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262Y1 -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 Google Patents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262Y1
KR200377262Y1 KR20-2004-0034050U KR20040034050U KR200377262Y1 KR 200377262 Y1 KR200377262 Y1 KR 200377262Y1 KR 20040034050 U KR20040034050 U KR 20040034050U KR 200377262 Y1 KR200377262 Y1 KR 200377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nut
support
roasting plat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신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수 filed Critical 신동수
Priority to KR20-2004-0034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받침링의 상부면 상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는 경우 받침링의 하부로 탭을 형성하여 그 내주면 상에 너트부를 형성하여 너트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탭의 너트부에 받침다리 하단의 고정 나사부를 결합하는 것을 통해 받침다리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화구나 삼발이에 안착되어지되 구이판의 안착 지지홈에 관계하는 위치의 상부면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되는 고정공이 다수 형성된 일정 크기의 받침링; 받침링의 고정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받침링의 하부면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탭; 고정탭의 고정공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너트로 기능하는 너트부; 및 너트로 기능하는 고정공 내주면 상의 너트부에 관계하는 지름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고정 나사부가 구비되어지되 그 상단에 지지되는 구이판이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일측 한 쌍이 타측의 한 쌍보다 작거나 길게 형성된 받침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Inclination a support for roaster}
본 고안은 육류를 굽거나 조리하기 위한 구이판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렌지의 삼발이나 화구 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그 상부로 구이판을 일정 경사각으로 지지하여 육류의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경사 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판은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구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이판은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구울 때 육류나 생선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이 타거나 눌어붙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이판이 제안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이 타거나 눌어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순히 금속판의 표면에 테프론이나 범낭코팅층을 형성한 형태에서 벗어나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발산하는 황토나 숯 또는 세라믹 등의 성분을 혼합하여 구이판을 성형한 후 그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 것들이 제공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황토, 숯 및 세라믹으로 제조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이판은 대체적으로 판 상의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면인 구이면 상에 기름 배출홈과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구이판은 화구의 삼발이 상에 안착되어 수평인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이판의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수평인 상태로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구이시 발생되어 배출되는 기름이 기름 배출홈이나 기름 배출공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이시 발생되어 배출되는 기름이 기름 배출홈이나 기름 배출공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구이판 상에는 기름이 흥건하게 고이고, 이에 따라 기름이 사방으로 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화구에 구이판을 수평으로 안착시켜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이판을 일정 경사각으로 지지하는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는 링 형태의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받침링과 받침링의 상부면 네 지점에 형성되는 고정공 상에 너트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직립 형성되는 받침다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받침다리는 그 상단에 안착된 구이판이 일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일측 한 쌍의 받침다리가 타측 한 쌍의 받침다리보다 보다 길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는 받침링의 상부면 네 지점에 형성된 고정공 상에 받침다리를 고정시키는 경우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고정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받침링의 하부면에서 너트를 통해 받침다리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너트의 조임이 느슨하게 되면 받침다리의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받침링의 상부면 상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는 경우 받침링의 하부로 탭을 형성하여 그 내주면 상에 너트부를 형성하여 너트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탭의 너트부에 받침다리 하단의 고정 나사부를 결합하는 것을 통해 받침다리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받침다리의 상단에 일(一)자 혹은 십(十)자 모양의 드라이버 홈을 형성하여 받침다리를 탭의 고정공 내측에 형성되는 너트부 상에 나사 결합하는 경우 드라이버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게 받침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하부면에 안착 지지홈이 다수 형성된 구이판을 일정 경사각으로 지지하여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경사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에 있어서,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화구나 삼발이에 안착되어지되 구이판의 안착 지지홈에 관계하는 위치의 상부면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되는 고정공이 다수 형성된 일정 크기의 받침링; 받침링의 