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768Y1 -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 Google Patents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768Y1
KR200377768Y1 KR20-2004-0036357U KR20040036357U KR200377768Y1 KR 200377768 Y1 KR200377768 Y1 KR 200377768Y1 KR 20040036357 U KR20040036357 U KR 20040036357U KR 200377768 Y1 KR200377768 Y1 KR 200377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main
pot
pots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수
이경애
Original Assignee
장석수
이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수, 이경애 filed Critical 장석수
Priority to KR20-2004-0036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떡잎의 표피에 다양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각인한 종자(種子)가 파종되는 주 화분과, 주 화분의 외부를 감싸면서 선택적으로 주 화분의 상부를 덮어 종자(種子)의 성장 및 성장된 종자의 떡잎에 각인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관찰할 수 있는 보조 화분을 구비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식물재배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어 생명의 소중함 및 관찰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떡잎 표피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다양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이 각인된 식별부를 갖는 종자;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폐쇄됨과 아울러 하부면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종자를 심을 수 있도록 내장된 통상의 상토와, 종자가 심어진 상토를 덮으면서 상토 측으로 급수되는 물을 골고루 분배 안내하는 분배급수대를 갖는 주 화분; 및 포장 또는 이동 할 때에는 주 화분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종자를 재배할 때에는 주 화분의 상부를 폐쇄하여 온실효과 및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종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성장하는 종자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보조 화분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Plants cultivating device for observation}
본 고안은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떡잎의 표피에 다양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각인한 종자(種子)가 파종되는 주 화분과, 주 화분의 외부를 감싸면서 선택적으로 주 화분의 상부를 덮어 종자(種子)의 성장 및 성장된 종자의 떡잎에 각인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관찰할 수 있는 보조 화분을 구비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식물재배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어 생명의 소중함 및 관찰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재배될 식물이 심겨진 상토를 낱개의 화분 용기에 채워 받침 접시에 얹은 상태로 주택의 베란다,거실,병실 및 빌딩의 실내 공간 등에 놓고 실내 정원을 조성하거나 식물들을 가꾸면서 정서적 풍요로움을 맛볼 수도 있고 수목이나 초화류 등의 식물에서 내뿜는 맑은 공기를 마실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화분은 단순하게 종자를 파종하여 식물이 성장하는 모습만을 관찰하기 때문에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떡잎의 표피에 다양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각인한 종자(種子)가 파종되는 주 화분과, 주 화분의 외부를 감싸면서 선택적으로 주 화분의 상부를 덮어 종자(種子)의 성장 및 성장된 종자의 떡잎에 각인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관찰할 수 있는 보조 화분을 구비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식물재배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어 생명의 소중함 및 관찰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떡잎 표피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다양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이 각인된 식별부를 갖는 종자;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폐쇄됨과 아울러 하부면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종자를 심을 수 있도록 내장된 통상의 상토와, 종자가 심어진 상토를 덮으면서 상토 측으로 급수되는 물을 골고루 분배 안내하는 분배급수대를 갖는 주 화분; 및
포장 또는 이동 할 때에는 주 화분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종자를 재배할 때에는 주 화분의 상부를 폐쇄하여 온실효과 및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종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성장하는 종자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보조 화분으로 이루어진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떡잎의 표피에 다양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각인한 종자(種子)가 파종되는 주 화분과, 주 화분의 외부를 감싸면서 선택적으로 주 화분의 상부를 덮어 종자(種子)의 성장 및 성장된 종자의 떡잎에 각인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관찰할 수 있는 보조 화분을 구비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식물재배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어 생명의 소중함 및 관찰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의 사용상태를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화분을 이용하여 주 화분에 물을 주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종자가 성장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100)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자(種子)(110)와, 종자(110)가 심어지는 주 화분(120) 및 포장 또는 이동 할 때에는 주 화분(120)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종자(110)를 재배할 때에는 주 화분(120)의 상부를 폐쇄하여 온실 효과를 주는 동시에 성장하는 종자(110)를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보조 화분(130)을 구비한다.
먼저, 종자(110)는 떡잎의 표피에 다양한 문자, 문양 또는 그림과 같은 식별부(112)가 통상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각인된다. 이러한 종자(110)의 식별부(112)는 관찰자의 상황에 따라 각인된다. 예를 들면, 유아 및 어린이의 경우에는 유아 및 어린이의 이름이 각인되어 관찰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는 병실에서 장기간 치료 중인 환자들의 경우에는 건강을 의미하는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각인하여 관찰자에게 용기와 희망을 가져다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지차체를 식별할 수 있는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을 각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자(110)는 주 화분(120)에 심어지게 된다.
