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663Y1 -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663Y1
KR200378663Y1 KR20-2004-0035299U KR20040035299U KR200378663Y1 KR 200378663 Y1 KR200378663 Y1 KR 200378663Y1 KR 20040035299 U KR20040035299 U KR 20040035299U KR 200378663 Y1 KR200378663 Y1 KR 200378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cleaner
accessory
strap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범
현석호
Original Assignee
신재범
현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범, 현석호 filed Critical 신재범
Priority to KR20-2004-0035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는 휴대기기에 결속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에 연결되는 장식부재와, 상기 장식부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극세사천 클리너를 구비하며, 상기 장식부재의 이면에는 발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상기 장식부재와 혼합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트랩에 연결된 장식부재의 전면에는 극세사천 클리너가 구비되어 휴대기기의 LCD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의 이면에는 발광물질 또는 반사물질이 구비되어 어두운 장소에서도 휴대기기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Description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A combination accessory and cleaner}
본 고안은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이 소지하고 다니는 휴대기기의 LCD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기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CDP(Compact Disc Player), MP3(MPEG Audio Layer-3), MD(Mini Disk Player), 디지털 카메라(DC;Digital Camara) 등 다양한 종류들이 있다. 이러한 기기들에는 별도의 스트랩을 결속시켜 이 스트랩에 연결되는 다양한 제품의 장식부재들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이나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LCD창이 얼굴에 맞닿게 되고, 이때 땀이나 화장이 LCD창에 묻게 된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휴대폰을 관리 해줘야 하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는 화장지를 이용하고, 옷의 일부분을 문지르면서 휴대폰에 묻은 이물질을 닦기도 한다.
또한 CDP, MP3, MD 등의 기기들은 대부분 외장이 매끄럽게 코팅 처리된 고가의 제품들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에는 휴대폰에 결속되는 장식부재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쁜 캐릭터나 로고가 구비된 장식부재를 결속시켜 휴대하고 있다.
한편, 야간에 실내에서 핸드폰의 위치를 찾고자 할 때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물론, 신형 휴대폰의 경우 외관에 별도의 LCD창이 구비되어 휴대폰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휴대폰을 제외한 나머지 휴대기기들의 외장에는 별도의 LCD창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기기의 위치는 찾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인이 소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중에 스트랩을 사용하는 어느 기기에든지 본 고안의 클리너가 구비된 장식부재를 연결하여 각종 휴대기기의 외장이나 LCD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식부재에 발광물질 또는 반사물질이 구비되도록 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휴대기기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는, 휴대기기에 결속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에 연결되는 장식부재와, 상기 장식부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극세사천 클리너를 구비하며, 상기 장식부재의 이면에는 발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상기 장식부재와 혼합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에는 반사물질이 표면에 부착되거나, 도포된다.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시광안료, 야광안료 및 시온안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료가 도포, 또는 장식부재에 혼합 사출 성형된다.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극세사천 클리너 사이에는 탄성체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우레탄, 실리콘, 고무 및 피브이시(PV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채용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투명한 재질의 필름에 인쇄물이 프린팅되어 상기 필름이 인몰딩된다.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에는 전자파 차단 섬유가 부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도 1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는 스트랩(10), 장식부재(20), 탄성체(30), 극세사천 클리너(4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스트랩(10)은 휴대폰, PDA, 디지털카메라 등 휴대가 가능한 다양한 기기들에 결속되는 것이다. 즉, 휴대기기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에 스트랩(1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이 스트랩(10)에는 연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장식부재(20)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스트랩(10)은 와이어와 같이 굽힘이 가능한 줄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장식부재(20)는 상기 스트랩(10)과 결속되는 것으로, 일측 끝단부에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장식부재(20)는 우레탄, 실리콘, 고무 및 피브이시(PVC)와 같은 자체 탄성력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장식부재는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 합성섬유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또한, 장식부재(20)는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부재(20)에는 발광물질(21)이 도포되거나 혼합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 되어진다.
