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12Y1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12Y1
KR200376912Y1 KR20-2004-0033599U KR20040033599U KR200376912Y1 KR 200376912 Y1 KR200376912 Y1 KR 200376912Y1 KR 20040033599 U KR20040033599 U KR 20040033599U KR 200376912 Y1 KR200376912 Y1 KR 200376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rotating plate
plate
locking
cut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이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20-2004-0033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shape
    • E05Y2800/33Form, shape having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고안은 경첩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첩에 구성되는 걸림돌기의 제작이 신속용이하면서 사용시 걸림돌기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경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첩(100)을 구성하는 고정판(110)과 회전판(120)의 본체(112)(122) 내면 일측에 걸림돌기(130)를 측방향으로 절곡되게 돌출구성하되, 상기 걸림돌기(130)를 구성하는 절곡연결부(131)가 연결관체(111)(121)쪽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절곡연결부(131) 일측 단부에 주돌출부인 수직절단면(132)이 형성되게 하고, 걸림돌기(130) 상하측에는 수평절단면(133)이 횡방향으로 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경첩{A hinge}
본 고안은 경첩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첩을 구성하는 고정판과 회전판에 위치설정을 위하여 돌출구성되는 걸림돌기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할 뿐 아니라, 경첩의 사용시 걸림돌기의 절단부분이 시각적으로 적게 노출되게 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경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로부터 문을 회전식으로 개폐하고자 할 때 문틀과 문을 연결하여 주는 수단으로서 경첩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고정판과 회전판에는 경첩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위한 걸림돌기가 돌출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는 여러구성으로 된 것이었다.
한 예로서 도 12에서와 같이 고정판(11)과 회전판(12)으로 구성된 경첩(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1)과 회전판(12)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프레스절단하여 중앙부가 아치형으로 돌출된 만곡돌부형 걸림돌기(13)가 돌출구성되게 한 것이있다.
또다른 예로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고정판(21)과 회전판(22)으로 구성된 경첩(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1)과 회전판(22)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프레스절단하여 걸림돌기(23)가 돌출구성되게 하되, 상부는 고정판(21) 및 회전판(22)과 연결되게 하고, 양측부 및 하단부는 완전히 절단되게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구성의 경첩(20)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고정판(11)(21)과 회전판(12)(22)의 본체를 프레스하여 돌출구성되게 하는 걸림돌기(13)(23)의 프레스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경첩(10)(20)의 고정판(11)(21)이나 회전판(12)(22)을 구성하는 철판의 두께는 대략 2∼3㎜정도로서 비교적 두껍고, 상기 철판을 대략 폭 3㎜ 길이 8㎜정도 좁고 길게 구성되는 걸림돌기(13)(23)를 절단날로 프레스 작업하는 과정에서, 절단날이 깊고 길게 구성되는 절단틈사이에 끼이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절단된 틈사이로부터 절단날을 빼내는 과정에서 절단날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고, 따라서 절단날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경첩의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경첩(10)(20)의 고정판(11)(12)이나 회전판(12)(22)에 돌출구성되는 걸림돌기(13)(23)의 절단면의 많은 면적이 시각적으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14에서와같이 구성된 경첩이 제공된 바 있다.
즉 고정판(31)과 회전판(32)으로 구성된 경첩(30)을 구성하되, 상기 고정판(31)과 회전판(32)의 상하단부 테두리에 걸림돌기(33)를 돌출구성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경첩(30)에 구성된 걸림돌기(33)는 고정판(31)과 회전판(32)의 상하단부 테두리에 구성되게 하므로 절단면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금형 절단날의 낌현상을 방지하여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경첩(30) 역시 고정판(31)과 회전판(32)의 상하단부에 절곡구성된 걸림돌기(33)의 절곡부분이 시각적으로 많이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고정판과 회전판으로 구성되는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판과 회전판에 돌출구성되는 걸림돌기의 제작시 프레스금형 절단날에 무리가 없게 할 뿐 아니라 걸림돌기의 절단면에 시각적으로 가능한 적게 노출되게 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경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첩을 구성하는 고정판과 회전판에 걸림돌기를 돌출구성하되, 상기 걸림돌기가 고정판과 회전판의 측방향으로 절곡 프레스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경첩(100)의 사시도로서, 고정판(110)과 회전판(120) 일측에 구성된 연결관체(111)(121)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축핀(101)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구성하되, 상기 고정판(110)과 회전판(120)의 본체(112)(122) 내면 일측에 걸림돌기(130)가 측방향으로 절단, 절곡되어 돌출구성되게 한다.
상기 걸림돌기(130)의 구체적 구성은(도 6 참조) 아래와 같다.
즉 걸림돌기(130)를 프레스금형 절단날로 프레스하되, 고정판(110) 및 회전판(120)의 본체(112)(122) 측방향으로 주돌출부가 구성되게 하므로서 연결관체(111)(121)쪽에 걸림돌기(130)의 절곡연결부(131)가 종방향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절곡연결부(131)의 단부에 경첩(100)의 사용시 문틀과 접하는 수직절단면(13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게 하며, 상하측에는 보조절단부인 수평절단면(133)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걸림돌기(130)의 상하측에 형성된 수평절단면(133)의 대부분은 고정판(110) 및 회전판(120)의 본체(112)(122)에 의해 차단되므로 일부만 외부로 노출된다.
본 고안은 실시함에 있어서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걸림돌기(130)를 구성함에 있어서, 걸림돌기(130)를 굴곡시켜 수평절단면(133)의 돌출정도를 높임과 동시에 수직절단면(132)이 고정판(110) 및 회전판(120)의 본체(112)(122)로부터 수직 선상에 위치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140)은 문틀, (141)은 문, (142)는 체결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8에서와 같이 경첩(100)을 구성하는 고정판(110)을 문틀(140)에 고정하고, 회전판(120)을 문(141)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고정판(110) 및 회전판(120)의 본체(111)(121)에 돌출구성된 걸림돌기(130)가 문틀(140) 및 문(141)의 일측에 걸려 지지되면서 경첩(100)의 고정위치를 정확히 설정하여 주게 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경첩(100)은 종래 경첩에 비하여 걸림돌기(130)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사용시 걸림돌기(130)의 절삭면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경첩(100)을 구성하는 고정판(110)과 회전판(120)의 본체(112)(122) 상에 걸림돌기(130)를 프레스금형 절단날로 프레스 작업할 때 걸림돌기(130)의 상하부에 형성된 수평절단면(133)부분에만 금형 절단날의 일부가 끼이게 되고, 좌우측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금형 절단날의 낌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걸림돌기가 좁은폭으로 깊고 길게 절단구성하므로 인한 금형 절단날의 낌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프레스 작업중 금형 절단날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첩(100)의 사용시 걸림돌기(130)에 구성된 절단면 대부분이 시각적으로 차단이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경첩(100)을 이용하여 문틀(140) 상에 문(141)을 회전개폐식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경첩(100)의 고정판(110)이나 회전판(120)에 구성된 걸림돌기(130)를 문틀(140)이나 문(141)의 모서리에 접지시키게 되면 시각적으로 가장 많이 노출되는 걸림돌기(130)의 수직절단면(132)이 문틀(140)이나 문(141)의 모서리에 걸리면서 차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걸림돌기(130)의 상하부에 형성된 수평절단면(133) 역시 대부분 고정판(110)이나 회전판(120)의 본체(112)(122)에 의해 차단되면서 약 1/3정도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경첩(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걸림돌기(130)를 만곡돌출구성되게 하여 수평절단면(133)의 돌출정도를 높임과 동시에 수직절단면(132)이 고정판(110) 및 회전판(120)의 본체(112)(122)로부터 수직으로 돌출구성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절단면(133)의 노출면적이 조금 증가하게 되나 수직절단면(132)이 본체(112)(122)로부터 수직으로 돌출구성되어 있어 효과적인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첩의 고정판 및 회전판에 구성되는 걸림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걸림돌기의 수직절단면이 측방향으로 돌출구성되게 하므로서 금형 절단날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시 금형 절단날의 낌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프레스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금형 절단날의 파손현상을 방지케 하며, 또한 경첩의 사용시 걸림돌기에 형성된 각 절단면이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경첩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확개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으 측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고안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7 :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구성도
도 8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9 : 본 고안 타실시예의 사시도
도 10 : 도 9의 요부사시도
도 11 : 도 9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12 : 종래 경첩의 사시도
도 13 : 종래 경첩의 사시도
도 14 : 종래 경첩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경첩 (101)--축핀
(110)--고정판 (111)--연결관체
(112)--본체 (120)--회전판
(121)--연결관체 (122)--본체
(130)--걸림돌기 (131)--절곡연결부
(132)--수직절단면 (133)--수평절단면

