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299Y1 - 전선보호구 - Google Patents

전선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299Y1
KR200377299Y1 KR20-2004-0034642U KR20040034642U KR200377299Y1 KR 200377299 Y1 KR200377299 Y1 KR 200377299Y1 KR 20040034642 U KR20040034642 U KR 20040034642U KR 200377299 Y1 KR200377299 Y1 KR 200377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ceiving groove
support
reinforcement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영신화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화학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신화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4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배선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이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고정부로부터 탄성공간(14)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12)가 일체로 구성되고, 보강부의 내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부(18)가 일체로 구성되며, 보강부와 받침부 사이에 수용홈(16)이 형성되는 본체(1)와, 커버본체(120)의 양단에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체결부(22)와, 체결부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응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커버(2)로 이루어진 전선보후구를 제공하여, 보행자가 걸려 중심을 잃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에 있어서는 이동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특히, 보강부의 구조적인 강도를 강화하여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선보호구{wire protector}
본 고안은 전선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배선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는 각종 전선을 비롯한 배선들이 시공되어 진다. 최근에는 전원공급선, 전화선 및 인터넷 전용선등 실내에서 처리해야 할 전선의 양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배선들은 주로 실내의 모퉁이에 배치되는 것이 보통이나 부득이 실내의 복판을 통과하여야 필요가 있는 경우도 빈번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모퉁이의 배선은 물론 복판에 배선을 실시할 경우에는 대부분 전선보호구를 사용하여 처리를 하고 있다. 종래의 전선보호구는 전선을 수용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어, 본체를 해당 장소에 고정하고, 그 내측에 전선을 넣은 다음 커버로 덮어 전선 처리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전선보호구는 다음에 열거하는 몇가지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종래의 전선보호구는 보행자가 걸려 넘어질 우려를 갖고 있었다. 즉, 본체는 접착수단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고, 커버는 본체의 양단에서부터 급격하게 상부로 돌출되는 터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행자가 전선보호구 발견하지 못할 경우 발앞꿈치가 커버의 측방에 걸려 중심을 잃거나 심하게는 넘어져 큰 부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선보호구는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이 넘어가는데 제약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즉, 본체의 폭이 비교적 좁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수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커버의 높이를 높게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고, 따라서, 보행자의 통상의 보행속도에서 이동하고 있을 경우 이동수단이 커버에 이르면 관성에 의해 쉽게 타고 넘지 못하고 걸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더욱 힘을 주어 이동수단을 끌어당겨야 하는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는 최근 개인용 가방 등에 부착되는 바퀴와 같이 그 크기가 작은 바퀴에 있어서는 더욱 심각한 문제로 작용하고 있으며, 공항, 항만 및 호텔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문제점이다.
또한, 종래의 전선 보호구는 보행자가 밟을 경우 강도가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보행자의 체중이 전선보후구에 가해지면 그 체중은 전적으로 커버의 측방에서 수용하게 되므로 커버의 측면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행자가 걸리지 않도록하여 보행자의 보행편의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보호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의 손쉬운 이동을 가능케 하여 쾌적한 이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전선 보호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행자가 밟더라고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킨 전선보호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저면이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탄성공간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보강부의 내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보강부와 받침부 사이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양단에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응하는 지지면을 갖는 커버로 이루어진 전선보후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의 단부는 지면에 접하며, 그 상면은 박에 대해 약 20ㅀ~ 30ㅀ의 각도로 중앙부를 향하여 상승토록 구성되고, 커버의 양측은 보강부와 평행하게 연결되되, 상면은 곡선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부의 상면은 지면에 대해 25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돌출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보호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저면이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및 이 고정부(10)로부터 탄성공간(14)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12)가 일체로 구성되는 본체(1)와, 양단에 체결부(22)를 갖는 커버(2)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강부(12)는 그 단부가 지면에 접하며, 상면은 바닥면에 대해 약 25°의 각도로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12)의 내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부(18)가 일체로 구성되고, 보강부(12)와 받침부(18)사이에는 상기 체결부(22)와 결합되는 수용홈(16)이 형성된다.
체결부(22)의 내측에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응하는 평명상태의 지지면(2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24)은 커버본체(120)가 눌려질때 받침부(18)의 상면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커버본체(120)는 양측이 상기 보강부(12)와 평행하도록 약 25ㅀ의 경사로 구성되고, 중앙은 곡선형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16)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2a)이 돌출구성되고, 상기 체결부(22)에는 걸림턱(12a)과 결합되는 걸림홈(22a)이 형성되어 결합후 상부로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를 접착수단에 의해 바닥면(3)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부(10)상면에 전선(W)을 배치하고, 커버(2)를 업고 가압하면 체결부(22)가 수용홈(16)으로 삽입되며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본체(120)는 내측으로 탄성변형하며 손쉽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보행자가 전선보호구를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발앞꿈치가 커버본체(120)에 닿았을 경우에도 넘어지거나 크게 중심을 잃지 않게 된다. 즉, 커버본체(120)에 닿은 보행자의 발앞꿈치는 커버본체(120)의 경사를 따라 미끄러져 발의 이동을 급격하게 제한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관성에 의한 보행자의 중심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안정된 보행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의 경우에는, 커버본체와 바퀴의 접촉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적은 힘으로 손쉽게 커버본체를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 즉, 바퀴는 그 중심에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이동력에 의해 구름운동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동방향에 설치된 제한요소가 바퀴의 중심보다 높으면 이동수단은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만으로는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 제한요소의 위치가 바퀴의 중심보다 낮으면 타고 넘는 횡방향만의 작용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한요소의 위치가 낮을수록 중심에서의 위치가 멀어져 모멘트가 커지므로 더욱 그 요구되는 힘이 작아지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지면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비교적 적은 각도로 형성되는 커버본체의 경우에는 매우 적은 힘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보행자가 커버본체(120)를 밟거나 중량체가 상면에서 가압할 경우, 이때 커버본체(120)는 외측으로 확장되며 체결부(22)로 힘이 전가된다. 또한, 체결부(22)로 전달된 힘은 보강부(12)로 전달되고 이때 보강부(12)는 지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탄성공간(14)에 소정의 변형을 유발하며 외측으로 확장되어 가해지는 힘을 탄성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또한, 커버본체(120) 양단의 하강은 지지면(24)이 받침부(18)상면에 접하는 시점에서 제한되어 체결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예상되는 구성요소의 부가 및 한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보강부의 상면을 평행면이 아닌 0°부터 점차 커져 25°에 이르도록 하여 바퀴와의 초기접점을 더욱 낮추어 이동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구는 고정부의 양측에 보강부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에 결합하되 바닥면과 비교적 작은 각도를 이루는 커버를 제공하여 보행자가 걸려 중심을 잃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에 있어서는 이동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특히, 보강부의 구조적인 강도를 강화하여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보호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보호구의 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보호구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보호구가 바닥며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커버
10: 고정부 12: 보강부
14: 탄성공간 12a: 걸림턱
16: 수용홈 18: 받침부
20: 커버본체 22: 체결부
22a: 걸림홈 24: 지지면