고정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받침링의 하부면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탭; 고정탭의 고정공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너트로 기능하는 너트부; 및 너트로 기능하는 고정공 내주면 상의 너트부에 관계하는 지름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고정 나사부가 구비되어지되 그 상단에 지지되는 구이판이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일측 한 쌍이 타측의 한 쌍보다 작거나 길게 형성된 받침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받침다리 각각의 상단에는 일(一)자 혹은 십(十)자 모양의 드라이버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의 상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는 크게 가스렌지(10)의 화구나 삼발이(12) 상부에 안착되어지되 그 상부면 적소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공(112)이 구비된 받침링(110), 고정공(112)의 형성하는 과정에서 받침링(110)의 하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탭(114), 고정탭(114)의 내측을 이루는 고정공(112)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너트부(116) 및 고정공(112) 각각의 너트부(116)에 나사 결합되어 직립되어지되 그 상단에 지지되는 구이판(20)이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일측 한 쌍이 타측의 한 쌍보다 작거나 길게 형성된 받침다리(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는 가스렌지(10)의 화구나 삼발이(12) 상부에 안착되어 받침다리(120)를 통해 그 상부로 위치되는 구이판(20)의 안착 지지홈(22)을 통해 지지하게 된다. 이때, 받침다리(120)의 구성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한 쌍은 작고 타측의 한 쌍은 길기 때문에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의 상부로 지지되는 구이판(20)은 한 쌍의 작은 받침다리(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의 상부로 지지되는 구이판(20)이 한 쌍의 작은 받침다리(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됨으로써 구이판(20)을 통해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은 경사 방향으로 흘러 배출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링(110)은 가스렌지(10)의 화구나 삼발이(12) 상부로 안착되는 것으로, 이 받침링(110)은 동심원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단면 형상은 받침링(11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양측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된 "∩"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받침링(110)의 상부면에는 도 6 의 구이판(20) 하부면 상에 형성된 안착 지지홈(22)에 관계하는 위치 상에 고정공(112)이 다수 형성된다. 이때, 고정공(11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받침링(110)의 하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탭(114)이 구비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공(11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받침링(110)의 하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탭(114)은 고정공(112)이 형성되는 위치의 받침링(110) 상부면 각각의 지점에 고정공(112)을 형성하기 위한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가압하게 되면 고정공(112)이 형성되는 가운데 받침링(110)을 이루는 금속의 일부가 받침링(110)의 하부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고정탭(114)으로 형성된다.
너트부(116)는 받침다리(120) 하단에 형성된 고정 나사부(122)를 나사 결합하여 받침다리(120)를 직립되게 하게 위한 것으로, 이 너트부(116)는 고정탭(114)의 내측을 이루는 고정공(112)의 내주면 상에 받침다리(120)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122)의 지름에 관계하는 내경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탭(114)의 내측을 이루는 고정공(112)의 내주면 상에 너트부(116)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받침다리(120) 하단에 형성된 고정 나사부(122)의 지름보다 작은 내경으로 탭을 형성한 후, 받침다리(120) 하단에 형성된 고정 나사부(122)의 지름에 관계하는 나사 형성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탭의 내경을 넓혀 가면서 그 내주면 상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너트부(116)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고정탭(114)의 내측을 이루는 고정공(112)의 내주면 상에 너트부(116)를 형성함으로써 고정탭(114)은 받침다리(120) 하단의 고정 나사부(122)를 결합시키기 위한 너트로써 기능을 하게 된다.
받침다리(120)는 그 상부로 위치되는 구이판(20)을 일정 경사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받침다리(120)는 원기둥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그 하단에는 고정탭(114)의 내측을 이루는 고정공(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부(116)의 내경에 관계하는 외경으로 이루어져 고정공(112)의 너트부(116)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받침링(110) 상부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받침다리(120)는 도 1, 도 2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에 지지되는 구이판(20)이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일측 한 쌍의 받침다리(120)가 타측 한 쌍의 받침다리(120)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일측의 한 쌍은 타측의 한 쌍에 비해 크거나 작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가정용으로 적용되는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의 경우 작은 한 쌍의 받침다리(120)는 1cm 정도의 길이로 하고, 길이가 긴 한 쌍의 받침다리(120)는 3c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였고, 업소용으로 적용되는 도 7 의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200)의 경우 작은 한 쌍의 받침다리(220a)는 3cm 정도의 길이로 하고, 길이가 긴 한 쌍의 받침다리(220)는 5c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였다. 