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135Y1 - 골 채집기 - Google Patents

골 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135Y1
KR200377135Y1 KR20-2004-0034322U KR20040034322U KR200377135Y1 KR 200377135 Y1 KR200377135 Y1 KR 200377135Y1 KR 20040034322 U KR20040034322 U KR 20040034322U KR 200377135 Y1 KR200377135 Y1 KR 200377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flange
cap housing
ca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철
장해철
Original Assignee
최용철
장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철, 장해철 filed Critical 최용철
Priority to KR20-2004-0034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7Hollow drills or saws producing a curved cut, e.g.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골 채집기의 캡 하우징과 플랜지가 체결 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 또는 체결됨으로써, 채집된 골을 빠르고 용이하게 보관 용기에 부어 모을 수 있으며, 캡 하우징 내에 골이 잔존하지 않아 세척과 소독이 용이하고, 오염의 가능성 없이 단 시간 내에 골을 채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 드릴(30) 및 습동 장치(40)로 구성되는 바, 일측에 고정핀(11)이 형성된 원형의 용기형태로 제작되며, 그 중앙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저면이 중앙으로 향할 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21)이 형성된 캡 하우징(20)과, 상기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공(12, 21)을 통해 관통 결합되는 드릴(30)과, 상기 플랜지(10)의 후방으로 스프링(41)과 스프링 커버(42)와 E형 멈춤링(43)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습동 장치(40)로 구성되어,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의 체결 · 결합이 용이하여 채집된 골을 용이하게 보관 용기에 부을 수 있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골 채집기를 캡 하우징과 플랜지가 덮개 방식 또는 체결 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 또는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채집된 골을 빠르고 용이하게 골 보관 용기에 부어 모을 수 있어서 시술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캡 하우징 내에 골이 잔존하지 않아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 하우징의 크기를 줄이더라도 신속하게 골의 채집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작은 수술 부위에도 용이하게 드릴링 할 수 있고, 또 잇몸의 절개 양도 줄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 채집기 { bone collecter }
본 고안은 골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골 채집기의 캡 하우징과 플랜지가 체결 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 또는 체결됨으로써, 채집된 골을 빠르고 용이하게 보관 용기에 부어 모을 수 있으며, 캡 하우징 내에 골이 잔존하지 않아 세척과 소독이 용이하고, 오염의 가능성 없이 단 시간 내에 골을 채집할 수 있는 골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결손된 치아의 잇몸을 절개한 후 속에 감싸져 있는 치조골을 임플란트의 크기에 맞게 삭제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치조골 결손부위가 심한 위치에 인조골을 사용하여 GBR을 하는 대신 골을 직접 채집하며, 골수로부터 출형릉 유도하는 구멍을 뚫으면서 동시에 환자 자신의 골을 채집하는 잇점이 있다.
상기 종래의 골 채집기는 골의 채집이 용이하고, 타액이 섞일 우려가 없어서 오염의 가능성이 없는 등의 장점은 지니고 있지만, 채집된 골을 골 보관 그릇에 옮기기 위해서는 그 구조상 플라스틱 캡을 제거하고, 캡 하우징 내의 채집된 골을 캡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긁어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로 인해 시술자의 골 채집작업이 더뎌지게 되어 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골 채집기를 캡 하우징과 플랜지가 체결 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 또는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채집된 골을 빠르고 용이하게 골 보관 용기에 부어 모을 수 있어서 시술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캡 하우징 내에 골이 잔존하지 않아 편의성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캡 하우징의 크기를 줄이더라도 신속하게 골의 채집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작은 수술 부위에도 용이하게 드릴링 할 수 있고, 또 잇몸의 절개 양도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골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골 채집기의 캡 하우징과 플랜지가 체결 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 또는 체결됨으로써, 채집된 골을 빠르고 용이하게 보관 용기에 부어 모을 수 있으며, 캡 하우징 내에 골이 잔존하지 않아 세척과 소독이 용이하고, 오염의 가능성 없이 단 시간 내에 골을 채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 드릴(30) 및 습동 장치(40)로 구성되는 바, 일측에 고정핀(11)이 형성된 원형의 용기형태로 제작되고, 그 중앙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저면이 중앙으로 향할 