Claims (1)

  1. 고정판과 회전판을 축핀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구성한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판(110)과 회전판(120)의 본체(112)(122) 내면 일측에 걸림돌기(130)를 측방향으로 절곡 돌출구성하므로서, 상기 걸림돌기(130)를 구성하는 절곡연결부(131)가 연결관체(111)(121)쪽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절곡연결부(131) 일측 단부에 주돌출부인 수직절단면(132)이 형성되게 하고, 걸림돌기(130) 상하측에 수평절단면(133)이 횡방향으로 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KR20-2004-0033599U 2004-11-26 2004-11-26 경첩 KR200376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599U KR200376912Y1 (ko) 2004-11-26 2004-11-26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599U KR200376912Y1 (ko) 2004-11-26 2004-11-26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12Y1 true KR200376912Y1 (ko) 2005-03-10

Family

ID=4367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599U KR200376912Y1 (ko) 2004-11-26 2004-11-26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2874Y2 (ko)
KR200376912Y1 (ko) 경첩
TWI428502B (zh) 鉸鏈裝置
KR200313891Y1 (ko) 경첩
KR20040070991A (ko) 경첩
KR200393547Y1 (ko) 조립식 창호
KR200332648Y1 (ko) 경첩
KR200183394Y1 (ko)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KR20060065844A (ko) 경첩
KR200368920Y1 (ko) 분리 가능한 경첩
KR200344361Y1 (ko) 창문용 중간바 연결구
KR200374570Y1 (ko) 경첩
KR200423873Y1 (ko) 가방용 괘정구
JP4068026B2 (ja) 開口部装置
JP3601962B2 (ja) 出入り枠用縦枠の仮幅止め金具
KR200312119Y1 (ko) 양개 방화문의 구조
JPH0715986Y2 (ja) 樹脂製バネ蝶番および樹脂製バネ蝶番を用いたケース
KR20090004077A (ko) 분전반 케이스용 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도어
JP3444341B2 (ja) 門扉戸当りの端面納め構造
KR200246016Y1 (ko) 절곡부를 가진 경첩
JP3483318B2 (ja) 開き戸のドア枠
JP3398813B2 (ja) 蝶 番
KR950008153Y1 (ko) 경 첩
KR200160509Y1 (ko) 냉장고용 도어
KR910008459Y1 (ko) 조립이 가능한 갤러리 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