이때, 받침다리(120)의 길이는 고정 나사부(122)를 제외한 길이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의 구성에서 받침다리(120)의 상단부에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받침다리(120)를 받침링(110)의 너트부(116) 상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一)자 혹은 십(十)자 모양의 드라이버 홈(124)이 더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받침다리(120)를 받침링(110)의 너트부(116) 상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一)자 혹은 십(十)자 모양의 드라이버 홈(124)을 받침다리(120)의 상단에 형성함으로써 받침링(110)의 너트부(116) 상에 받침다리(120)를 나사 결합시키는 경우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200)는 도 1 내지 도 6 에 구성된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200)에는 길이가 긴 받침다리(22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 고정공(212a)이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되는 보조 고정공(212a) 역시 도 1 내지 도 6 에 구성된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의 고정공(112)과 같이 고정탭의 내측을 형성하며, 그 내주면 상에는 너트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100)는 받침다리(120)를 받침링(110)의 상부에서 고정공(112)의 너트부(116)에 나사 결합하는 것만으로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결합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원가를 절감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링의 상부면 상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는 경우 받침링의 하부로 탭을 형성하여 그 내주면 상에 너트부를 형성하여 너트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탭의 너트부에 받침다리 하단의 고정 나사부를 결합하는 것을 통해 받침다리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받침다리의 상단에 일(一)자 혹은 십(十)자 모양의 드라이버 홈을 형성하여 받침다리를 탭의 고정공 내측에 형성되는 너트부 상에 나사 결합하는 경우 드라이버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게 받침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의 상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경사 받침대 110. 받침링
112. 고정공 114. 고정탭
116. 너트부 120. 받침다리
122. 고정 나사부 124. 드라이버 홈

Claims (2)

  1. 하부면에 안착 지지홈이 다수 형성된 구이판을 일정 경사각으로 지지하여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경사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화구나 삼발이에 안착되어지되 상기 구이판의 안착 지지홈에 관계하는 위치의 상부면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되는 고정공이 다수 형성된 일정 크기의 받침링;
    상기 받침링의 고정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받침링의 하부면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탭;
    상기 고정탭의 고정공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너트로 기능하는 너트부; 및
    상기 너트로 기능하는 고정공 내주면 상의 너트부에 관계하는 지름으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고정 나사부가 하단에 구비되어지되 그 상단으로 위치되어 지지되는 상기 구이판이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일측의 한 쌍이 타측의 한 쌍보다 작거나 길게 형성된 받침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 각각의 상단에는 일(一)자 혹은 십(十)자 모양의 드라이버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KR20-2004-0034050U 2004-12-01 2004-12-01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KR200377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050U KR200377262Y1 (ko) 2004-12-01 2004-12-01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050U KR200377262Y1 (ko) 2004-12-01 2004-12-01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262Y1 true KR200377262Y1 (ko) 2005-03-10

Family

ID=4367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050U KR200377262Y1 (ko) 2004-12-01 2004-12-01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26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61Y1 (ko) * 2008-07-30 2009-09-01 장용옥 조리 용기
KR100932595B1 (ko) 2007-10-23 2009-12-17 최대한 고기구이판
KR101064128B1 (ko) 2008-08-06 2011-09-15 구웅모 불판용 다기능 받침대
KR200466836Y1 (ko) 2011-10-11 2013-05-14 양성원 구이판용 미끄럼방지구의 결합구조
KR200478913Y1 (ko) * 2014-02-19 2015-12-04 김장현 고기 구이판
KR101622358B1 (ko) * 2015-08-27 2016-05-17 주식회사 썬하우스 다양한 가열기구에 적용 가능한 불판받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95B1 (ko) 2007-10-23 2009-12-17 최대한 고기구이판
KR200445761Y1 (ko) * 2008-07-30 2009-09-01 장용옥 조리 용기
KR101064128B1 (ko) 2008-08-06 2011-09-15 구웅모 불판용 다기능 받침대
KR200466836Y1 (ko) 2011-10-11 2013-05-14 양성원 구이판용 미끄럼방지구의 결합구조
KR200478913Y1 (ko) * 2014-02-19 2015-12-04 김장현 고기 구이판
KR101622358B1 (ko) * 2015-08-27 2016-05-17 주식회사 썬하우스 다양한 가열기구에 적용 가능한 불판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5658A1 (en) Grate and range system
KR200377262Y1 (ko) 구이판용 경사 받침대
US20120048258A1 (en) Adjustable grate foot for home appliance
KR101064128B1 (ko) 불판용 다기능 받침대
US20040089288A1 (en) Gas heating applicance
KR10158356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를 구비한 구이기
KR200246945Y1 (ko) 삼발이의 경사가 조절되는 휴대용 버너
KR20190001859U (ko) 캠핑용 화로 테이블
KR100253693B1 (ko) 고기 구이판
KR200241889Y1 (ko) 조리테이블구조
KR102585935B1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원형구이판
KR200461238Y1 (ko) 높이 조절용 다리를 구비한 불판
CN211011497U (zh) 一种易装易拆的灶用防干烧结构
KR200288003Y1 (ko) 육류구이용 불판
JP3216286U (ja) 屋外用加熱調理装置
KR102538811B1 (ko) 조리기구
KR200205863Y1 (ko) 원적외선 발생돌의 탈착을 위한 불판
JP2003210332A (ja) 加熱料理用装置
US20230397760A1 (en) Two piece cast iron fire pit cooktop
KR200305099Y1 (ko) 고기 구이판
KR200347886Y1 (ko) 고기구이용 받침대 및 그 받침대와 한 벌을 이루는 돌 불판
KR200298125Y1 (ko) 버너용 조리용기 받침대
KR20100026673A (ko) 구이 용구
KR200385144Y1 (ko) 고기구이판
KR200232937Y1 (ko) 상판의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2중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