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882A -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 - Google Patents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882A
KR20120012882A KR1020100074945A KR20100074945A KR20120012882A KR 20120012882 A KR20120012882 A KR 20120012882A KR 1020100074945 A KR1020100074945 A KR 1020100074945A KR 20100074945 A KR20100074945 A KR 20100074945A KR 20120012882 A KR20120012882 A KR 20120012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mugwort
distribution
herb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598B1 (ko
Inventor
김병호
이수로
박종수
오대민
허북구
Original Assignee
광양시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양시청 filed Critical 광양시청
Priority to KR102010007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농업 소비자들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시 쑥 종묘를 용도에 맞게 구입한 후 최 단기간에 재배하여 이용할 수 있는 쑥 종묘 유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쑥 묘의 유통 방법은 묘를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방법, 묘를 용기에 식재 후 재배한 다음 예취를 하고 저온저장을 하면서 유통시키는 방법, 쑥의 근경이나 묘를 비롯해 이용에 필요한 것들을 패키지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시농업 및 원예치료용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Method for distribution of wild vegetables by the package}
도시농업 소비자들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시 나물 종묘를 용도에 맞게 구입한 후 최단기간에 재배하여 이용할 수 있는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도시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은 도시민들로 하여금 농촌에 대한 동경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Lee 등, 2006). 도시민들은 농촌에 대한 욕구 해소 차원에서 도시 외곽의 주말농장뿐만 아니라 도시 내의 공터 및 가정에서도 식물을 가꾸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Do 등, 1999). 학교에서는 자연학습을 목적으로 식물의 도입이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원예치료의 활성화에 힘입어 교구로서 식물의 도입도 증가하고 있다(Kim 등, 2005; Lee 등, 2000). 그런데 식물은 생명체로서 전문적인 재배 관리 기술뿐만 아니라 재배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재료와 도구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식물을 도입하여 가꾸고자 하는 마음이 있어도 쉽게 도입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또 도시민들이 자연과 농촌에 대한 동경차원에서 도입하는 식물들이나 학교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을 위해 도입하고 있는 식물들은 대부분이 서양 원산인 식물이어서 우리의 정서와 동떨어진 것들이 많다(Kwack과 Kwack, 1998).
그런데 우리나라 원산의 식물을 도입하려고 해도 유통 환경상 쉽게 구입하기가 어려우며, 재배 관리 측면에서도 자재와 자료가 많지 않은 게 현실이다. 특히 나물자원의 경우 우리 민족과 정서적으로 맞으며, 대부분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등 생리활성 물질 함량이 높고(Chon 등, 2008; Heo 등, 2007), 항암, 항당뇨 등 기능성 효과가 좋다(Chon 등, 2009; Heo 등, 2009).
따라서 나물자원식물을 소비자들이 쉽게 구입하여 최단기간에 재배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패키지를 하여 제공하면 소비자 스스로가 재배했기 때문에 애정을 가질 수 있고, 농약오염 등의 걱정도 줄일 수가 있다. 학교 수업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에 있어서도 우리 민족과 정서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활용 폭이 넓고, 종묘에서 재배관리에 필요한 자재들을 일일이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이 부분에 대한 연구나 자재개발은 미미한 상태이다.
나물은 이처럼 활용처가 폭넓은 것과 함께 재배가 용이하고, 전통나물자원으로 친근감이 매우 높은 식물이지만 가정, 학교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용으로 종묘를 구입하여 쉽게 재배할 수 있는 패키지 및 유통기술은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시농업 소비자들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시 니물 종묘를 용도에 맞게 구입한 후 최단기간에 재배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지 또는 포트에 나물을 삽목 내지 근경 번식 후 재배, 예취한 다음 노지 또는 무가온 시설에서 월동을 한 다음 그 다음해에 맹아를 시킨 후에 유통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지 또는 포트에 나물을 삽목 내지 근경 번식 후 재배, 예취한 다음 노지 또는 무가온 시설에서 월동을 한 다음 그 다음해에 맹아를 시킨 후에 유통 용기에 식재하고 재배, 예취한 다음 저온 저장하여 유통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지 또는 포트에 나물을 삽목 내지 근경 번식 후 재배, 예취한 다음 노지 또는 무가온 시설에서 월동을 한 다음 그 다음해에 근경을 굴취한 후 재배 용기, 굴취한 근경, 재배 용토를 포함하는 패키지를 구성하여 유통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물 묘의 유통 방법은 묘를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방법, 묘를 용기에 식재 후 재배한 다음 예취를 하고 저온저장을 하면서 유통시키는 방법, 나물의 근경이나 묘를 비롯해 이용에 필요한 것들을 패키지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시농업 및 원예치료용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높이 8.5cm, 입구 직경 10cm 및 바닥부위 직경이 7.5cm인 포트에서 쑥이 자라는 사진이다.
