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334Y1 -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334Y1
KR200381334Y1 KR20-2005-0001517U KR20050001517U KR200381334Y1 KR 200381334 Y1 KR200381334 Y1 KR 200381334Y1 KR 20050001517 U KR20050001517 U KR 20050001517U KR 200381334 Y1 KR200381334 Y1 KR 200381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pulley
impression material
shaped frame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하오 왕
Original Assignee
웬-하오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하오 왕 filed Critical 웬-하오 왕
Priority to KR20-2005-0001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6Syringes or guns for injecting impression material; Mixing impression material for immediat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Abstract

본 고안은 인상재 교반기용의 전동 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적절한 개수의 벨트 풀리(110, 120)가 인상재 교반기의 V-자형 프레임(5)과 모터(8)의 고정 폴(511)에 설치되고, 적절한 개수의 상보형 롤러(140)가 또한 상기 V-자형 프레임(5)에 설치되며, 적절한 개수의 벨트(150, 160)가 상기 벨트 풀리(110, 120)와, 상보형 롤러(140), 그리고 수용 컵(6) 둘레부의 환형 홈(61) 둘레에 감겨 있다. 상기 V-자형 프레임(5) 상의 수용기(7)가 인상재 교반기의 모터(8)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전술한 벨트(150, 160)와 벨트 풀리(110, 120), 그리고 상보형 롤러(140)의 상호 연계 작동을 통해 수용 컵(6)이 수용기(7)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인상재가 고속 회전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원심력에 의해 고밀도화될 수 있고, 또한 인상재 중의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A TRANSMISSION DEVICE FOR AN AGITATOR OF IMPRESSION MATERIAL}
본 고안은 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고속 회전을 통해 기포가 없는 고밀도의 교반 인상재를 얻을 수 있는 인상재 교반기용의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인상재는 전통적으로 수동으로 교반되어 왔으며 따라서 특별히 이러한 종류의 재료용으로 설계된 교반기는 없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고안의 고안자는 인상재용 교반기를 고안한 바 있다(대만 R.O.C. 특허 공보 제274741호 참조). 그 개시된 바를 보면, 교반기는 인상재가 태양 기어(sun gear)의 둘레를 회전함으로써 그러한 회전을 통해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유성 기어 전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전동 장치를 구비하여, 인상재가 고속 회전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면서 원심력을 이용하여 기포가 제거된 고밀도 재료로 교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상 재료 교반기용의 전동 장치를 다각화하기 위한 본 고안자의 높은 창작열의 산물로서, 실용성이 보다 뛰어난 인상 재료 교반기용의 전동 장치가 또한 본 고안에 제안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협동하는 벨트와 벨트 풀리로 이루어진 구동 수단을 채용하여 기포가 없는 고탄성의 고밀도 교반 인상재가 생산되도록 함으로써 생산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인상재 교반기용의 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모터와, V-자형 프레임과, 수용기 및 수용 컵을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V-자형 프레임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기는 상기 V-자형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 컵은 그 입구부가 상기 수용기의 개구 내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V-자형 프레임의 일측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동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벨트 풀리와, 제2 벨트 풀리와, 제1 벨트, 그리고 제2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벨트 풀리는 상기 모터의 고정 폴(pole)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기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벨트 풀리는 상기 V-자형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보형 롤러가 상기 V-자형 프레임 상에 그 축선이 상기 벨트 풀리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설치된다. 제1 벨트가 상기 제1 벨트 풀리와 제2 벨트 풀리의 둘레에 감겨 있으며, 제2 벨트가 상기 제2 벨트 풀리와, 한 쌍의 상보형 롤러, 그리고 상기 수용 컵의 둘레부 상의 환형 홈 둘레에 감겨 있다.
요약하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되는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에 있어서, 적절한 개수의 벨트 풀리가 인상재 교반기의 V-자형 프레임과 모터의 고정 폴에 설치되고, 적절한 개수의 상보형 롤러가 또한 상기 V-자형 프레임에 설치되며, 적절한 개수의 벨트가 상기 벨트 풀리와, 상보형 롤러, 그리고 수용 컵 둘레의 환형 홈 둘레에 감겨 있다. 상기 V-자형 프레임 상의 수용기가 인상재 교반기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전술한 벨트와 벨트 풀리, 그리고 상보형 롤러의 상호 연계 작동을 통해 수용 컵이 수용기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인상재가 고속 회전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원심력에 의해 고밀도화될 수 있고 또한 인상재 중의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상재 교반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교반기 전체 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사각형 시트(1;seat)가 사용되고 있으며, 시트(1)의 중앙부를 차지하는 원통형 공간 내에 원통형의 모터 장착 시트(2)가 설치되어 있다. 네개의 지지 마스트(11;mast)가 상기 시트(1)의 네개의 코너로부터 각기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시트(1)의 중앙 공간 내부의 모터 장착 시트(2)와, 이 모터 장착 시트(2) 위에 배치된 모든 구성 요소가 지지 마스트(11)의 상단과 모터 장착 시트(2)의 둘레부 사이에 연결된 신장 스프링(3)을 통해 현수 상태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현수된 상태의 구성 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어 교반기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진동 감쇠 구조에 의하면, 교반기가 세탁기의 원심 탈수기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게 되는데, 고속 편심 회전을 통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진동 감쇠 구조를 통해 작동 안정성을 보다 더 개선할 수 있다. 