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826Y1 - 물품수납장 - Google Patents

물품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826Y1
KR200380826Y1 KR20-2005-0001165U KR20050001165U KR200380826Y1 KR 200380826 Y1 KR200380826 Y1 KR 200380826Y1 KR 20050001165 U KR20050001165 U KR 20050001165U KR 200380826 Y1 KR200380826 Y1 KR 200380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s
pairs
pair
driving
ch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희 filed Critical 김영희
Priority to KR20-2005-0001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8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다수 수납함들 각각이 자중에 의해 위상이 전환되지 않는 상태로 상승/만곡이동/하강/만곡이동되게 하여 궁극적으로 수납대에 담긴 물품이 뒤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가로방향의 개구홀이 길게 뚫린 높이가 높은 함체형 케이스부재; 상하의 위치에서 각각 서로 근접하여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 및 두 쌍의 하부 스프라켓; 각 쌍의 상기 상부 스프라켓들과 하부 스프라켓들에 각각 감겨 구비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한 쌍의 체인에 그 양 측단면 중앙 상부가 힌지수단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다수의 수납함; 상기 다수 수납함들이 상승,만곡이동,하강,만곡이동 가능한 상태하에서 다수 수납함들의 양 측단면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에 내장되는 한 쌍의 내,외측가이드; 상기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에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 고유번지에 해당하는 수납함을 호출하는 조작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부에 입력시킬 수 있는 키버튼기; 상기 각 수납함의 고유번지를 인식하여 그 값을 상기 콘트롤러부에 입력시킬 수 있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물품수납장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물품수납장{goods cabinet}
본 고안은 물품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신발 등이 수납되어지는 선반이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움직여 수납량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인출이 편리하도록 한 물품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납장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다층의 선반으로 구획하여 그 선반들에 신발 등을 올려놓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전방으로 여닫히는 문짝을 설치하여 특히 신발 수납상태를 은폐시킬 수도 있게 한 것이다.
즉, 전통적인 신발수납장은 박스 형태의 본체 전방에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다단으로 선반이 구비되어지는 것이며, 근래들어 신발을 대량 수납시킬 수 있도록 그 깊이와 높이를 증대시킨 대형화된 것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대형화된 신발수납장은 넓은 설치면적을 요할 뿐 아니라,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초래하며, 특히 선반면에 신발이 안쪽과 바깥쪽 2열로 수평 상태로 정렬되므로 해당 신발을 찾아내기가 어렵고 머리를 신발수납장에 집어넣어야만 해당 신발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높이가 높으므로 신발수납장 상측에 수납되어진 신발 등과 같은 소용 물품을 꺼낼 때 의자 등의 보조구를 사용하여야만 하며, 반대로 수납장 상측에 수납되어진 물품을 꺼낼 때에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않아서 해당 물품을 인출해내야만 하는 불편도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단점, 그리고 사용상 불편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수납장이 고안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납장은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 도어 및 수평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 직립 상태로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본체에 다단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수납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수납대로 하여금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신발을 올려놓거나 꺼낸다음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지지프레임과 수납대가 다시 본체에 내재되도록 작용한다.
또, 개폐구가 형성된 함체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배면에 평행하도록 일단부에 작동수단이 형성된 축으로 결합되어진 구동스프라켓 및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들의 외주를 감싸도록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납틀로 구성되어진 다른 수납장도 있다.