도 2a, b, c, d는 플라스틱 용기(W 12.5 x L 20.0 x H 10.0cm)에 쑥 재배에 필요한 용기, 나물 종묘, 원예상토, 배수층 용토, 식물영양제, 재배관리 설명서 및 이용법 설명서 등을 패키지한 다음 이를 활용하여 종묘의 식재에서 수확까지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2a는 쑥 종묘 패키지 구성, 도 2b는 쑥 종묘의 맹아 및 생장, 도 2c는 쑥 종묘의 생장, 도 2d는 쑥의 수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쑥 묘가 준비되면 묘를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묘를 용기에 식재 후 재배한 다음 예취를 하고 나서 저온저장을 하면서 유통시키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쑥의 근경이나 묘를 비롯해 재배 및 이용에 필요한 것들을 패키지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Ⅰ재료 및 방법
1. 쑥
쑥은 전남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에서 채취한 것을 이용하였다.
2. 쑥의 용도별 소요량
쑥의 용도별 소요량은 용도를 전, 쑥국, 쑥버무리기, 쑥떡, 천연염색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우선, 전, 쑥국, 쑥버무리기 및 쑥떡용은 광양 지역의 70세 이상의 고령자 5명에게 신선한 쑥을 제공한 다음 용도별 관행적으로 사용한 쑥의 양을 분리하게 한 다음 무게를 측정한 평균값으로 하였다. 스카프의 천연염색에 적당한 쑥의 소요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스테인리스 용기에 물 1.5L와 쑥을 각각 20, 40 및 60g씩 넣어 100에서 20분간 염료를 추출하였고, 염액에 시약용 1급인 명반(Dusan Chemical Co., Ltd., Korea) 1%를 첨가하여 70℃에서 100% 견직물인 스카프를 20분간 염색 후 수세와 건조를 하였다. 염색한 스카프는 30대의 여성 5명에게 좋은 것을 선별하게 한 다음, 그 스카프에 사용된 쑥의 양을 천연염색에 소요되는 쑥의 소요량으로 하였다.
3. 쑥 종묘의 유형별 수확까지의 소요기간 및 수확량
쑥 종묘 유형은 실생, 삽목묘 및 1년생 근경으로 구분하였는데, 실생은 2010년 4월 5일에 파종을 하였으며, 삽목을 5월 5일에 마사토에 삽목하였으며, 1년생 근경은 2009년에 생장한 근경을 이용하였다. 수확까지의 기간은 묘의 크기가 10cm 일 때를 기준으로 하였다. 분지수는 근경에서 분지된 줄기 개수로 하였다. 무게는 신선중을 저울(HS 210A, China)로 측정하였다.
쑥의 종묘 유형에 따른 생장반응 조사는 근경을 저장한 것과 예취한 것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근경을 저장한 것은 3월 26일에 근경을 굴취 후 저온(3-4)에서 저장을 하였다가 6월 6일 및 6월 27일에 식재하였다. 예취한 것은 3월 26일에 근경을 굴취하여 포트에 식재한 후 6월 6일에 예취한 것과 쑥을 예취 후 포트를 저온(3-4)에 저장해 두었다가 6월 27일에 식재한 한 후 3일 마다 초장을 조사하였는데, 초장은 지면에서부터 쑥의 최대 높이까지로 하였다.
4. 용기 크기와 쑥의 수확량
용기 크기와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은 용기를 3종류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포트묘는 직경 10cm, 높이 8.5cm인 포트에 원예용 상토(동부하이텍, 서울)를 넣은 후 2년생 근경을 식재하였다. 플라스틱 용기는 크기가 12.5 x 18.0 x 5.5cm 및 12.5 x 20.0 x 10.0cm인 직사각 플라스틱 용기에 원예용 상토를 채운 뒤 맹아가 1cm 정도 된 쑥 2본씩을 3월 28일에 식재하여 재배하였다. 쑥의 크기는 버니어캘리버스(Mitutoyo, SER 60487754, Japan)를 이용하여 초장, 최대엽장, 최대 엽폭을 조사하였다. 잎수는 엽장이 1cm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개수를 조사 하였다. 무게는 저울(HS 210A, China)을 신선중을 측정하였다. 수확은 4월 28일에 1차로 실시하고, 6월 11일에 2차 수확을 하였다. 수확시 개수는 줄기 개수로 초장이 2.0cm 이상 자란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확량은 지상부 1cm 높이에서 자란 줄기와 잎의 무게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5. 유통조건에 따른 쑥 종묘의 품질
유통기간 중의 쑥묘 품질 조사는 묘를 근경(수태+비닐 봉지), 줄기에 잎이 있는 상태의 묘(수태+비닐봉지), 쑥이 용기에 자라고 있는 상태(용기에 식재된 상태), 쑥을 1차 예취 후 1주일이 경과한 묘(수태+비닐봉지)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이 때 수태는 수분함량이 70-80%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묘는 용기에 식재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수태에 적층한 다음 비닐 팩에 넣고, 저온(3-4)과 6월말의 상온에서 저장하였다. 생존율은 3일 동안 저장한 묘를 원예용 상토를 넣은 용기에 식재해 놓고 15일간 관행적으로 관리를 한 다음 각각의 개체에 대한 생존 여부를 조사하였다.