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21)이 형성된 캡 하우징(20)과, 상기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공(12, 21)을 통해 관통 결합되는 드릴(30)과, 상기 플랜지(10)의 후방으로 스프링(41)과 스프링 커버(42)와 E형 멈춤링(43)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습동 장치(40)로 구성되어,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의 체결 · 결합이 용이하여 채집된 골을 용이하게 보관 용기에 부을 수 있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30)에 플랜지(10)와 스프링(41)과 스프링 커버(42)가 E형 멈춤링(43)에 의해 결합되고,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는 바, 우선, 플랜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그 형태는 원형의 그릇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으로는 고정핀(11)이 형성되고, 그 내부 중앙으로는 원형의 관통공(12)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플랜지(10)의 측면으로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캡 하우징(20)과 결합되는 바, 그 다양한 예가 도 3a 와 도 3b 및 도 3c에 잘 도시된 바, 도 3a는 캡 하우징(20)의 후측 외면에 플랜지(10)가 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도 3b는 캡 하우징(20)의 후측 내면에 플랜지(10)가 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3c는 캡 하우징(20)의 외면에 플랜지(10)가 압입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캡 하우징(20)과 플랜지(10)가 한번에 완전히 분리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캡 하우징(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형태가 원형의 용기 형태로 구성되며, 저면에 경사진 면이 형성된 구성으로, 중앙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구성을 가지며, 그 중앙으로는 관통공(21)이 천공되어 후술하는 드릴(30)이 관통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드릴(30)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의 드릴(30)의 형태로 구성되며, 핸드 피스와 결합되어 핸드피스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드릴(30)이 캡 하우징(20)의 관통공(2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드릴(30)이 회전하게 되고, 또한 캡 하우징(20)은 핸드피스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캡 하우징(20) 내부에 골이 드릴(30)의 패여진 면을 따라 채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습동 장치(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습동 장치(40)는 스프링(41)과 스프링 커버(42) 및 E형 멈춤링(43)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플랜지(10)의 중앙 후측으로 드릴(30)을 관통하도록 코일 형태의 스프링(41)과 원형 용기형태의 스프링 커버(42)와 이를 드릴(30) 상에서 고정시키는 E형 멈춤링(43)으로 구성되며, 스프링(41)의 탄지력에 의해 드릴(30)이 습동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우선, 드릴(30) 상에 플랜지(10)를 관통시키고, 그에 캡 하우징(20)을 결합하며, 플랜지(10)의 후측으로 스프링(41)과 스프링 커버(42)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키고, 이를 E형 멈춤링(43)을 통해 체결 · 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의 결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드릴(30)의 후측으로 핸드피스를 결합하되, 핸드피스의 일측으로 고정핀(11)을 삽착하여 드릴(30)은 회전되도록 하고, 플랜지(10)는 고정핀(1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플랜지(10)와 체결된 캡 하우징(20) 내에서 드릴(30)이 회전함에 따라 캡 하우징(20) 내부로 드릴(30)의 홈을 따라 골이 채집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상태를 갖는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예와 대동소이하게 구성되는 바, 가장 큰 차이점은 캡 하우징(20)의 끝단이 플랜지(10)의 전측에 압입된 형태로, 캡 하우징(20)의 끝부분을 잡고 당겨거나 끼움으로써 용이하게 착탈되며, 캡 하우징(20) 내부에 채집된 골을 용이하게 골 보관 용기에 부을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골 채집기를 캡 하우징과 플랜지가 덮개 방식 또는 체결 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 또는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채집된 골을 빠르고 용이하게 골 보관 용기에 부어 모을 수 있어서 시술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캡 하우징 내에 골이 잔존하지 않아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 하우징을 금속으로 제작하여 골을 보관 용기에 부은 후, 소독하여 재사용함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의료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가 있으며, 캡 하우징의 크기를 줄이더라도 신속하게 골의 채집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작은 수술 부위에도 용이하게 드릴링 할 수 있고, 또 잇몸의 절개 양도 줄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a와 도 3b 및 도 3c는 본 고안 플랜지와 캡 하우징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랜지 11 : 고정핀
12, 21 : 관통공 20 : 캡 하우징
30 : 드릴 40 : 습동 장치
41 : 스프링 42 : 스프링 커버
43 : E형 멈춤링

