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883Y1 -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 Google Patents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883Y1
KR200237883Y1 KR2020010010459U KR20010010459U KR200237883Y1 KR 200237883 Y1 KR200237883 Y1 KR 200237883Y1 KR 2020010010459 U KR2020010010459 U KR 2020010010459U KR 20010010459 U KR20010010459 U KR 20010010459U KR 200237883 Y1 KR200237883 Y1 KR 200237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ower
distribution
distribution box
box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2020010010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883Y1/ko

Link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분전함 케이스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상부공간 사이에는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분리하며, 상기 하부공간에는 저압 분기 차단기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의 제 1공간에는 적산 전력계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분전함 케이스의 하단에는 하부도어 힌지 결합하고, 상단에는 제 1상부도어와 제 2상부도어를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 1공간 전면에는 도전을 방지할 수 있게 봉인수단이 설치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적산 전력계를 분전함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분전반의 전력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전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도전을 방지하는 봉인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전반의 제 2상부도어에 설치된 전력제어기기와 디지털 전력량계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방식에 의한 중앙감시 시스템으로의 전송이 가능하여 전력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LOW VOLTAGE INCOMING POWER DISTRIBUTION PANEL}
본 고안은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산 적력계를 분전함 케이스의 공간부에 장착하여 분전반의 관리가 용이하고, 분전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도전을 방지하는 봉인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배전반으로부터 소정의 전력공급을 받아 주택이나, 빌딩, 공장등의 전등, 전열, 동력부하등 각종 부하에 맞게 전력을 배분하여 주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은 분전함(110)과 적산 적력계(120)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100)은 내부에 공간부(112)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부(112)에 삽입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저압 분기 차단기(114a)가 배열 설치된 기판(114)과, 상기 기판(114)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커버(116)와, 상기 케이스(110)에 여닫을 수 있게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118)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적산 전력계(120)는 일반가정이나 산업체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실시간 검출하고 사용한 전력을 적산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공간부(122a)가 형성된 보호함 본체(122)와 상기 보호함 본체(122)에 힌지 결합된 커버(124)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적산 전력계(120)는 분전함(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벽체에 설치된다.
상기 분전함(100)의 기판(114)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커버(116)에는 상기 저압 분기 차단기(114a)에 설치된 스위치(S)를 조작할 수 있게 관통공(1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산 전력계(120)가 수납되는 보호함 본체(122)와 커버(124)의 외주연 일측에는 도전(盜電)을 방지할 목적으로 봉인수단(130)으로 봉인되어 있다.
상기 봉인수단(130)은 봉인하고자 하는 보호함 본체(122)와 커버(124)의 결합부위에 일단이 봉인납(132)에 구속된 철끈을 꿴후 그 타단을 봉인납(132)의 홈에 삽입하고 별도의 압압 공구를 사용하여 압압 고정시킨 다음 날인 또는 고유번호가 색인된 별도의 스티커(134)로 그 외부를 감싸듯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은 분전함(110)과 전산 전력계(120)가 분리 설치되어 있어 저압 수전용 분전반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았고, 전력관리시 적산 전력계(120)를 보면서 확인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봉인수단(130)시 많은 작업공수가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스티커(134)가 봉인납(13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적산 적력계를 분전함 케이스의 공간부에 장착하여 분전반의 관리가 용이하고, 분전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봉인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분배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내부가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분리시키는 수평격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 사이에는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게 수직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에는 저압 분기 차단기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의 제 1공간에는 적산 전력계가 고정 설치되는 분전함 케이스; 상기 분전함 케이스의 하단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하부도어; 상기 분전함 케이스의 상단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투시창이 형성된 제 1상부도어 및; 상기 분전함 케이스의 상단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2상부도어; 상기 제 1공간 전면에 도전을 방지할 수 있게 설치된 봉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상기 봉인수단은 상기 제 1공간의 전방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봉인구와, 상기 제 1공간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봉인구가 관통될 수 있게 관통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봉인구에 삽입 될 수 있게 상기 제 1상부도어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을 통해 돌출된 봉인구의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구와 봉인구를 봉인납으로 봉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을 도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의 분전함에 적산 전력계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인수단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전함 케이스 11 : 상부공간
12 : 제 1공간 13 : 제 2공간
14 : 수평격판 15 : 수직격판
16 : 하부공간 20 : 하부도어
30 : 제 1상부도어 32 : 투시창
33 : 결합공 36 : 제 2상부도어
40 : 봉인수단 41 : 봉인구
42 : 프레임 42a : 관통공
43 : 고정구 44 : 봉인납
50 : 저압 분기 차단기 56 : 적산 전력계
60 : 전력제어기기 66 : 디지털 전력량계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을 도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의 분전함에 적산 전력계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인수단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써, 본 고안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은 분전함 케이스(10)와, 적산 전력계(56)와, 하부도어(20) 및 제 1,2상부도어(30)(36)와, 봉인수단(40)으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전함 케이스(10)는 내부가 수평격판(14)에 의해 상부공간(11)과 하부공간(16)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상부공간(11)은 수직격판(15)에 의해 제 1공간(12)과 제 2공간(13)으로 분리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공간(16)에는 저압 분기 차단기(50)가 배열 설치되고, 상기 하부공간(20)의 제 1공간(12) 내부에는 적산 전력계(5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도어(20)는 상기 분전함 케이스(10)의 하단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공간(16)을 개방 및 폐쇄시킨다.