모터 장착 시트(2)의 내부에는 모터(8)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모터 장착 시트(2)의 상측에는 V-자형 프레임(5)이 설치되어 상기 모터(8)에 의해 동기식으로 회전 구동된다. 원추형의 수용기(7) 및 전동 장치가 V-자형 프레임(5)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있다(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인상재를 수용하여 교반을 수행하기 위한 수용 컵(6)이 또한 V-자형 프레임(5)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수용 컵(6)은 전술한 수용기(7)를 비스듬하게 관통하여, 그 입구부가 수용기(7)의 내부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교반기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수용 컵(6)이 전동 장치의 구성 요소간의 상호 연계 작동을 통해 수용기(7)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이와 같은 회전 방식에 의하면, 인상재의 완벽한 교반 및 그에 따른 균일한 혼합이 가능해진다. 고속 회전시 발행하는 원심력에 의해 인상재는 외측으로 이동되며, 상기와 같은 수용 컵(6)의 경사진 구조는 인상재가 수용기(7)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해서, 외측으로 이동된 인상재는 수용기 테두리에 모아지며, 인상재 중의 기포가 방출된다. 또한, 인상재는, 테두리에 너무 오래 머물지 않도록, 수용 컵(6)의 축방향 회전을 통해 테두리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이동된다. 이러한 교반 방식은 균일한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 뿐만 아니라 인상재를 밀도를 높일 수 있고 기포를 함유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고속 회전 교반에 드는 시간이 상당히 짧기 때문에, 기타 성형 공정의 수행에 시간이 많이 들지 않게 된다.
전술한 구성 요소 및 전동 장치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모터 장착 시트(2)의 내부에 딱맞게 설치된 모터(8)의 중공형 회전축(81)이 모터 장착 시트(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81)이 이와 같이 모터 장착 시트(2)를 관통하고 있는 영역인 계면에는 축 베어링(21)이 마련되어 모터(8)의 회전축(81)을 고정시키도록 사용된다. V-자형 프레임(5)은 모터(8)의 회전축(81)의 이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한 상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모터(8)에 의해 동기식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전동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와, 한 쌍의 상보형 롤러(140)와, 제1 벨트(150), 그리고 제2 벨트(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벨트 풀리(110)는 모터(8)의 고정 폴(511)에 축 지지되어 V-자형 프레임(5)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150)는 이러한 제1 벨트 풀리(110)의 둘레부 상의 환형 홈 둘레에 감겨 있다. 전술한 고정 폴(511)은 모터(8)의 회전축(81)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2 벨트 풀리(120)가 V-자형 프레임(5) 상에 수용 컵(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150)와 제2 벨트(160)는 제2 벨트 풀리(120)의 둘레부 상의 두개의 환형 홈 둘레에 각각 감겨 있다. 상기 상보형 롤러(140) 또한 V-자형 프레임(5) 상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상보형 롤러(140)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편 그 축선이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벨트(150)는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의 둘레에 감겨 있으며, 제2 벨트(160)는 제2 벨트 풀리(120)와, 두개의 상보형 롤러(140), 그리고 수용 컵(6)의 둘레부 상의 환형 홈(61) 둘레에 감겨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 그리고 두개의 상보형 롤러(140)는 모두 별도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휠 구동식이며, 또한 제1 벨트(150) 또는 제2 벨트(160)는 코그 벨트(cog belt)이거나 V-자형 벨트일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120)의 편리한 권선을 위해, 상보형 롤러(140)의 둘레부는 내측으로 오목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모터(8)가 V-자형 프레임(5) 상의 수용기(7)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게 되면, 수용 컵(6)은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와, 두개의 상보형 롤러(140)와, 제1 벨트(150) 및 제2 벨트(160)의 상호 연계 작동을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인상재가 고속 회전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원심력에 의해 고밀도화될 수 있고, 또한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반복 사용에 따라 벨트는 점차 느슨해지게 되며, 이에 따른 벨트 교환을 위한 본 고안의 변형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벨트 풀리(120)에 연결 부재(17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170)는 판형 헤드부(172)(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 판 형태의)와, 봉형상의 말단부(174)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72)에는 편심 나사 구멍(176)이 형성되어 나사(180)가 이 구멍(176)에 고정됨에 따라 V-자형 프레임(5)에 결합되고, 이 경우에 말단부(174)는 제2 벨트 풀리(120)의 회전 축선으로서 작용한다. 제1 벨트(150)와 제2 벨트(160)가 느슨해진 경우에는, 우선 나사(180)를 풀고, 헤드부(172)를 도 4B에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 때에 축선으로서의 나사(180)와 편심되게 위치한 나사 구멍(176)으로 인해 제2 벨트 풀리(120)는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의 상대 위치가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벨트(150) 또는 제2 벨트(16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으며, 그러한 조절이 완료되고 나면 나사(180)는 다시 꽉 조여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절한 개수의 벨트 및 벨트 풀리 그리고 상보형 롤러로 이루어진 전동 장치가 인상재용의 교반기에 장착됨으로써, 기포를 함유하지 않은 고탄성의 고밀도 교반 인상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그 생산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인상재 교반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동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동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전동 장치의 벨트 장력 조절 전후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V-자형 프레임 6 : 수용 컵
7 : 수용기 8 : 모터
110, 120 : 벨트 풀리 140 : 상보형 롤러
150, 160 : 벨트 170 : 연결 부재
511 : 고정 폴