위에서와 같은 수납장은, 그 전면 소정 위치로 소용 물품이 출입될 수 있는 개폐구를 형성하고 순환 회전되는 체인을 따라 다수의 수납틀을 연설하여 상하로 이동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해진 고정적인 위치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신발 등과 같은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수납장은 체인을 따라 순환 회전되는 수납대가 상부에서 하부로 위치 이동될 때 위상이 반전되어 뒤집어지므로, 수납된 물품이 뒤섞이게 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 전환시 위상 반전으로 인한 뒤집힘을 방지하여 수납대에 담긴 물품이 뒤섞이지 않도록 하는 물품수납장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립 상태의 사용자 손이 편하고 쉽게 드나들 수 있는 위치로 가로방향의 개구홀이 길게 뚫린 높이가 높은 함체형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 양측면판에 내접하는 부위의 상하의 위치에서 각각 서로 근접하여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 및 두 쌍의 하부 스프라켓; 각 쌍의 상기 상부 스프라켓들과 하부 스프라켓들에 각각 감겨 구비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한 쌍의 체인에 그 양 측단면 중앙 상부가 힌지수단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개구홀과 일치되는 다른 개구홀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는 다수의 수납함; 상기 다수 수납함들이 상승,만곡이동,하강,만곡이동이 가능한 상태하에서 수납함들의 양 측단면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에 내장되는 한 쌍의 내측가이드 및 한 쌍의 외측가이드; 상기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에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 고유번지에 해당하는 수납함을 호출하는 조작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부에 입력시킬 수 있는 키버튼기; 상기 각 수납함의 고유번지를 인식하여 그 값을 상기 콘트롤러부에 입력시킬 수 있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물품수납장을 제공한다.
상기한 힌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체인, 등 간격 위치에서 해당 체인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납함의 측단면 중앙 상부 벽체에 힌지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 쌍의 연장핀일 수 있다.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 각각에서 어느 하나의 것들에 동축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피동스프라켓; 상기 피동스프라켓 각각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스프라켓; 상기 피동스프라켓들과 구동스프라켓들에 각각 감긴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체인; 상기 구동스프라켓들을 동축으로 연결시키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 중앙의 위치로 장착되는 다른 구동스프라켓; 상기 다른 구동스프라켓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상태하에서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장착되어지는 또 다른 구동스프라켓; 상기 다른 구동스프라켓과 또 다른 구동스프라켓에 감겨 구비되는 또 다른 체인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기 수납함들 각각에 수납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그 값을 상기 콘트롤러부에 입력시킬 수 있는 수납여부검출센서가 더 구비되는 물품수납장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에 대한 내부 구성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부분 일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의 동력전달수단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함체형 케이스부재(F)와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Sa1,Sa2)(Sb1,Sb2) 및 두 쌍의 하부 스프라켓(Sa3,Sa4)(Sb3,Sb4), 한 쌍의 체인(26a)(26b)과 다수의 수납함(30a)~(30n) 및 한 쌍의 내,외측가이드(24a)(24b), (22a)(22b), 그리고 구동수단(10), 콘트롤러부(4), 키버튼기(2), 엔코더(6), 수납여부검출센서(12) 등으로 구성되어진 물품수납장에 관련된다.
즉, 상기 케이스부재(F)는 직립 상태의 사용자 손이 편하고 쉽게 드나들 수 있는 위치로 가로방향의 개구홀(Dh)이 길게 뚫리고 높이가 높은 함체형으로 형성 구비된 것이고, 이와 같은 케이스부재(F) 양측면판에 내접하는 부위의 상하의 위치에서 각각 서로 근접하여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Sa1,Sa2)(Sb1,Sb2) 및 두 쌍의 하부 스프라켓(Sa3,Sa4)(Sb3,Sb4)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각 쌍의 상기 상부 스프라켓(Sa1,Sa2)(Sb1,Sb2)들과 하부 스프라켓(Sa3,Sa4)(Sb3,Sb4)들에 한 쌍의 체인(26a)(26b)이 각각 감겨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체인(26a)(26b)에 상기 다수의 수납함(30a)~(30n)들의 그 양 측단면 중앙 상부가 힌지수단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체인(26a)(26b), 등 간격 위치에서 해당 체인핀(부호생략)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납함(30a)~(30n)의 측단면 중앙 상부 벽체에 힌지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 쌍의 연장핀(부호생략)으로 이루어진 것이다(도 3 및 도 4 참조).
따라서 다수 수납함(30a)~(30n)들이 각각 상승되다가 상사점으로 만곡이동되고, 뒤로 더 위치 이동된 후 다시 만곡이동하여 하강되는 싸이클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더라도 다수 수납함(30a)~(30n)들 각각은 자중에 의해 위상이 전환되지 않으며, 결국 뒤집히지 않는 상태하에서 위치 이동되어지는 것이다(도 3 및 도 4 참조).