상기 발광물질(21)은 크게 시온안료(21a), 시광안료(21b), 야광안료(21c) 등으로 구성된다. 그 밖에 빛을 발산할 수 있는 여러가지 안료(U.V반응안료)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시온안료(PLASOL THERMOCHROMIC COLORS)(21a)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안료를 말한다. 즉, 열감지 안료를 사용하여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그 색이 변하게 되는데,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색깔이 없어지기 시작했다가 온도가 다시 내려가면 원래의 색으로 되돌아 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신체의 온도에 의해서 색상이 변하는 안료도 있다. 이러한 시온안료(21a)는 약 -15℃에서 70℃ 까지 변온되는 범위에 따라 다양한 색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시광안료(PLASOL PHOTOCHROMIC COLORS)(21b)는 자외선(UV;ultraviolet rays)에 반응하는 것이다. 즉, 시광안료(21b)란 태양빛이나 자외선에 의해서 색깔이 변하는 안료를 말한다. 자외선에 노출되면 색깔이 나타나고, 자외선을 차단하게 되면 색상이 사라진다. 만약에 빛을 받지 않을 경우 흰색을 띄게 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야광안료(21c)는 형광안료(fluorescent pigment)에 포함되는 것으로, 축광안료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무기질인 것과 유기질인 것이 있다. 무기질인 것은 빛을 흡수한 후 빛 자극을 멈춘 뒤에도 어느 정도 계속 빛을 발산하는 것이다.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것은 시계의 바늘에 적용된 사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무기질 형광안료는 알칼리토금속 또는 아연ㆍ카드뮴의 황화물을 모체로 하며, 이것에 형광의 중심이 되는 미량의 금속과, 결정 성장을 촉진시키고 부활제의 결정침투를 쉽도록 하는 융제(녹는점이 낮은 물질)를 첨가하여 800∼1200℃에서 소성한다. 소성 후 물로 씻어 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황화아연 ZnS와 부활제의 조합으로 여러 색의 발광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장식부재(20)에는 반사물질(21')이 부착되거나 혼합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이 반사물질(21')은 빛의 자극을 받는 동안만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 안내표지판과 환경미화원, 경찰이 착용하고 있는 의복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스트랩(10)의 표면에 로고나 문자를 넣고자 할때, 상기 야광안료(21c)와 시광안료(21b), 그리고 시온안료(21a) 중 어느 하나의 안료가 상기 스트랩(10)의 표면에 도포된다. 또한, 둘 이상의 안료가 각각 경계부를 갖도록 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물질(21) 대신 반사물질(21')을 부착하거나 장식부재(2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물질(21)과 상기 반사물질(21')을 동시에 적용시켜 상기 장식부재(20)을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물질(32)은 얇은 재질의 투명한 필름재, 또는 비닐재에 실사출력을 통해 인쇄물을 프린트한 후 상기 장식줄(30)의 표면에 인몰드 사출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몰드 사출(IMD, In-Mold Decoration)은, 필름(Film)을 금형 안에 넣은 상태에서 사출하는 것이며, 이러한 인몰드 사출법은 주지의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인몰딩에 의하여 합성수지 제품의 표면을 장식하기 위하여, 뒷면 또는 앞면이 다양하게 인쇄된 필름을 성형하여 가형상을 만들고, 이 가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음각된 한쪽 금형에 포갠 다음 반대쪽 금형과 필름 뒷면 사이에 플라스틱 사출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극세사천 클리너(40)는 상기 장식부재(20)의 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실직적으로는 이 극세사천 클리너(40)를 이용하여 휴대가 가능한 각종 휴대기기들의 국부를 소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극세사천 클리너(40)는 부드러운 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30)는 상기 장식부재(10)와 상기 극세사천 클리너(40) 사이에 위치된다. 이 탄성체(30)는 솜 또는 스폰지와 같이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재(10)와 상기 극세사천 클리너(40) 사이에 상기 탄성체(30)가 구비된 상태에서 열을 이용하여 고주파 압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10)에는 전자파 차단 섬유(MPF;Metal Plating Fiber)(미도시)가 부착되어진다. 이 전자파 차단 섬유는 구리 순도 99.9%로서, 금속코팅이 가능한 섬유인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이론(Nylon) 아크릴(Acryl) 실크(Silk)등에 니켈, 구리, 니켈을 3차에 걸쳐 1/1000mm로 초박막 무전해 도금 처리한 전자파 차단 및 정전기 방지, 항균용 특수 소재이다. 이러한 전자파 차단 섬유는 상기 극세사천 클리너(40) 또는 상기 탄성체(3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는 장식부재(10)의 전면에 발광물질(21) 또는 반사물질(2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장식부재(10)의 이면에는 극세사천 클리너(40)가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휴대기기의 소제가 필요할 경우 장식부재(10)에 구비된 극세사천 클리너(40)를 이용하여 LCD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발광물질(21)과 반사물질(21')로 인해 주변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빛이 발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트랩에 연결된 장식부재의 전면에는 극세사천 클리너가 구비되어 휴대기기의 LCD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의 이면에는 발광물질 또는 반사물질이 구비되어 어둔운 장소에서도 휴대기기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둘째, 장식부재와 극세사천 클리너 사이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식부재는 소정의 부피를 갖게 되어 사용자는 극세사천 클리너를 휴대기기에 밀착시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휴대기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때 극세사천 클리너와 장식부재가 쿠션과 같은 역활을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셋째, 장식부재에는 시광안료, 야광안료,거나 일체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그러므로, 야광안료로 인해서 주위의 밝기에 따라 장식부재에서 빛이 발산되고, 시광안료로 인해서 장식부재에 자외선이 비쳐지면 색이 변하게 된다. 