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763Y1 -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 Google Patents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763Y1
KR200379763Y1 KR20-2004-0037102U KR20040037102U KR200379763Y1 KR 200379763 Y1 KR200379763 Y1 KR 200379763Y1 KR 20040037102 U KR20040037102 U KR 20040037102U KR 200379763 Y1 KR200379763 Y1 KR 200379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ole
hard hat
cover
ventilation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종
Original Assignee
장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종 filed Critical 장현종
Priority to KR20-2004-0037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모의 최상부에 통풍용 홀을 형성하고, 통풍용 홀의 상부에 외부의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덮개를 더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작업모를 장시간 착용시에 나타나는 땀으로 인한 불쾌감이나 두통 또는 탈모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머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외부면을 이루는 외피와, 충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상부면 중앙과 완충수단의 중앙에 사각 형태의 통풍홀을 형성하고, 일지점에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통풍홀의 상부에는, 외피면의 결합홈에 고정되는 지지수단을 갖고, 외피와 일정틈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통풍홀을 커버링하는 직사각 패널 또는 호형상 패널 형태의 보호용 덮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은 통풍이 용이한 안전모를 제공하게 되어 작업자가 작업시간 내내 안전모를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예방에 한층 강화되고, 아울러 덮개를 별도로 부가 설치하여 통풍에 따른 외부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안심하고 안전모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A Safety Cap Having a Ventilation Structure}
본 고안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모의 최상부에 통풍용 홀을 형성하고, 통풍용 홀의 상부에 외부의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덮개를 더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작업모를 장시간 착용시에 나타나는 땀으로 인한 불쾌감이나 두통 또는 탈모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소재로 된 중공상의 반구형 본체 내부에 원형 고리형의 지대끈 및 지대끈의 상부에 원호형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지지대가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안전모는 여러분야에 사용되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차량용(오토바이, 경주용 차) 헬멧과, 산업 현장의 안전보, 군용 방탄모 등을 들 수 있으며 운전자나 작업자등 특수한 경우 안전을 위해 반드시 착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안전모는 착용시 완전히 밀폐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통기부족으로 인하여 외기에 비해 안전모 내부가 고온으로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착용자가 땀으로 인한 불쾌감과 두통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작업을 할 수 없어 벗어던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시 두통뿐만 아니라, 착용부위의 두피가 손상되어 피부염 및 비듬의 발생원인이 되기도 하며, 모발이 손상되고, 심한 경우 탈모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안전모는 특히 무더운 여름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 착용하면 내부에서 땀이 발생하고 이러한 땀은 얼굴쪽으로 흘러내려 착용자의 시야를 가림에 따라 운전 및 작업에 방해가 되며, 이러한 이유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아 더 큰 안전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현재까지 생산되는 안전모는 비교적 고강도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안전모를 착용할 경우 사실상 그 내부는 밀폐되는 상태가 되고, 이 경우 두피부분에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두피부분에 땀 등에 의한 피부염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밀폐 상태에 의해 두피부분에 열이 높게 되어 두피부분이 쾌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착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안전모의 상부에 대류 및 벤투리 메터의 원리에 의해 통풍이 이루어지는 통풍수단을 형성하고 또한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을 더 부가하여 안전모 착용시 원활한 통풍작용으로 두피에 발생하는 열과 땀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머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외부면을 이루는 외피와, 충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상부면 중앙과 완충수단의 중앙에 사각 형태의 통풍홀을 형성하고, 일지점에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통풍홀의 상부에는, 외피면의 결합홈에 고정되는 지지수단을 갖고, 외피와 일정틈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통풍홀을 커버링하는 직사각패널 형태 또는 호형태 패널의 보호용 덮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통풍홀은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통풍홀과 통풍홀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안전모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대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강대는 외피와 일체형으로 구성함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모 구성 일실시예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모 내부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안전모(100)는 크게 머리를 고정하는 머리 고정수단(30)과, 외부면을 이루는 외피(10)와, 충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는 완충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 고정수단(30)은 작업자의 머리를 고정하여 안전모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하부에는 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턱끈(31)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피(10)는 둥근 바가지 형태의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20)은 외피(10)의 바로 하단에 설치되며,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외부 충격이 머리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켜 머리를 보호토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는 안전모(100)의 외피(10) 상부면 중앙에 통풍홀(11)을 형성하고, 상기 통풍홀(11)의 존재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덮게(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원활한 통풍을 위하여 완충수단(20)에도 동일하게 다수개의 홀(21)을 형성토록 한다.
상기 통풍홀(11)은 정사각형태로 모양에 간계 없이 다수개를 일직선상 또는 원형으로 배치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홀의 간격을 더 좁게 하면서 더 많은 숫자를 배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덮게(40)는 직사각패널 형태로 구성되며, 덮게(40)의 모서리부에는 지지수단(41)이 부가되어 있어 덮게(40)를 외피(10)의 일단에 일정한 틈을 두고 고정시킨다.
상기 덮게(40)를 안전모(100)의 외피(1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지지수단(41)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피(10)에 결합홈(12)을 형성하되 억지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수단의 지름보다 더 작게 홀의 지름을 구성한다.
물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 지지수단(41)을 원형바 형태로 제작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볼트 및 너트 결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본드 접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은 안전모(100)를 착용할시에 내부의 공기가 통풍홀(11)을 통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한 이유는 안전모(100)의 내부에서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고, 상기 열은 위쪽으로 상승한 후 덮게(40) 하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또한, 외부에서 바람이 불어올시에는 상기 덮게(40) 하부와 외피(10) 사이를 통과하면서 저기압을 형성하게 되어 안전모(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공기를 끌어당기게 되어 보다 강력하게 안전모(1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빼내게 된다.
또한, 상기 덮게(40)는 안전모(100)의 외피 재질과 동일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안전모(100)의 외부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해야 하는 외피의 역할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덮게(40)는 외부 빗물등과 같은 이물질이 통풍홀을 통해 머리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통상 통풍홀(40) 보다 더 크게 제작하여야 하고, 제작 형태는 사각형이나 원형 그 밖에 다양한 모양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작의 용이성과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도 1 내지 도 3에 직사각 형태의 덮개를 예시하고, 도 4에는 호형 덮게(40a)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통풍홀(11)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대(13)는 작업모 외피와 일체로 제작되며, 이는 작업모의 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함인바, 작업모의 강도가 충분히 보장된다면 상기 보강대(13)를 생략할 수도 있다.
즉, 통풍홀(11)을 정사각형태로 다수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직사각 형태로 일개만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고, 또한, 통풍홀(11)을 직사각형태로 다수개 배열할 수도 있는 등 안전모(100)의 강도를 크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통풍홀(11)로 이물질이 쉽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풍홀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형 돌출턱(14)을 더 형성한다.
상기 수직형 돌출턱(14)은 통풍홀의 네 모서리면으로 부터 수직하게 일정길이만큼 돌출되어 내부 공기가 외부로 쉽게 유통되면서도 외부 이물질은 내부로 쉽게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작업자의 머리가 고정되는 외피(10)의 내측으로부터 공기를 쉽게 외부로 빼내고 동시에 외부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안전모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풍이 용이한 안전모를 제공하게 되어 작업자가 작업시간 내내 안전모를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예방에 한층 강화되고, 아울러 덮개를 별도로 부가 설치하여 통풍에 따른 외부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안심하고 안전모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모 구성 일실시예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모 내부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피 11: 통풍홀
12: 결합홈 13: 보강대
20: 완충수단 30: 고정수단
40, 40a: 덮게 41: 지지수단