엽색의 변화는 저장해 두었던 것을 1일 간격으로 꺼내 색도값을 측정하였다. 색도값은 색차계(CR-300, Minolta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색도는 Hunter scale에 의하여 L값(lightness: 0=black, 100=white), a값(red-green: +80=red, -80=green), b값(yellow-blue: +80=yellow, -80 =blue)을 기준으로 측색하였다. 색차를 나타내는 ΔE값은 "ΔE=[(ΔL)2+(Δa)2+(Δb)2]1/2"식으로 산출하였다.
6. 쑥 종묘 패키지 개발
쑥 종묘 패키지 개발은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 용기(W 12.5 x L 20.0 x H 10.0cm)에 쑥 종묘, 원예상토, 배수층 용토, 식물영양제, 재배관리 설명서 및 이용법 설명서 등을 패키지화하였는데, 용기는 포장 용기 자체를 식재용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한 쑥 종묘 패키지의 적용성 검토에 사용한 쑥 종묘는 근경 번식 후 2년차인 쑥 근경을 식재하여 4월 28일에 1차 수확한 포기를 이용하였다. 상토는 원예용으로 제품화되어 있는 원예용 상토(동부하이텍, 서울)를 이용하였으며, 그 외 사항은 관행에 의해 재배 및 관리하였으며, 생장성 조사는 " 용기의 크기와 쑥 수확량"조사에서 실시한 방법과 같이 하였다.
쑥 종묘 패키지를 이용하여 재배한 쑥의 염색성 조사를 위한 염색은 피염물과 염재의 준비, 염료 추출 및 염색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피여물은 100% 견직물인 스카프로 Hunter value에서 L값은 99.60, a값은 -0.10, b값은 0.59이었으며, H값은 1.2YR, V값은 9.6 및 C값은 0.3이었다. 염재는 쑥 40g을 양파망에 넣어서 준비하였으며, 염료 추출은 양파망에 넣은 쑥을 스테인리스 용기에 놓고, 수돗물 1.5L를 붓고 나서 20분간 100로 끓여서 추출 하였다. 매염은 각각의 추출물에 실험용 시약 1급인 명반(Samchun Chemical Co., Ltd., Korea), 황산제1철(Dusan Chemical Co., Ltd., Korea) 및 황산구리(Dusan Chemical Co., Ltd., Korea)를 각각 1%씩 희석하여 동시 매염으로 하였으며, 염색은 70±4℃에서 20분간 실시하였다. 염색을 마친 것은 수돗물로 충분히 수세 및 그늘에서 건조한 다음 색도를 조사하였다. 염색된 견 스카프의 색도 조사는 엽색의 색도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Munsell 표색계 HV/C 값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L, a b값으로 부터 산출하였다.
7. 쑥 종묘의 유통 유형
쑥 종묘의 유통 유형은 쑥의 용도, 맹아, 생장, 유통상의 품질 등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쑥 종묘 출하시의 상태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즉, 쑥 묘를 용기에 식재하여 곧바로 또는 맹아가 1cm정도 될 때 까지 재배한 다음 유통하는 방법, 묘를 저온저장 해두고 유통시기를 조절하는 방법 및 쑥의 근경이나 묘를 포함해 재배 및 이용에 필요한 것들을 패키지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을 설정한 다음 그에 따른 유통단계와 방법을 유형화하였다.