Claims (6)

  1. 모터(8)와, V-자형 프레임(5)과, 수용기(7), 그리고 수용 컵(6)을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V-자형 프레임(5)은 상기 모터(8)의 회전축(81)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기(7)는 상기 V-자형 프레임(5) 상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 컵(6)은 그 입구부가 상기 수용기(7)의 개구 내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V-자형 프레임(5)의 일측 상에 배치되는 인상재 교반기용의 전동 장치로서,
    상기 모터(8)의 고정 폴(51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기(7)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벨트 풀리(110)와;
    상기 수용 컵(6)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V-자형 프레임(5) 상에 배치되는 제2 벨트 풀리(120)와;
    그 축선이 상기 벨트 풀리(110, 120)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상기 V-자형 프레임(5) 상에 설치된 한 쌍의 상보형 롤러(140)와;
    상기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의 둘레에 감겨 있는 제1 벨트(150); 그리고
    상기 제2 벨트 풀리(120)와, 상기 한 쌍의 상보형 롤러(140), 그리고 상기 수용 컵(6)의 둘레부 상의 환형 홈(61) 둘레에 감겨 있는 제2 벨트(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150)와 제2 벨트(160)는 각기 코그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150)와 제2 벨트(160)는 각기 V-자형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 그리고 한 쌍의 상보형 롤러(140)는 각기 별도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휠 구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보형 롤러(140)의 둘레부는 상기 제2 벨트(160)의 편리한 권선을 위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풀리(120)에는 연결 부재(170)가 장착되고, 이 연결 부재(170)는 판형 헤드부(172)와 봉형 말단부(174)로 구성되며, 상기 판형 헤드부(172)에는 편심 나사 구멍(176)이 형성되어 이 나사 구멍에 나사(180)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헤드부(172)가 상기 V-자형 프레임(5)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 부재(170)의 헤드부(172)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벨트 풀리(110)와 제2 벨트 풀리(120)의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벨트(150, 16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KR20-2005-0001517U 2005-01-18 2005-01-18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KR200381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17U KR200381334Y1 (ko) 2005-01-18 2005-01-18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17U KR200381334Y1 (ko) 2005-01-18 2005-01-18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334Y1 true KR200381334Y1 (ko) 2005-04-12

Family

ID=4368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517U KR200381334Y1 (ko) 2005-01-18 2005-01-18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601B1 (ko) 2007-04-26 2007-06-29 고려개발(주) 로터리타입 폐기물 정량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601B1 (ko) 2007-04-26 2007-06-29 고려개발(주) 로터리타입 폐기물 정량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1936A (en) Paint mixing and conditioning machine
US5653535A (en) Mixing machine
US6189441B1 (en) Kitchen robot with two output connections for removable working accessories
JP4740749B2 (ja) ミキサー
JPH1043568A (ja) 混練装置
KR200381334Y1 (ko) 인상재 교반기용 전동 장치
CA2461269A1 (en) Bladeless mixer
JP5140381B2 (ja) 被攪拌材の攪拌・脱泡装置
KR20020070908A (ko) 혼합장치
JP3109925U (ja) インプレッション材料攪拌機の伝動装置
CN213854223U (zh) 一种用于树脂合成的浆料搅拌设备
JP2008178850A (ja) 被攪拌材の攪拌・脱泡装置
US20060154765A1 (en) Transmission device for an agitator of impression material
JP2010240579A (ja) 粉体撹拌装置
GB2096909A (en) Paint mixing and conditioning machine
JP2004154651A (ja) 振盪機
JP7305470B2 (ja) 撹拌脱泡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4373632B2 (ja) 攪拌脱泡装置、被混練材料の収納容器及び攪拌脱泡方法
CN210332474U (zh) 一种搅拌机的离心搅拌装置
CN113680227A (zh) 一种造纸用造纸助剂均匀稀释装置
CN208482290U (zh) 一种搅拌机
CN208975222U (zh) 公自转齿轮传动组件及搅拌消泡机
CN213617711U (zh) 一种高效节能型pvc混炼机
JPH1043566A (ja) 混練装置
JP2006305441A (ja) 撹拌脱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