Claims (4)

  1. 머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과, 외부면을 이루는 외피(10)와, 충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는 완충수단(20)을 포함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외피(10)의 상부면 중앙과 완충수단(20)의 중앙에 사각 형태의 통풍홀(11)을 형성하고, 또한 외피(10)의 상부 일지점에 다수개의 결합홈(12)을 형성하며;
    상기 통풍홀(11)의 상부에는, 외피면(10)의 결합홈(12)에 고정되는 지지수단(41)을 다수개 포함하고, 외피(10)와 일정틈을 유지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통풍홀(11)을 커버링하는 직사각패널 또는 호형패널 형태의 보호용 덮게(40, 40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11)은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일자형 또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11)과 통풍홀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대(13)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11)의 외주면에는 수직한 돌출턱(14)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KR20-2004-0037102U 2004-12-28 2004-12-28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KR200379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102U KR200379763Y1 (ko) 2004-12-28 2004-12-28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102U KR200379763Y1 (ko) 2004-12-28 2004-12-28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763Y1 true KR200379763Y1 (ko) 2005-03-23

Family

ID=4368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102U KR200379763Y1 (ko) 2004-12-28 2004-12-28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7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70B1 (ko) 2006-02-14 2007-01-09 (주)평화엔지니어링 열발산 수단을 갖는 안전모
KR101530061B1 (ko) * 2015-05-04 2015-06-18 (주)케이아이티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70B1 (ko) 2006-02-14 2007-01-09 (주)평화엔지니어링 열발산 수단을 갖는 안전모
KR101530061B1 (ko) * 2015-05-04 2015-06-18 (주)케이아이티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3015U (ko)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KR200379763Y1 (ko)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KR20080029414A (ko) 안전모의 통풍구조
KR20130062076A (ko) 2중 충격 감쇄형 안전모
KR100406219B1 (ko) 헬멧
JP6236243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JP3213691U (ja) ヘルメット
KR200489509Y1 (ko) 기능성 안전모
JP2021147731A (ja) ヘルメット
WO2020242373A1 (en) Protective head device
KR200487001Y1 (ko) 안전모
KR200398751Y1 (ko) 안전모
KR200374041Y1 (ko) 안전모
CN210726791U (zh) 建筑工人用防中暑安全帽
CN219578363U (zh) 安全帽
JP6236566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JP2019108621A (ja) 作業用ヘルメット
KR20110010974A (ko)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KR20150000669U (ko) 안전모
KR101380923B1 (ko) 통풍 안전모
JP6236244B2 (ja)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バンド
KR20090011189U (ko) 헬멧의 통풍구조
KR20130052845A (ko)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KR200430354Y1 (ko) 안전 수영모자
KR19990022130U (ko) 통풍및충격완화용오토바이헬멧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