Ⅱ. 결과 및 고찰
1. 쑥의 용도별 소요량
쑥의 용도에 따른 종묘의 소요 양과 재배 용기 크기를 산출하기 위해 용도별 소요량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1(소비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쑥의 용도별 소요량)에 나타내었다. 쑥의 용도는 생약용, 요리 등 다양하지만 도시민들이나 원예치료 프로그램용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것에는 전, 쑥국, 쑥버무리기, 쑥떡, 천연염색 등이 있는데, 전, 쑥떡 및 쑥버무리기 200g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10, 15 및 40g이, 스카프 1개를 염색하는 데는 40g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 정도의 양을 수확할 수 있는 종묘의 유통이나 재배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쑥은 수확 시기 및 횟수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있는데, 1차 채취한 것은 쑥국, 쑥버무리기 및 전에 활용하는 것이 좋고, 2차 또는 3차 수확한 것을 천연 염색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용도 기준 신선한 쑥의 소요량(g)
200g 10
쑥국 성인 1인 15
쑥버무리기 200g 40
쑥떡 200g 80
천연염색 스카프 1개(견직물 50g) 40
2. 쑥 종묘 유형별 수확까지의 소요기간 및 수확량
쑥의 식재에서 수확까지 기간과 수확량 예측을 위해 쑥 종묘의 유형별 수확까지의 기간과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2년생 근경을 사용했을 때는 실생이나 삽목 묘를 이용한 것에 비해 수확기간이 짧고 수확량이 많았다(쑥의 종묘 유형이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하기 표 2 참조). 근경을 굴취하여 식재한 것은 초장이 10cm까지 자란 수확기까지 24일 소요되었으며, 근경 1개당 4.3개의 분지가 되어 수확량이 많았다. 반면에 종자를 파종한 발아 후 수확기까지 39일이 소요되었으며, 수확시 잎이 작고 무게도 0.3g에 불과하였다. 삽목묘 또한 수확기 까지 32일이 소요되었고, 1차 수확시 무게도 2.1g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나물용은 수확량 및 생육 측면에서는 2년생 근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대부분의 약용식물은 재배년수에 따라 성분변화가 많다(Choi 등, 2008)는 점에서도 2년생 묘의 이용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형 수확까지의 기간(일) 분지 수 1차 수확시 수확량(g)
실생 39 0 0.3
삽목묘 32 0 2.1
1년생 근경 25 4.3 13.2
한편, 쑥을 식재하거나 예취를 한 후에 싹이 나오기까지는 일정기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근경을 식재하였거나 줄기를 자른 후 싹이 나올 때까지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생산자가 관리를 한 다음 싹이 나오기 시작하는 시기에 출하를 하면 소비자들이 관리하는 기간을 그 만큼 줄일 수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근경을 식재한 것과 줄기를 예취한 후 싹이 나오기까지의 기간 및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수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쑥의 종묘 유형이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나타내었다. 근경을 굴취하여 수태와 함께 3-4에서 저장을 하였다가 6월 6일에 식재한 것은 수확까지 21일 소요되었으며, 여름철에 접어든 6월 27일에 식재한 것은 18일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6월 6일의 식재에 비해 6월 27일에 식재한 것에서 수확까지의 기간이 단축된 것은 근경의 저온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싹이 저온 상태에서 맹아 된 것과 더불어 식재기가 6월 6일에 비해 고온기이고, 이에 따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근경을 3월 26일에 식재하여 재배한 후 6월 6일에 예취하여 식재한 것은 맹아까지 1주일이 소요되었고, 수확까지 27일 소요되었으며, 6월 6일에 예취하여 3-4에서 저장을 해 두었다가 6월 27일에 식재한 것은 맹아까지 1주일이 소요되었고, 수확까지 21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근경을 굴취하여 저온 저장을 한 것은 출하 후 곧바로 싹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소비자들이 곧바로 재배를 해도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줄기를 자른 묘들은 예취 후 맹아까지 6-7일이 소요되므로 이 기간 동안 생산자들이 관리를 한 다음 출하를 하게 되면 소비자들은 20일 정도만 관리를 해도 수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쑥에 대한 관리 지식이 많이 없어도 도시민들이 가정에서 직접 가꾼 쑥의 이용,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 및 학교에서 생물교육 등에 쉽게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지만 출하를 너무 늦추게 되면 그만큼 소비자들이 관리하는 기간은 짧아지지만 유통과정에서 싹이 부러지거나 잎의 황변현상 등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생육장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종묘 유형 식재일
(월. 일)
식재 후 일수에 따른 초장(cm)
3일 6일 9일 12일 15일 18일 21일 24일 27일
근경 저장(3월 26일) 6. 6 0.4 1.2 3.5 4.8 6.1 7.7 11.2 - -
근경저장(3월 26일) 6. 27 1.1 4.0 7.0 8.4 9.5 10.2 - - -
예취(6월 6일) 6. 6 0 1.1 3.0 3.8 4.5 6.9 8.4 9.2 11.2
예취(6일 6일)+저온저장 6. 27 0 1.2 3.0 4.7 7.6 8.8 11.6 - -
3. 용기 크기와 쑥의 수확량
쑥의 용도별로 필요한 양을 재배하기에 적당한 용기 크기를 구명하고자 용기 크기에 따른 쑥의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높이 8.5cm, 입구 직경 10cm 및 바닥부위 직경이 7.5cm인 포트(도 1 참조)에 재배시 수확량은 13.27g이었다(근경을 포트에 식재하여 재배한 쑥의 생장과 수확량을 나타낸 하기 표 4 참조, 참고로 표 4의 결과는 3월 28일에 식재하여 4월 28일에 1차 수확하여 얻은 것이다 ).
