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37Y1 -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37Y1
KR200376937Y1 KR20-2004-0034022U KR20040034022U KR200376937Y1 KR 200376937 Y1 KR200376937 Y1 KR 200376937Y1 KR 20040034022 U KR20040034022 U KR 20040034022U KR 200376937 Y1 KR200376937 Y1 KR 200376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opening
parti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지개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지개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지개오에이
Priority to KR20-2004-0034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배선작업시 덮개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개선된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배선공간(35) 상단부 칸막이의 상부프레임(55)에 덮개(4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지지구(60)가 고정된다. 덮개지지구(60)는 상부프레임(50)에 고정되는 베이스(61)와, 베이스(61)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단턱진 지지턱(62)과, 지지턱(62)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여유홈(63a)을 가지는 연장편(63)과, 지지턱(62) 및 연장편(63)에 대향위치되도록 베이스(61)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연장편(63)과의 사이에 개구(65)를 형성하는 지지편(64)을 구비한다. 덮개(40)는 그 일측 가장자리에 지지편(6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개구(65)를 통하여 진입되어 지지턱(62)에 지지가능한 힌지고리(41)와, 덮개(40)의 개방시 지지편(64)의 단부에 지지되는 돌출턱(4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개폐장치는 덮개지지구(60)에 의해서 덮개(40)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편(64) 및 돌출턱(42)에 의해서 덮개(4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배선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Description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A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a cover for partition}
본 고안은 전선이 배선되는 공간부를 개폐시키는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배선작업시 덮개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개선된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사무실등의 실내공간을 구획하여 개인의 사무공간을 조성하는 칸막이가 사용되며, 칸막이에는 각 사무공간에서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전기배선이 설치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배선으로 인한 복잡성을 고려하여 칸막이(10) 내부의 배선공간(11)에 전기배선이 이루어지며, 전기배선의 설치/보수 및 외관을 고려하여 배선공간(11)은 덮개(20)에 의해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칸막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칸막이(10)의 상부프레임(12)에 힌지(21)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덮개(20)의 하단부에는 록커(22)가 형성되어서 하부프레임(13)의 록킹공(13a)에 록킹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덮개(20)의 개폐구조는 덮개(20)의 개방상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할 수 없으므로 배선공사 및 보수등으로 인하여 배선공간(11)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덮개(20)를 분리하여 제거시킨 후에 배선공사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덮개(20)를 닫은 상태에서는 덮개(20)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칸막이(10)의 몸체가 작은 틈새만을 형성하므로, 덮개(20)를 개방시키고자 덮개(20) 하단부의 작은틈새로 손가락을 넣어 덮개(20)를 개방시키는 작업이 난이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칸막이 덮개의 개방시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칸막이 내부의 배선공간에 배선작업 또는 보수등을 위하여 덮개의 분리 및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개방시키는 작업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배선공간과 배선공간을 개폐시키는 덮개를 구비하는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공간 상단부 칸막이의 상부프레임에 상기 덮개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지지구가 고정되고,
상기 덮개지지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단턱진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여유홈을 가지는 연장편과, 상기 지지턱 및 연장편에 대향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편과의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그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지지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진입되어 상기 지지턱에 지지가능한 힌지고리와, 덮개의 개방시 상기 지지편의 단부에 지지되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개폐장치에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배선공간으로 연장되어 배선되는 전선들이 지지되는 안내편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편에는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그 단부가 상기 잠금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편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 개폐장치는 상기 덮개의 자유단부는 상기 배선공간 하단부 칸막이의 하부프레임과의 사이에 적어도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자유단부에 상기 틈새를 차단시키는 유연성재질의 마감커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개폐장치는 덮개지지구에 의해서 덮개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편 및 돌출턱에 의해서 덮개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배선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덮개의 하단부에 칸막이와의 틈새를두고 유연성재질의 마감커버로 마감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할뿐만 아니라 덮개의 개방을 간편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덮개 개폐장치가 채용된 칸막이를 나타낸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테이블(100)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부에는 전기배선을 위한 배선공간(35)이 형성되며, 덮개(40)에 의해서 배선공간(35)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배선공간(35) 상단부 칸막이의 상부프레임(55)에는 상기 덮개(4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지지구(6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덮개지지구(60)는 상기 상부프레임(50)에 고정되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단턱진 지지턱(62)과, 상기 지지턱(62)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여유홈(63a)을 가지는 연장편(63)과, 상기 지지턱(62) 및 연장편(63)에 대향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61)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편(63)과의 사이에 개구(65)를 형성하는 지지편(6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덮개(40)는 그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지지편(6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구(65)를 통하여 진입되어 상기 지지턱(62)에 지지가능한 힌지고리(41)와, 덮개(40)의 개방시 상기 지지편(64)의 단부에 지지되어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돌출턱(42)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베이스(61)로부터 상기 배선공간(35)으로 연장되어서 배선되는 전선(미도시)들이 지지되는 안내편(66)이 더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안내편(66)에는 잠금홈(6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40)의 내면에는 그 단부가 상기 잠금홈(66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편(43)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40)의 자유단부는 상기 배선공간(35) 하단부 칸막이의 하부프레임(56)과의 사이에 적어도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틈새(37)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40)의 자유단부에 상기 틈새(37)를 차단시키는 유연성재질의 마감커버(4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실시예의 덮개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6의 실시예와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는 그 개폐구조가 동일하므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40)가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40)의 힌지고리(41)가 덮개지지구(60)의 지지편(64)에 걸쳐지고 돌출턱(42)이 지지편(64)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서 배선공간(35)을 폐쇄시킨다.
또한,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덮개(40)가 닫힌상태에서는 덮개(40)의 잠금편(43)이 덮개지지구(60)의 잠금홈(66a)에 결합되어서 외력에 의해서도 배선공간(35) 내측으로 덮개(40)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덮개(40)가 닫힌 상태에서, 덮개(40)를 열고자 하는 경우 덮개(40)하단부의 마감커버(44)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배선공간(35) 내측으로 손가락을 진입시켜 덮개(40)의 하단부를 파지하고 상부로 회동시킨다. 이때 마감커버(44)는 유연성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의 진입을 허용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덮개(40)가 상부로 회동하는 동안 힌지고리(41)는 지지편(64)으로부터 이탈되고 여유홈(63a)을 경유하여 지지턱(62)에 지지된다. 동시에 돌출턱(42)은 지지편(64)에 안착되어서 덮개(4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덮개(4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덮개(40)를 닫고자 하는 경우, 덮개(40)의 하단부를 파지하고 잡아당기면서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힌지고리(41)가 지지턱(62)에서 이탈되고 여유홈(63a)을 경유하여 하방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본 고안 개폐장치는 덮개지지구(60)에 의해서 덮개(40)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편(64) 및 돌출턱(42)에 의해서 덮개(4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배선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덮개(40)의 힌지고리(41)를 덮개지지구(60)의 지지편(64)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므로 배선작업시 덮개(40)의 완전한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배선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둘째, 덮개(40)의 하단부에 칸막이와의 틈새(37)를 두고 이 틈새를 유연성재질의 마감커버(44)로 마감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할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므로 덮개(40)의 개방을 간편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칸막이용 덮개 개폐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개폐장치를 채용한 칸막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 실시예의 덮개 개폐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칸막이 35...배선공간
40...덮개 41...힌지고리
42...돌출턱 43...잠금편
44...마감커버 55,56...상하부프레임
60...덮개지지구 61...베이스
62...지지턱 63...연장편
64...지지편 65...개구
66...안내편 66a...잠금홈
100...테이블