주 화분(120)은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폐쇄됨과 아울러 하부면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배수공(122)이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주 화분(120)의 내측에는 종자(110)를 심을 수 있도록 통상의 상토(124) 및 상토(124)의 상부를 덮어 종자(110)가 심어진 상토(124)가 급수되는 물에 의해서 침강되거나, 침강된 상토(124)에 의해서 심어진 종자(110)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분배급수대(125)가 배치된다. 즉, 분배급수대(125)는 물을 골고루 분배할 수 있도록 원판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에 인접하게는 하측으로 침강된 링 형상의 분배급수로(127)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배급수대(125)의 중앙부분에는 “+”자 형상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 제 1 급수공(128a)이 형성되고, 분배급수로(127)에는 다수의 제 2 급수공(128b)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주 화분(120)의 상부면 상에는 포장 또는 이동할 때에 주 화분(120)에서 상토(124)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종자(110)를 재배 할 때는 주 화분(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용 덮개(126)가 추가로 구비한다.
한편, 보조 화분(130)은 내부를 투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선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보조 화분(130)은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지면서 주 화분(120)과 마찬가지로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면서, 종자(110)를 재배할 때에는 주 화분(120)의 상부에 보조 화분(130)의 상부 일부분이 삽입 고정된다. 이때, 보조 화분(130)의 하부면 상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132)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 화분(130)은 공기유입공(132)을 통해서 종자(110)가 심어진 주 화분(120)에 적확한 용량으로 물을 줄 수 있도록 외주면 하부에서부터 상부 측으로 급수량표시부(136)가 형성된다(도 4참조). 바람직하게는, 보조 화분(130)이 주 화분(120)의 상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 하에서 성장하는 종자(11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급수량표시부(136)에 간섭되지 않게 외주면 상부에서부터 하부 측으로 성장표시부(138)가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100)은 유아, 어린이 및 환자들에게 선물할 수 있도록 별도의 포장박스(도시되지 않음)에 한정된다. 이러한 포장박스 내에는 보조 화분(130)이 먼저 삽입되고, 삽입된 보조 화분(130)에는 주 화분(120)이 삽입된 상태 하에서 상부에는 물받이용 덮개(126)가 배치된다. 이때, 주 화분(120)의 내측으로 별도로 포장된 종자(110), 상토(124) 및 분배급수대(125)가 내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되어 판매되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100)을 이용하여 종자(110)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 화분(120)의 내측에 상토(124)의 80% 정도 담고, 재배하고자 하는 종자(110)에 각인된 식별부(112)가 똑바로 파종되게 상토(124)의 상부에 심는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종자(110)의 두께에 1~2배정도로 나머지 상토(124)를 덮고, 상토(124)의 상부에 분배급수대(125)를 배치시킨 상태 하에서 물을 충분하게 준 후, 관찰하고자 하는 장소에 화분(100)을 위치시킨다. 이때, 분배급수대(125)로 급수되는 물은 분배급수대(125)의 제 1 급수공(128a) 및 분배급수로(127)의 제 2 급수공(128b) 측으로 안내되어 상토(124)에 골고루 급수된다. 바람직하게는 물받이용 덮개(126)는 주 화분(120)의 하부에 배치한다.
또한, 관찰자는 종자(110)가 심어진 주 화분(120)에 온실효과 및 외부 유해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주 화분(120)의 상부에 보조 화분(130)의 상부 일부분을 삽입 고정 시킨다. 이때, 파종된 종자(110)는 보조 화분(130)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32)을 통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으면서 성장하게 된다.
한편, 보조 화분(130)을 통해서 종자(110)에 물을 주기 위해서는 우선, 보조 화분(130)을 주 화분(120)에서 분리한 후, 보조 화분(130)의 하부가 분배급수대(125)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보조 화분(130)이 배치되면, 관찰자는 보조 화분(130)의 외주면 상에 표시된 급수량표시부(136)를 확인하면서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은 공기유입공(132)을 통하여 종자(110)가 심어진 상토(124)로 공급된다.