크기가 12.5 x 18.0 x 5.5cm 및 12.5 x 20.0 x 10.0cm인 직사각 플라스틱 용기에 쑥 2본씩을 식재하여 재배한 후 최대 초장이 11cm가 되었을 때 수확량은 1차 수확시에 각각 35.6 및 39.4g을 수확하였다(쑥의 최대 초장 11cm가 자랐을 때 기준으로 재배용기 크기에 따른 수확량을 나타낸 하기 표 5 참조, 표 5는 3월 28일에 식재하여 4월 28일에 1차 수확, 6월 11일에 2차 수확하여 얻은 결과이다).
따라서 포트 묘 2개를 구입하거나 2개가 심어진 용기를 1개를 재배하면 표 1을 고려할 때 4인 가족 기준 국거리 등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유기농 농산물 등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묘 상태에서 구입하여 재배하면 농약 오염의 걱정이 없고, 스스로 재배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구입한 것보다 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생산자 입장에서는 소비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용도에 따라 표 5의 용기 크기를 고려하여 종묘, 용토, 재배설명서 등을 패키지로 하여 공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용기는 새싹 채소용기, 아이스크림 용기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저렴하고 다양한 형태의 것이 출시되고 있으므로 이들 용기를 이용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줄기 초장(cm) 잎수(개수) 잎 크기(cm) 줄기 직경(cm) 무게(g)
최대 엽폭 최대 엽장
1 11.2 10.2 4.4 5.6 0.14 4.10
2 11.0 10.0 4.2 5.2 0.14 3.85
3 8.4 8.8 4.0 4.6 0.13 2.44
4 6.6 6.4 2.6 4.2 0.12 1.86
5 5.2 5.6 2.0 3.8 0.11 1.02
합계 42.4 41.0 17.2 23.4 0.64 13.27
사용한 용기 용기크기(cm) 식재본수(개수) 1차 수확시 줄기 개수 1차 수확시 수확량(g) 2차 수확시 수확량(g)
종류 가로 세로 높이
포트 10.0 10.0 8.5 1 5.2 13.3 18.3
플라스틱 통(A) 12.5 18.0 5.5 2 17.4 35.6 45.2
플라스틱 통(B) 12.5 20.0 10.0 2 21.3 39.4 52.1
4. 유통조건에 따른 쑥 종묘의 품질
택배 등으로 유통을 할 때 쑥 종묘의 적응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묘를 상온에서 3일간 암 상태로 저장한 다음 식재하여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냈다. 근경 및 줄기에 잎이 있는 상태의 묘를 이끼에 적층한 다음 저장한 것은 3일 후에 식재를 하여도 100% 생존과 생장을 하였다. 쑥을 1차로 예취한 후 1주일이 경과된 묘 또한 용기에 식재된 채로 상온 저장을 해 두었다가 꺼내도 100% 생존과 생장을 하였다.
그러나 쑥이 용기에서 자라고 있는 상태의 것을 용기째 3일간 저장한 것에서는 85%만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이후의 생장도 좋지 않았는데, 이는 건조에 의한 쑥의 고사가 주요 원인이었다.
