(15)에 형성된 터널(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터널(18)이 형성되어 빛을 투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색상층(17)을 통해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흡광층(15)의 검은 색을 가리고 반사지(11)의 표면 색상을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색상층(17) 상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표면층(19)이 부착되어 색상층(17)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반사지(11)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층(14)과 상기 흡광층(15) 사이에 반사층(14)의 글래스비드(1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23)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1의 차량 번호판(10)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빛이 차량 번호판(10)에 입사되면 상기 번호판(10)의 번호(12)에 해당되는 비반사영역에서는 빛의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번호 외측의 반사영역을 이루는 반사지(11)로 입사된 빛만이 재귀반사됨으로써 카메라 등으로 차량 번호판(10)을 촬영하였을 때 원하는 번호(12)에 대한 식별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반사지(11)로 조사된 빛은 글래스 비드(13)가 배열된 반사층(14)의 글래스 비드(13)에 의해 재귀 반사된다.
이때 글래스비드(13)에 의해 재귀반사되는 빛은 반사층(14)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흡광층(15)과 색상층(17)의 터널(16,18)을 거치면서 난반사되는 빛은 흡수 제거된다.
즉, 상기 흡광층(15)은 카본 블랙과 같이 광 흡수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반사층(14)의 글래스 비드(13)에 의해 재귀반사된 빛은 반사층(14) 전면에 부착된 흡광층(15)의 터널(16)을 통과하면서 터널(16)의 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반사되는 빛은 흡광층(15)에 흡수되어 반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널(16)의 길이방향과 근사한 방향으로 진행하여 터널(16)의 내측면에 닿지 않고 터널(16)을 통과한 빛만이 반사지(11) 외측으로 반사되어 나오게 된다.
이와같이 반사층(14)으로부터 반사된 빛 중에서 난반사되는 빛은 터널(16)의 측면으로 진행되어 터널(16)을 이루는 흡광층(15)에 의해 흡수되고 터널(16)의 길이방향쪽으로 반사되는 빛만이 제한적으로 터널(16)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광층(15)의 터널(16)을 통과한 빛은 흡광층(15)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편광층(30)을 통과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편관층(30)은 빛의 진동성분 중 수직 또는 수평성분만을 통과사키게 되어 빛의 난반사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 번호판(10)에 있어서 반사지(11)가 부착된 반사영역과 번호(12)가 도색된 비반사영역 사이의 경계면이 빛의 난반사에 의해 흐려져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상당히 획기적인 기능을 갖는 반사체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재귀반사체에 의하면, 재귀반사되는 빛에서 난반사되는 빛을 제거함으로써 반사영역과 비반사영역의 경계면이 확실하게 구분되도록 함으로서 식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체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체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번호판 11 : 반사지
12 : 번호 13 : 글래스비드
14 : 반사층 15 : 흡수층
16,18 : 터널 17 : 색상층
19 : 표면층 20 : 알루미늄층
21 : 점착층 22 : 이면지
23 : 보호층 30 : 편광층

Claims (10)

  1. 재귀반사체에 있어서,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반사층과, 이 반사층 상에 부착되어 반사층으로부터 난반사되는 빛은 차단하고 특정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흡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층은 두께를 갖는 광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터널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층은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크기는 0.5 ~ 3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원형 또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층 상에 표면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색상층이 더욱 부착되고 상기 색상층 표면에는 상기 흡광층의 터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의 터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가 상기 반사층 후면에 진공증착되는 알루미늄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후면에 도포되는 점착층, 이 점착층을 매개로 부착되어 저층을 이루는 이면지를 포함하는 반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에 보호층이 더욱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글래스 비드가 면상으로 도포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편광시키기 위한 편광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체.
KR20-2005-0001358U 2005-01-17 2005-01-17 재귀반사체 KR200382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58U KR200382093Y1 (ko) 2005-01-17 2005-01-17 재귀반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58U KR200382093Y1 (ko) 2005-01-17 2005-01-17 재귀반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093Y1 true KR200382093Y1 (ko) 2005-04-18

Family

ID=4368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58U KR200382093Y1 (ko) 2005-01-17 2005-01-17 재귀반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0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3385B2 (ja) カバー部材
JP2019066833A (ja) 画像表示装置
KR20120091205A (ko) 적외광의 재귀반사도가 감소된 프리즘형 재귀반사성 시트류
KR970009322A (ko) 프로젝터의 후면투사스크린
EP0569530A4 (ko)
JP2014164082A (ja) 再帰性反射型蓄光シート
KR101998086B1 (ko) 광각 재귀반사시트
JPH06144083A (ja) 車両用表示装置
JP7163556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7125882A (ja) スクリーン
KR101106009B1 (ko) 표지병
KR200382093Y1 (ko) 재귀반사체
JP2021047447A (ja) スクリーン
KR100587463B1 (ko) 적외선 흡수/차단 반사체
KR100588060B1 (ko) 재귀반사체
JPH08201608A (ja) 内部全反射型再帰反射シート
KR101987234B1 (ko) 광학 시트
KR200421310Y1 (ko) 재귀반사유닛 및 그 재귀반사유닛을 구비한 재귀반사체
KR20050006029A (ko) 표지병
CN110058451A (zh) 照明装置及显示装置
JPS6377001A (ja) ライトコントロ−ルフイルム
KR101488304B1 (ko) 빛 반사필름
TW519575B (en) Rear mirror with reverse reflective function
KR200416746Y1 (ko) 표지병
JP2006163239A (ja) 指向性光反射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