한편, 상기 다수 수납함(30a)~(30n)들에는 상기 케이스부재(F)의 개구홀(Dh)과 일치되는 다른 개구홀(부호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위에서와 같은 개구홀(Dh)(부호생략)들이 일치되었을 때 해당 수납함(30a)~(30n)으로부터의 물품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한 쌍의 내측가이드(24a)(24b) 및 한 쌍의 외측가이드(22a)(22b)들은 상기 다수 수납함(30a)~(30n)들이 상승,만곡이동,하강,만곡이동되도록, 다수 수납함(30a)~(30n)들의 양 측단면부를 구속하게 되는 상태하에서 상기 케이스부재(F)에 내장되는 것이며, 상기 구동수단(10)은 상기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Sa1,Sa2) (Sb1,Sb2)에 동력전달수단(T)으로 연결되어지는 것이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한 동력전달수단(T)은 상기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Sa1,Sa2) (Sb1,Sb2) 각각에서 어느 하나의 것들에 동축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피동스프라켓(Sc1)(Sc2)을 구비하고, 이 피동스프라켓(Sc1)(Sc2)과 이의 각각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스프라켓(Sc3)(Sc4)을 두 개의 다른 체인(C1)(C2)으로 감아 연결시킴으로써, 구동스프라켓(Sc3)(Sc4)으로부터의 구동력으로 결국 상기 한 쌍의 체인(26a)(26b)을 구동시키게 하는 것이다(도 5 참조).
또, 상기 구동스프라켓(Sc3)(Sc4)들은 축부재(부호생략) 양단부에 동축으로 장착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축부재 중앙의 위치로 다른 구동스프라켓(Sc5)을 장착하고, 이 다른 구동스프라켓(Sc5)과 이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상태하에서 상기 구동수단(10)의 회전축에 장착되어지는 또 다른 구동스프라켓(Sc6)을 또 다른 체인(C3)으로 감아 연결시킴으로써, 구동수단(10)으로부터의 구동력으로 결국 상기 한 쌍의 체인(26a)(26b)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4)는 구동수단(10)의 모터구동부(8)에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제어하여서 구동수단(1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게끔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키버튼기(2)는 고유번지에 해당하는 수납함(30a)~(30n)을 호출하는 조작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부(4)에 입력시켜 이 콘트롤러부(4)로 하여금 해당번지의 수납함(30a)~(30n)이 케이스부재(F)의 개구홀(Dh)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동수단(10)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엔코더(6)는 각 수납함(30a)~(30n)의 고유번지를 인식하여 그 값을 상기 콘트롤러부(4)에 입력시키는 것이며, 상기 수납여부검출센서(12)는 수납함(30a)~(30n)들 각각에 수납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그 값을 상기 콘트롤러부(4)에 입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은, 다수 수납함들이 각각 상승되다가 상사점으로 만곡이동되고, 뒤로 더 위치 이동된 후 다시 만곡이동하여 하강되는 싸이클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더라도 다수 수납함들 각각은 자중에 의해 위상이 전환되지 않으며, 결국 뒤집히지 않는 상태하에서 위치 이동되어지는 것이므로, 수납대에 담긴 물품이 뒤섞이지 않도록 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 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에 대한 내부 구성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부분 일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물품수납장의 동력전달수단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키버튼기 4 : 콘트롤러부
6 : 엔코더 10 : 구동수단
12 : 수납여부검출센서 F : 케이스부재
Sa1,Sa2,Sb1,Sb2 : 상부 스프라켓 Sa3,Sa4,Sb3,Sb4 : 하부 스프라켓
22a,22b : 외측가이드 24a,24b : 내측가이드
26a,26b : 체인 30a~30n : 수납함

Claims (4)

  1. 직립 상태의 사용자 손이 편하고 쉽게 드나들 수 있는 위치로 가로방향의 개구홀이 길게 뚫린 높이가 높은 함체형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 양측면판에 내접하는 부위의 상하의 위치에서 각각 서로 근접하여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 및 두 쌍의 하부 스프라켓; 각 쌍의 상기 상부 스프라켓들과 하부 스프라켓들에 각각 감겨 구비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한 쌍의 체인에 그 양 측단면 중앙 상부가 힌지수단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개구홀과 일치되는 다른 개구홀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는 다수의 수납함; 상기 다수 수납함들이 상승,만곡이동,하강,만곡이동이 가능한 상태하에서 수납함들의 양 측단면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에 내장되는 한 쌍의 내측가이드 및 한 쌍의 외측가이드; 상기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에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 