따라서 근경 및 줄기에 잎이 있는 상태의 묘를 유통시키거나 소비자들이 최소한의 기간 동안 재배 관리를 한 다음 바로 수확할 수 있도록 쑥을 1차로 예취한 후 1주일 정도 재배관리를 한 다음 출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묘 유형 포장 및 충진물 저장일수에 따른 생존율(%)
0일 1일 2일 3일
근경 수태+비닐 봉지 100 100 100 100
줄기에 잎이 있는 상태의 묘 수태+비닐봉지 100 100 100 100
쑥이 용기에서 자라고 있는 상태 용기에 식재된 상태 100 100 100 85
쑥을 1차 예취 후 1주일이 경과한 묘 수태+비닐봉지 100 100 100 100
한편, 잎이 있는 상태의 묘나 출엽이 된 묘가 용기에 식재된 채로 암흑 상태에서 유통되면 잎의 황화 등에 의한 품질 저하가 문제 시 된다. 그러한 측면에서 잎이 달린 쑥 묘를 수분 함량이 70-80%인 수태에 적층하여 저온 및 상온에서 저장을 하면서 잎의 색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저장 전에 38.0이었던 것이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져 3일째에는 저온 유통의 경우 41.5를 나타냈으며, 상온 유통에서는 56.7를 나타냈는데, 이는 색이 밝아진 것으로 황화에 의한 것이었다. 색 좌표상에서 적색(+방향)과 녹색(-방향) 정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저온 유통의 경우 큰 변화가 없었으나 상온 유통의 경우에는 저장 0일째에는 -12.8이었던 것이 저장 3일째에는 -6.4로 적색방향으로 이동하였다. 색 좌표상에서 황색(+방향)과 청색(-방향) 정도를 나타내는 b값은 저장 전에 18.6이었던 것이 저장 3일째는 저온 유통의 경우 31.8, 상온 유통의 경우 42.6을 나타내어 황색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유통 3일째의 E값은 저온 유통의 경우 13.66을 나타냈으나 상온 유통을 한 경우에는 31.09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3일 정도는 유통을 해도 되지만 상온에서는 다소 황변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저온에서 유통을 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조건 경과 일수(일) 유통기간 중의 헌트값
L a b E 값
저장 전 0 38.0 -12.8 18.6 0.0
저온 유통

1 39.2 -13.0 28.8 10.27
2 40.5 -12.6 30.9 12.55
3 41.5 -13.2 31.8 13.66
상온 유통

1 39.0 -11.0 30.6 12.18
2 43.2 -8.8 32.9 15.73
3 56.7 -6.4 42.6 31.09
5. 쑥 종묘 패키지의 개발
쑥은 상기 표 6 및 7에서와 같이 종묘 상태에서 3일 정도 유통을 해도 품질 저하가 크게 일어나지 않았고, 표 3에서와 같이 1차 예취(수확)한 묘 등은 식재에서 2차 수확까지의 기간이 27일 이내로 짧기 때문에 쑥 재배에 필요한 용기, 쑥 종묘, 원예상토, 배수층 용토(숯과 펄라이트), 식물영양제, 재배관리 설명서 및 이용법 설명서 등을 패키지화하여 도시의 소비자들이나 교구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용으로 제공하면 매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종묘의 식재에서 수확까지 과정을 나타내는 도 2와 같이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 용기(W 12.5 x L 20.0 x H 10.0cm)에 쑥 재배에 필요한 용기, 쑥 종묘, 원예상토, 배수층 용토, 식물영양제, 재배관리 설명서 및 이용법 설명서 등을 패키지한 다음 이를 활용하여 27일간 재배한 결과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표 8(표 8은 쑥의 패키지를 이용하여 재배한 쑥의 크기와 수확량을 나타내며, 4월 4일에 식재하여 4월 27일에 1차 수확하여 얻은 결과이다)과 같이 33.74g을 수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민들이 시장에 출하된 쑥 대신 쑥 재배 패키지를 구입하여 쉽게 생산 및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 꽃이나 관상식물 재배와 같은 생명력을 근간으로 하는 취미활동은 TV시청과 같은 생명력이 없는 매개체를 통해 얻게 되는 취미활동에 비해 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Lewis, 1996) 취미활동 재료로 활용해도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쑥뿐만 아니라 쑥부쟁이, 구절초, 비비추, 취나물, 방아풀(배초향) 등은 나물자원으로 이용되고, 근경의 월동이 용이하다(Choi와 Lee, 1994)는 점에서 이들 식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개체 초장(cm) 잎 수(개수) 잎크기(cm) 줄기 직경(cm) 생체중(g)
최대 엽장 최대 엽폭
1 15.2 9.2 14.2 5.4 0.41 5.03
2 13.1 8.6 14.2 5.2 0.40 4.88
3 12.4 8.6 14.0 5.0 0.39 4.84
4 12.2 8.5 13.8 5.0 0.35 3.38
5 12.2 8.2 12.8 4.8 0.36 3.14
6 11.4 8.0 12.6 4.6 0.39 2.85
7 9.5 7.6 11.4 4.4 0.35 2.51
8 9.0 7.4 9.8 3.8 2.90 1.78
9 9.0 7.2 8.8 3.6 2.87 1.22
10 8.0 6.8 8.2 3.6 2.43 1.05
11 7.5 6.6 7.0 3.0 2.33 1.01
12 7.0 5.4 6.8 2.4 2.22 0.58
13 6.5 5.2 6.6 2.4 1.67 0.55
14 5.0 4.4 4.0 1.8 1.45 0.28
15 4.0 4.2 4.0 1.8 1.22 0.22
16 3.6 3.8 3.8 1.4 1.23 0.22
17 2.9 3.4 3.8 1.4 1.18 0.20