전술한 작업의 반복되면, 종자(110)는 파종 후 4~7일 후 싹이 떡잎과 분배급수대(125)를 상부로 밀면서 함께 돋아나게 된다. 이때, 관찰자는 보조 화분(130)을 통하여 떡잎에 각인된 식별부(112)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성장표시부(138)를 통하여 성장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자(110)를 대신할 식물로 조직배양묘 또는 삽목묘가 심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100)은 떡잎의 표피에 관찰자의 상황에 따라 각인되는 문자, 문양 또는 그림과 같은 식별부(112)가 형성된 종자(110)와, 종자(110)가 성장되는 주 화분(120)과, 주 화분(120)을 덮는 보조 화분(130)을 구비함으로써, 보조 화분(130)을 통하여 떡잎에 각인된 식별부(112)를 확인할 수 있어 유아 및 어린이들로 이루어진 관찰자들에게는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고, 환자로 이루어진 관찰자들에게는 건강이라는 용기와 희망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보조 화분(130)에 형성된 급수량표시부(136) 및 성장표시부(138)를 통하여 정확한 물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하는 종자(110)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의 사용상태를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화분을 이용하여 주 화분에 물을 주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종자가 성장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110 : 종자
112 : 식별부 120 : 주 화분
122 : 배수공 124 : 상토
125 : 분배급수대 126 : 물받이용 덮개
127 : 분배급수로 128a : 제 1 급수공
128b : 제 2 급수공 130 : 보조 화분
132 : 공기유입공 136 : 급수량표시부 138 : 성장표시부

Claims (5)

  1.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떡잎 표피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다양한 문자, 문양 또는 그림이 각인된 식별부(112)를 갖는 종자(110);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폐쇄됨과 아울러 하부면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배수공(12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종자(110)를 심을 수 있도록 내장된 통상의 상토(124)와, 상기 종자(110)가 심어진 상기 상토(124)를 덮으면서 상기 상토(124) 측으로 급수되는 물을 골고루 분배 안내하는 분배급수대(125)를 갖는 주 화분(120); 및
    포장 또는 이동 할 때에는 상기 주 화분(120)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종자(110)를 재배할 때에는 상기 주 화분(120)의 상부를 폐쇄하여 온실효과 및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상기 종자(1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성장하는 상기 종자(110)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보조 화분(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급수대(125)는 물을 골고루 분배할 수 있도록 원판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에 인접하게는 하측으로 침강된 링 형상의 분배급수로(127)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분배급수대(125)의 중앙부분에는 “+”자 형상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 제 1 급수공(128a)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급수로(127)에는 다수의 제 2 급수공(128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화분(120)의 상부면 상에는 포장 또는 이동할 때에 상기 주 화분(120)에서 상기 상토(124)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종자(110)를 재배 할 때는 상기 주 화분(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용 덮개(126)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화분(130)은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주 화분(120)과 마찬가지로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종자(110)를 재배할 때에는 상기 주 화분(120)의 상부에 상기 보조 화분(130)의 상부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보조 화분(130)의 하부면 상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화분(130)은 상기 공기유입공(132)을 통해서 상기 종자(110)가 심어진 상기 주 화분(120)에 적확한 용량으로 물을 줄 수 있도록 외주면 하부에서부터 상부 측으로 급수량표시부(136)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화분(130)이 상기 주 화분(120)의 상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 하에서 성장하는 상기 종자(11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량표시부(136)에 간섭되지 않게 외주면 상부에서부터 하부 측으로 성장표시부(13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KR20-2004-0036357U 2004-12-22 2004-12-22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KR200377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357U KR200377768Y1 (ko) 2004-12-22 2004-12-22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357U KR200377768Y1 (ko) 2004-12-22 2004-12-22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768Y1 true KR200377768Y1 (ko) 2005-03-14

Family

ID=4367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357U KR200377768Y1 (ko) 2004-12-22 2004-12-22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7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0258C (en) A holder for plants and a method for at least two of growing, transporting and offering for sale of the plants
KR20120060116A (ko) 식물 관찰용 키트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GB2418587A (en) biodegradable planting container
KR200377768Y1 (ko) 관찰용 식물재배 화분
KR20210078062A (ko) 식물 재배 장치
US20090173003A1 (en) Plant care device
KR101303785B1 (ko) 식물 관찰용 키트
KR200402372Y1 (ko) 캔 화분
CN2323574Y (zh) 一种可观赏植物生长全过程的花盆
KR20120012882A (ko)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
CN206851479U (zh) 逆重力栽培装置
JP5981494B2 (ja) 植物栽培万能ポットと収納トレー
KR20160064910A (ko)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 및 화분 받침대
JPH0220224A (ja) 袋詰め栽培床及び植物の植え付け方法並びに植え換え方法
KR200360837Y1 (ko) 수경 재배용 화분
US20230088948A1 (en) Shaman&#39;s Germinator
JP2014000066A (ja) 植物育成容器
CN207766976U (zh) 一种花盆组合装置
KR200364363Y1 (ko) 향발산 캔 화분
KR200404339Y1 (ko) 식물재배용 화분
KR920006895Y1 (ko) 화초 재배용 화분 습도계
JP3059657U (ja) 花及び野菜等の育苗箱装置
KR200388906Y1 (ko) 새싹재배용 파종망
KR200399055Y1 (ko) 식물재배관찰용 배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