또한, 시온안료로 인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색이 발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식부재에는 반사물질이 도포되어 야간에 빛을 받게 되면 빛이 반사된다. 그러므로, 발광물질과 반사물질로 인해 어두운 곳에서도 핸드폰이 놓여진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넷째, 장식부재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피브이시(PVC)와 같이 자체 탄성력을 갖는 수지재로 사출 성형된다. 그러므로, 휴대기기에 흠집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다섯째, 장식부재에는 전자파 차단 섬유가 부착되어 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기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의 도 1에 도시된 A-A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트랩 20 : 장식부재
21 : 발광물질 21' : 반사물질
21a : 시온안료 21b : 시광안료
21c : 야광안료 30 : 탄성체
40 : 극세사천 클리너

Claims (7)

  1. 휴대기기에 결속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에 연결되는 장식부재와;
    상기 장식부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극세사천 클리너를 구비하되;
    상기 장식부재의 이면에는 발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상기 장식부재와 혼합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에는 반사물질이 표면에 부착되거나,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시광안료, 야광안료 및 시온안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료가 도포, 또는 장식부재에 혼합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극세사천 클리너 사이에는 탄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우레탄, 실리콘, 고무 및 피브이시(PV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채용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투명한 재질의 필름에 인쇄물이 프린팅되어 상기 필름이 인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에는 전자파 차단 섬유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KR20-2004-0035299U 2004-12-13 2004-12-13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KR200378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299U KR200378663Y1 (ko) 2004-12-13 2004-12-13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299U KR200378663Y1 (ko) 2004-12-13 2004-12-13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663Y1 true KR200378663Y1 (ko) 2005-03-16

Family

ID=4368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299U KR200378663Y1 (ko) 2004-12-13 2004-12-13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6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76B1 (ko) 2005-05-12 2007-03-09 임성훈 휴대폰용 클렌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3278B1 (ko) * 2006-07-05 2008-07-08 (주)베이온 크리너가 구비된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KR101623852B1 (ko) * 2015-10-16 2016-05-24 신유정 장신구용 메달 및 그 메달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76B1 (ko) 2005-05-12 2007-03-09 임성훈 휴대폰용 클렌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3278B1 (ko) * 2006-07-05 2008-07-08 (주)베이온 크리너가 구비된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KR101623852B1 (ko) * 2015-10-16 2016-05-24 신유정 장신구용 메달 및 그 메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34900U (zh) 炫光保护壳及其炫光膜
CN201044438Y (zh) 一种行动电话保护套
CN201365379Y (zh) 一种导光装饰的电子装置外壳
US20180320859A1 (en) Electronics case with light-reflective elements
US8406832B2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KR20110067288A (ko) 휴대 전자 기기용 케이스
US2007003573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hangeable col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78663Y1 (ko) 클리너 겸용 악세사리
CN110557495A (zh) 一种无线反向充电手机套
CN108569000A (zh) 装饰薄膜
KR200378662Y1 (ko) 클리너가 구비된 장식줄
CN210201912U (zh) 一种无线反向充电手机壳
JP4379341B2 (ja) 携帯電話機、その筐体製造方法およびその外装筐体パネル
CN210075345U (zh) 一种tpe或tpu注塑热转印片贴合手机壳
CN210053455U (zh) 一种无线反向充电手机套
JP2002125016A (ja) 携帯電話機
KR20060091131A (ko) 디지털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물 및 그를 이용한 사출물 제조방법
KR200429941Y1 (ko) 휴대용 장식부재
JP4348701B2 (ja) 加飾部材の取付け構造
KR200409100Y1 (ko) 클리너 겸용 장식부재
JP3184654U (ja) 携帯型電子機器用背面カバー
CN214315317U (zh) 一种具有紫外线变色效果的手机及手机保护套
US11511518B2 (en) Wearable surface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768902B1 (ko) 전자기기의 사이드 키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998491U (zh) 显示屏贴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