합계 148.5 113.1 155.8 59.6 22.15 33.74
쑥은 다양하게 이용되는데, 그 중에서 가정이나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 및 교육현장에서 쉽게 진행할 수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천연염색이다(Jeon, 2009). 그래서 개발한 쑥 재배 패키지를 활용하여 쑥을 재배한 다음 생산된 것을 염재로 하여 스카프의 염색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9(용기에서 재배한 쑥을 이용하여 동시 매염시의 염색성)에 나타냈다. 색상은 명반과 철 매염시 그린계열로 H값은 각각 1.72G, 4.38G를 나타냈다. 황산구리 매염시는 옐로우계열로 H값은 9.10Y를 나타내어 매염제 종류에 따른 색상 차이를 나타냈다. 명도값을 나타내는 L값과 V값은 철 매염시에 가장 낮아 어두운 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쑥 재배 패키지를 이용하여 재배한 쑥만으로도 스카프를 염색할 수 있어 쑥 재배 패키지는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매염제 헌트값 먼셀값
L a b E H V C
무염색 99.60 -0.10 0.59 0.00 1.2YR 9.81 0.3
명반 90.60 -9.44 29.0 31.23 1.72G 8.91 3.42
FeSO4 7H2O 60.48 -2.62 3.48 39.31 4.36G 4.20 0.66
황산구리 74.12 -6.46 20.22 32.79 9.10Y 7.64 2.94
6. 쑥 종묘의 유통 유형
쑥 종묘는 표 2-8에서와 같은 유통상의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도 3, 4, 5와 같은 방법으로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우선, 표 2의 결과를 고려할 때 종묘는 1년차에 삽목이나 근경으로 번식 한 후 재배하였다가 분열 촉진을 위해 예취를 한 후 다시 재배 관리를 하고, 그 다음해에 채취한 묘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쑥 묘가 준비되면 묘를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방법(도 3 참조), 묘를 용기에 식재 후 재배한 다음 예취를 하고 나서 저온저장을 하면서 유통시키는 방법(도 4 참조) 및 쑥의 근경이나 묘를 비롯해 재배 및 이용에 필요한 것들을 패키지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도 5 참조)이 대표적인 유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도 3의 유통 방법은 1년 동안 양성한 쑥 근경을 이른 봄에 플라스틱 용기 등에 식재하여 맹아를 시킨 다음 유통을 하게 되면 소비자들은 생산자가 수확한 쑥을 시장이 아닌 가정에서 간단하게 재배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4는 생산자가 쑥 근경을 간단한 용기에 식재하여 예취를 한 다음 저온저장을 해 두고 소비자의 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교구용이나 복지 프로그램용으로 활용하기에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5는 소비자들이 직접 용기에 용토를 넣고, 묘를 심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Ⅲ 가정원예, 학교 자연학습, 원예치료 등 복지 프로그램용으로 활용하기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쑥 종묘 유통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진행용 및 교구용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지자체에서는 이른 봄 지역을 찾아온 관광객들에게 제공하여 지역의 이미지를 좋게 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업체에서는 차별화된 사은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제안한 쑥의 유통기술의 도입과 활용은 도시농업의 활성화, 자연학습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Ⅲ. 적 요
도시농업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용 나물 종묘 유통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쑥을 재료로 하여 용도별 쑥의 소요량, 종묘 유형별 수확기 까지 소요일 및 수확량, 용기 크기와 쑥의 수확량, 유통조건에 따른 쑥 종묘의 품질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쑥 종묘의 패키지 개발 및 쑥 종묘의 유통 방법을 유형화 하였다. 쑥의 용도별 소요량은 전, 쑥떡 및 쑥버무리기는 200g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10, 15 및 40g이, 스카프 1개를 염색하는 데는 40g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장 10cm를 기준으로 종묘 유형별 쑥의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은 실생이 39일, 삽목묘 32일, 1년생 근경이 25일이었으며, 1차 수확시 수확량은 각각 0.3, 2.1 및 13.2g이었다. 쑥의 근경 및 묘를 예취한 것을 식재하면 27일 이내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용기 종류 및 크기를 달리하여 식재한 결과 1차 수확시 포트(H 8.5 x R 10cm)에서는 13.3g, W 12.5 x L 18.0 x H 5.5cm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35.6g, W 12.5 x L 20.0 x H 10.0cm 용기에서는 39.4g을 수확할 수 있었다.