Claims (3)

  1. 저면이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탄성공간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보강부의 내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보강부와 받침부 사이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커버본체의 양단에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응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전선보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단부는 지면에 접하며, 그 상면은 박에 대해 약 20°~ 30°의 각도로 중앙부를 향하여 상승토록 구성되고, 커버본체의 양측은 보강부와 평행하게 연결되되, 커버본체의 상면은 곡선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돌출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구.
KR20-2004-0034642U 2004-12-07 2004-12-07 전선보호구 KR200377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642U KR200377299Y1 (ko) 2004-12-07 2004-12-07 전선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642U KR200377299Y1 (ko) 2004-12-07 2004-12-07 전선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299Y1 true KR200377299Y1 (ko) 2005-03-11

Family

ID=4367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642U KR200377299Y1 (ko) 2004-12-07 2004-12-07 전선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2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53B1 (ko) 2007-01-22 2007-11-07 (주)한국해양기술 해저케이블 보호용 덕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53B1 (ko) 2007-01-22 2007-11-07 (주)한국해양기술 해저케이블 보호용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4699B2 (ja) 先芯および先芯内蔵靴
CA2368518A1 (en) Adapter unit having a handle grip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757206B1 (ko) 충격흡수용 구두
AU2001247798B2 (en) Bed frame shields
KR200377299Y1 (ko) 전선보호구
USD467552S1 (en) Cord manager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AU2001247798A1 (en) Bed frame shields
USD455867S1 (en) Foot scrubber
US8733379B2 (en) Walking supporter
WO2003095156A1 (fr) Structure de support complementaire pour robot
JP3206197U (ja) 携帯情報端末用保護カバー
KR101292527B1 (ko) 바형 휴대용 단말기의 충격흡수커버
WO2008018733A1 (en) Footwear having auxiliary sole and mid sole formed with supporting projections
JPH0856724A (ja) 歩行補助具
CN210020213U (zh) 一种儿童专用弹性稳定式行走辅助装置
WO2004047706A2 (en) Crutch
KR200460839Y1 (ko) 안전 모서리 보호대
JP2003047502A (ja) 靴用保護具
CN212012747U (zh) 镂空式保护壳
JP3081946U (ja) 台車の保護装置
CN212589609U (zh) 一种宠物专用加强型行走辅助护具
ITMI940331U1 (it) Struttura di girello per bambini con mezzi antiribaltamento
KR101272759B1 (ko) 바형 휴대용 단말기의 분리형커버
KR200371457Y1 (ko) 충격 보호용 타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