고유번지에 해당하는 수납함을 호출하는 조작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부에 입력시킬 수 있는 키버튼기; 상기 각 수납함의 고유번지를 인식하여 그 값을 상기 콘트롤러부에 입력시킬 수 있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물품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체인, 등 간격 위치에서 해당 체인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납함의 측단면 중앙 상부 벽체에 힌지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 쌍의 연장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수납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두 쌍의 상부 스프라켓 각각에서 어느 하나의 것들에 동축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피동스프라켓;
    상기 피동스프라켓 각각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스프라켓;
    상기 피동스프라켓들과 구동스프라켓들에 각각 감긴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체인;
    상기 구동스프라켓들을 동축으로 연결시키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 중앙의 위치로 장착되는 다른 구동스프라켓;
    상기 다른 구동스프라켓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상태하에서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장착되어지는 또 다른 구동스프라켓;
    상기 다른 구동스프라켓과 또 다른 구동스프라켓에 감겨 구비되는 또 다른 체인을 포함하는 물품수납장.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들 각각에 수납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그 값을 상기 콘트롤러부에 입력시킬 수 있는 수납여부검출센서가 더 구비되는 물품수납장.
KR20-2005-0001165U 2005-01-14 2005-01-14 물품수납장 KR200380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165U KR200380826Y1 (ko) 2005-01-14 2005-01-14 물품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165U KR200380826Y1 (ko) 2005-01-14 2005-01-14 물품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826Y1 true KR200380826Y1 (ko) 2005-04-07

Family

ID=4368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165U KR200380826Y1 (ko) 2005-01-14 2005-01-14 물품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8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568B1 (ko) 2008-09-18 2011-02-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식 수납장
KR20160007028A (ko) * 2014-07-10 2016-01-20 김영달 물품 진열장치
KR101717888B1 (ko) * 2016-11-01 2017-03-17 박영기 다기능 찻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568B1 (ko) 2008-09-18 2011-02-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식 수납장
KR20160007028A (ko) * 2014-07-10 2016-01-20 김영달 물품 진열장치
KR101690834B1 (ko) * 2014-07-10 2016-12-28 김영달 물품 진열장치
KR101717888B1 (ko) * 2016-11-01 2017-03-17 박영기 다기능 찻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405B1 (ko) 서랍식 인출장치
PL1744656T3 (pl) Układ podnoszenia kosza w zmywarce
CN1857874A (zh) 转动的工具箱
KR20060019122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80826Y1 (ko) 물품수납장
CN207444689U (zh) 一种使用方便的文物展示柜
KR101688229B1 (ko) 수납고
US8104852B2 (en) Refrigerator
CN2531336Y (zh) 电冰箱及其搁物装置
ITAN960007U1 (it) Intelaiatura componibile porta-cestelli per mobili d'angolo destri o sinistri
CN211269288U (zh) 整体智能衣柜
CN211092563U (zh) 一种升降衣柜
CN209404066U (zh) 升降收纳厨架
JP6224951B2 (ja) 吊り戸棚
CN211910990U (zh) 橱柜转角拉篮
KR20170072619A (ko) 식기 수납장
CN108968615B (zh) 一种信报箱存取机构
JP2010252886A (ja) 昇降式吊戸棚
RU38097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кассет и/или дисков всех видов
US2875014A (en) Vertical shelf conveyor
JP3966725B2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等を内蔵する机
CN215685744U (zh) 智能控制自动分选鞋柜
JPH0427384Y2 (ko)
KR200337575Y1 (ko) 보조 테이블이 갖추어진 수납장
CN112617431B (zh) 一种便于使用的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