상기 제 1상부도어(30)는 분전함 케이스(10)의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제 1공간(12)을 개방 및 폐쇄시킨다. 그리고, 중앙에는 적산 전력계(56)에 표시된 전력량을 확인 할 수 있게 투시창(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상부도어(36)는 분전함 케이스(10)의 상단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제 2공간(13)을 개방 및 폐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상부도어(36)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방식에 의해 전력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전력제어기기(60)와 디지털 전력량계(6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봉인수단(40)은 상기 제 1공간(12)의 전방 일측면에 고종 설치된 봉인구(41)와, 상기 제 1공간(12)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봉인구(41)가 관통될 수 있게 관통공(42a)이 형성된 프레임(42)과, 상기 봉인구(41)에 삽입 될 수 있게 상기 제 1상부도어(30)에 형성된 결합공(33)과, 상기 결합공(33)을 통해 돌출된 봉인구(41)의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43)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구(43)와 봉인구(41)를 봉인납(44)으로 봉인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공간(12)의 전면에 봉인수단(40)의 프레임(42)을 고정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프레임(42)에 형성된 관통공(42a)에는 제 1공간(12)의 전방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봉인구(41)가 관통되어 진다.
상기 제 1공간(12)에 프레임(42)이 설치되면, 상기 분전함 케이스(10)의 하부공간(16)의 전면에 하부도어(20)를 힌지 결합하고, 상부공간(11)의 제 1공간(12)과 제 2공간(13)의 전면에 제 1상부도어(30)와 제 2상부도어(36)를 각각 힌지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공간(16)의 내부에 저압 분기 차단기(50)를 설치하고, 제 1공간(12)의 내부에는 적산 전력계(56)를 설치하며, 케이블(70)로 상기 적산 전력계(56)와 저압 분기 차단기(50)를 연결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분전반의 전력관리가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2상부도어(36)에 전력제어기기(60)와 디지털 전력량계(66)를 설치하면 본 고안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분전반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제 1상부도어(30)를 제 1공간(12)의 전면으로 회전시켜 제 1공간(12)을 폐쇄시키고, 제 1공간(12)이 폐쇄되면 도전(盜電)을 방지할 수 있도록 봉인수단(40)으로 봉인하면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공간(12)이 폐쇄되도록 제 1상부도어(30)를 닫으면 봉인구(41)가 제 1상부도어(30)에 형성된 결합공(33)에 삽입 관통된다.
상기 봉인구(41)가 결합공(33)에 삽입 관통되면 봉인구(41)에 고정구(43)를 결합시키고 이 고정구(43)와 봉인구(41)를 봉인납(44)으로 봉인한다. 그러면 상기 제 1상부도어(30)는 관계자외 개폐하지 못하게 되어 도전(盜電)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력량을 검침하고자 할 경우에는 검침자가 투시창(32)을 통해 적산 전력계(56)에 표시된 전력량을 확인하면 된다.