Claims (4)

  1. 배선공간과 배선공간을 개폐시키는 덮개를 구비하는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공간(35) 상단부 칸막이의 상부프레임(55)에 상기 덮개(4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지지구(60)가 고정되고,
    상기 덮개지지구(60)는 상기 상부프레임(50)에 고정되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단턱진 지지턱(62)과, 상기 지지턱(62)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여유홈(63a)을 가지는 연장편(63)과, 상기 지지턱(62) 및 연장편(63)에 대향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61)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편(63)과의 사이에 개구(65)를 형성하는 지지편(64)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40)는 그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지지편(6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구(65)를 통하여 진입되어 상기 지지턱(62)에 지지가능한 힌지고리(41)와, 덮개(40)의 개방시 상기 지지편(64)의 단부에 지지되는 돌출턱(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용 덮개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61)로부터 상기 배선공간(35)으로 연장되어 배선되는 전선들이 지지되는 안내편(6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66)에 잠금홈(66a)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40)의 내면에 그 단부가 상기 잠금홈(66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편(43)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4. 제 1 항내지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의 자유단부는 상기 배선공간(35) 하단부 칸막이의 하부프레임(56)과의 사이에 적어도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틈새(37)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40)의 자유단부에 상기 틈새(37)를 차단시키는 유연성재질의 마감커버(4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KR20-2004-0034022U 2004-12-01 2004-12-01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KR200376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022U KR200376937Y1 (ko) 2004-12-01 2004-12-01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022U KR200376937Y1 (ko) 2004-12-01 2004-12-01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37Y1 true KR200376937Y1 (ko) 2005-03-10

Family

ID=4367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022U KR200376937Y1 (ko) 2004-12-01 2004-12-01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33Y1 (ko) * 2008-02-27 2010-06-24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
CN109057633A (zh) * 2018-08-31 2018-12-21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可开闭隔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33Y1 (ko) * 2008-02-27 2010-06-24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
CN109057633A (zh) * 2018-08-31 2018-12-21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可开闭隔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4411B1 (en) A washer/dryer
KR200376937Y1 (ko) 칸막이용 덮개의 개폐장치
JP2021523994A (ja) タワー・ファンにおける水タンク・ボタン装置及びタワー・ファン
JP6730494B1 (ja) 蝶番、及び蝶番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CN207604057U (zh) 操作机构和机箱
KR200418792Y1 (ko) 콤팩트 케이스
CN214475198U (zh) 机柜门禁锁
JP2699307B2 (ja) 二重床用ボックス
KR20030013637A (ko) 틸팅형 드럼세탁기의 캐비닛 커버와 톱플레이트 설치 구조
CN207691079U (zh) 开关插座盒
JP3591276B2 (ja) 分電盤
CN112853694B (zh) 一种用于洗衣机的排水泵盖
JPS5836184Y2 (ja) フロアボツクス
KR200207596Y1 (ko) 노트북 피씨의 키보드용 놉 구조
KR200372170Y1 (ko) 파티션용 벨트라인
KR200212780Y1 (ko) 사무용 칸막이의 개폐판 개폐장치
KR200237883Y1 (ko)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KR200176224Y1 (ko) 커버 개폐장치
JP2539559B2 (ja) 電気機器のフタ取付装置
CN109788675A (zh) 操作机构和机箱
KR930006265Y1 (ko) 세탁기 뚜껑의 투명창 체결장치
JPS6340237Y2 (ko)
KR880000525Y1 (ko) 전자기기용 콘트롤 박스의 도어 개폐장치
KR940005483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조작부 구조
JP4629267B2 (ja) 開閉装置の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