종묘는 저온에서 3일 동안 유통을 시켜도 품질의 변화가 없었다. 쑥 묘와 함께 용기, 원예상토, 배수층, 식물영양제, 재배관리 설명, 이용설명서 등을 패키지로 한 것을 이용하여 1개월 이내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쑥뿐만 아니라 근경을 갖는 나물 묘의 유통은 묘를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방법, 묘를 용기에 식재 후 재배한 다음 예취를 하고 저온저장을 하면서 유통시키는 방법, 나물의 근경이나 묘를 비롯해 이용에 필요한 것들을 패키지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이 도시농업 및 원예치료용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Claims (9)

  1. 노지 또는 포트에 나물을 삽목 내지 근경 번식 후 재배, 예취한 다음 노지 또는 무가온 시설에서 월동을 한 다음 그 다음해에 맹아를 시킨 후에 유통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2. 노지 또는 포트에 나물을 삽목 내지 근경 번식 후 재배, 예취한 다음 노지 또는 무가온 시설에서 월동을 한 다음 그 다음해에 맹아를 시킨 후에 유통 용기에 식재하고 재배, 예취한 다음 저온 저장하여 유통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3. 노지 또는 포트에 나물을 삽목 내지 근경 번식 후 재배, 예취한 다음 노지 또는 무가온 시설에서 월동을 한 다음 그 다음해에 근경을 굴취한 후 재배 용기, 굴취한 근경, 재배 용토를 포함하는 패키지를 구성하여 유통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물은 쑥, 쑥부쟁이, 구절초, 비비추, 취나물 및 배초향(방아풀)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물의 묘는 초장이 0.8 내지 1.2cm일 때까지 맹아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용기는 폭(W)이 12.5cm, 길이(L)가 20.0cm 및 높이(H)가 10.0cm인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후 저온 저장은 3 ~ 5 ℃에서 20 ~ 60 일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8.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저장 후 출고한 묘는 상온에서 6 ~ 10 일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굴취한 상기 나물 근경은 수분이 70 ~ 90 %인 수태에 감싸서 비닐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종묘 유통 방법.
KR1020100074945A 2010-08-03 2010-08-03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 KR101214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45A KR101214598B1 (ko) 2010-08-03 2010-08-03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45A KR101214598B1 (ko) 2010-08-03 2010-08-03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882A true KR20120012882A (ko) 2012-02-13
KR101214598B1 KR101214598B1 (ko) 2012-12-27

Family

ID=4583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45A KR101214598B1 (ko) 2010-08-03 2010-08-03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284B1 (ko) 2013-06-14 2014-09-02 영 성 왕 사계절 시설관리를 통한 식용채소 수확량 조절방법
CN105075481A (zh) * 2015-09-30 2015-11-25 龙胜泓文生态农林科技贸易有限公司 一种药用菊花的施肥方法
CN105103932A (zh) * 2015-09-30 2015-12-02 龙胜泓文生态农林科技贸易有限公司 菊花的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036A (ja) * 2003-04-09 2004-11-04 Yazaki Corp 植物代用ユニット、植物輸送用パック、及び、植物パッケージ輸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598B1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her et al. Horticulture: Principles and practices
CN104488670B (zh) 柑桔苗木的繁育方法
CN106472121A (zh) 一种观赏盆栽猕猴桃嫁接多个猕猴桃品种的栽培方法
Krisnawati et al. Aleurites moluccana (L.) Willd.: ecology, silviculture and productivity
CN105123160A (zh) 一种紫番薯的高效栽培方法
CN105900807A (zh) 一种芡实的室内种植方法
TW201230946A (en) Panax ginseng camey cultivation method
KR101214598B1 (ko) 패키지 방식을 통한 나물 종묘 유통방법
JP3619225B2 (ja) もやしの栽培方法
CN108925358A (zh) 一种有机白牛茶树的种植方法
CN104956882A (zh) 三棱柱红霸王花及果实的高产种植方法
CN103355076A (zh) 不结球白菜高温季节栽培方法
CN102119614A (zh) 一种观瞻食用的生姜栽培方法
Singh et al. Integrated aquaculture with fox nut-a case study from North Bihar, India
CN107821340A (zh) 一种柑橘木虱的饲养装置及木虱饲养方法
CN104429534B (zh) 设施有机韭黄种植方法
CN106577119A (zh) 一种中药材辛夷种苗繁育方法
Kamondo et al. Growing of East African Sandalwood
CN109479690A (zh) 一种穴盘扦插与大田育苗相结合的茶苗繁育方法
Grozeva et al. Possibilities for ex situ conservation of Bulgarian endemic Betonica bulgarica Degen. & Neič.
CN106993414A (zh) 发芽箱及三叶木通种苗繁殖方法
Parya SELECTED CONTENTS
Alam Lettuce Grown in the Open Field and Protected Culture Applied with Different Fermented Plant Juices
Epps Exploring the Growth Habits of Sweetpotatoes (Ipomoea batatas) in the Willamette Valley of Western Oregon
Hossain et al.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