한편, 제 2상부도어(36)에 설치된 전력제어기기(60)와 디지털 전력량계(66)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방식에 의한 중앙감시 시스템으로의 전송이 가능하여 전력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1세대 다세대인 경우 디지털 전력량계(66)를 세대 수에 맞게 설치할 수 있어 전력관리에 불편함이 없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에 따르면 분전함 케이스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상부공간 사이에는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분리하며, 상기 하부공간에는 저압 분기 차단기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의 제 1공간에는 적산 전력계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분전함 케이스의 하단에는 하부도어 힌지 결합하고, 상단에는 제 1상부도어와 제 2상부도어를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 1공간 전면에는 도전을 방지할 수 있게 봉인수단이 설치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적산 전력계를 분전함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분전반의 전력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전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도전을 방지하는 봉인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전반의 제 2상부도어에 설치된 전력제어기기와 디지털 전력량계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방식에 의한 중앙감시 시스템으로의 전송이 가능하여 전력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분배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내부가 상부공간(11)과 하부공간(16)으로 분리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상부공간(11)과 하부공간(16)을 분리시키는 수평격판(1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11) 사이에는 제 1공간(12)과 제 2공간(13)으로 분리될 수 있게 수직격판(1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16)에는 저압 분기 차단기(5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11)의 제 1공간(12)에는 적산 전력계(56)가 고정 설치되는 분전함 케이스(10);
    상기 분전함 케이스(10)의 하단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하부도어(20);
    상기 분전함 케이스(10)의 상단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투시창(32)이 형성된 제 1상부도어(30) 및;
    상기 분전함 케이스(10)의 상단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2상부도어(36);
    상기 제 1공간(12) 전면에 도전을 방지할 수 있게 설치된 봉인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수단(40)은 상기 제 1공간(12)의 전방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봉인구(41)와, 상기 제 1공간(12)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봉인구(41)가 관통될 수 있게 관통공(42a)이 형성된 프레임(42)과, 상기 봉인구(41)에 삽입 될 수 있게 상기 제 1상부도어(30)에 형성된 결합공(33)과, 상기 결합공(33)을 통해 돌출된 봉인구(41)의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43)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구(43)와 봉인구(41)를 봉인납(44)으로 봉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상부도어(36)에는 전력제어기기(60)와 디지털 전력량계(6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KR2020010010459U 2001-04-13 2001-04-13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KR200237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59U KR200237883Y1 (ko) 2001-04-13 2001-04-13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59U KR200237883Y1 (ko) 2001-04-13 2001-04-13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883Y1 true KR200237883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59U KR200237883Y1 (ko) 2001-04-13 2001-04-13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8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41Y1 (ko) 2007-05-04 2009-10-20 (주)월드라이팅 가로등 점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41Y1 (ko) 2007-05-04 2009-10-20 (주)월드라이팅 가로등 점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0535A1 (en) Concentric plug
KR200237883Y1 (ko)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CN105063971A (zh) 用于洗衣机的壳体组件及洗衣机
CN201301559Y (zh) 混凝土泵车的电气控制箱
CN208285103U (zh) 一种防拆卸电机保护装置
CN211785720U (zh) 一种可用于室外的单相电表箱
CN215485253U (zh) 一种锁面板
CN205693821U (zh) 智能无线箱盖
CN214475198U (zh) 机柜门禁锁
CN212674998U (zh) 插卡式电表箱的箱门和插卡式电表箱
CN216355457U (zh) 一种电力柜门以及电力柜
KR200237884Y1 (ko) 콤팩트형 분전반
CN212134783U (zh) 一种电表箱
CN214846875U (zh) 一种WiFi智能锁
CN207052528U (zh) 一种嵌入隐藏式接触器
CN2440111Y (zh) 门铃一体化观察窗
CN216773954U (zh) 一种具有人脸识别功能的配电柜防护装置
CN214960388U (zh) 遥控器
CN220511436U (zh) 一种双门防误碰电控箱
CN217405964U (zh) 应用于柜体电气系统的收纳结构
CN219661546U (zh) 浴室柜及浴室柜组件
CN2419714Y (zh) 用电保护箱
CN209626653U (zh) 一种施工用配电盘
CN219459490U (zh) 一种安防设备箱
CN211701090U (zh) 一种防止误操作的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