Claims (3)

  1. 골 채집기에 있어서,
    일측에 고정핀(11)이 형성된 원형의 용기형태로 제작되며, 그 중앙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저면이 중앙으로 향할 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21)이 형성된 캡 하우징(20)과,
    상기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공(12, 21)을 통해 관통 결합되는 드릴(30)과,
    상기 플랜지(10)의 후방으로 스프링(41)과 스프링 커버(42)와 E형 멈춤링(43)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습동 장치(40)로 구성되어,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의 체결 · 결합이 용이하여 골을 신속하게 채집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은 나사체결을 통해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집기.
  3. 제 1항에 있어서,
    플랜지(10)와 캡 하우징(20)은 상호 억지 끼움을 통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집기.
KR20-2004-0034322U 2004-12-03 2004-12-03 골 채집기 KR200377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322U KR200377135Y1 (ko) 2004-12-03 2004-12-03 골 채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322U KR200377135Y1 (ko) 2004-12-03 2004-12-03 골 채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135Y1 true KR200377135Y1 (ko) 2005-03-11

Family

ID=4367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322U KR200377135Y1 (ko) 2004-12-03 2004-12-03 골 채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1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58B1 (ko) * 2012-11-12 2013-11-28 이준호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101608240B1 (ko) 2014-10-21 2016-04-01 (주)메디쎄이 수술 중 뼈 수집 장치
KR20200001245A (ko)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넥스원바이오 골생체 검침용 의료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58B1 (ko) * 2012-11-12 2013-11-28 이준호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101608240B1 (ko) 2014-10-21 2016-04-01 (주)메디쎄이 수술 중 뼈 수집 장치
KR20200001245A (ko)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넥스원바이오 골생체 검침용 의료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669B2 (en) Drilling device comprising a bone recuperating trephine
US8491586B2 (en) Holder for a surgical reamer and single use, flat reamer
US7537597B2 (en) Storage package for coring reamer assembly
EP2131757B1 (en) Maxillary bone cutting system, k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548693B2 (en) Drill for implant surgery
US7611355B2 (en) Manual driver for implant drills and method of dental implantation
KR100571497B1 (ko) 뼛조각 채취 장치
JPH08507936A (ja) 靭帯移植片の採取方法及び採取器具
WO2005048879A3 (en) Improved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KR200377135Y1 (ko) 골 채집기
JP2008228861A (ja) 医療用の二重刺針、医療用ドリル、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医療用ドリルキット
JP2016531614A (ja) 脛骨のステムのリーミング又は除去のための歯車付き器具
CA2826598A1 (en) Locking taper abutment with weakened zone
KR100813434B1 (ko) 골 채취기
KR20070108777A (ko) 치골 채취 및 수집장치
KR20100020273A (ko) 연조직 절단 치과용 공구
RU5388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еоперфорации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CN115462918A (zh) 一种口腔种植体取出装置
KR20150003639U (ko) 인공 치아 이식술용 자가본 채취기
KR200436934Y1 (ko) 자가골 채취구
JP3128636U (ja) 歯科用骨の切削採取装置
US20200146771A1 (en) Dental implant stoppers for implant beds
CN219480191U (zh) 微创通道内植物置入器
CN2289528Y (zh) 颈椎间盘手术器
JP3129142U (ja) 歯科用骨粉収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