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684Y1 - 튜브히터 - Google Patents

튜브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684Y1
KR200376684Y1 KR20-2004-0032488U KR20040032488U KR200376684Y1 KR 200376684 Y1 KR200376684 Y1 KR 200376684Y1 KR 20040032488 U KR20040032488 U KR 20040032488U KR 200376684 Y1 KR200376684 Y1 KR 200376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 dissipation
combustor
hea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재엽
Original Assignee
가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재엽 filed Critical 가재엽
Priority to KR20-2004-0032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6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15081Reheating of flue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기에 의해 완전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방열관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튜브히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연소기에 의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방열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열관을 통해 열이 발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통상의 튜브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관의 내부 상에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갖는 촉매플레이트가 적어도 한 개소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방열관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히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튜브히터{TUBE TYPE HEATER}
본 고안은 튜브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연소기에 의해 완전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방열관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튜브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히터는 연소기에 의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방열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열관을 통해 열이 발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은 대략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기(11)와, 상기 연소기(11)로 부터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방열 및 방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소기(11)와 연결 설치되는 방열관(12)과, 상기 방열관(12)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관(12)을 지난 연소가스의 배출기능이나 소음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기구(13)와, 상기 연소기(11)와 방열관(12)과 배기구(13) 등이 내부에 설치된 본체(14)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튜브히터(10)는 단순히 연소기(11)에 의하여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을 뿐 연료의 미연소에 대한 대비책이나 미연소가스로 부터 발생되는 악취나 유해물질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 미연소가스에 의한 연소효율의 저하 및 연료의 낭비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소기(11)에서 연소되지 않아 악취가 심한 미연소가스가 방열관(12) 및 배기구(13)를 통해 외부로 직접 배출됨으로 튜브히터(1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공기를 오염시키게되고, 이로 인해 빈번하게 창문을 열어 실내공기를 환기시켜야함으로 튜브히터(10)의 사용에 있어 불편함과 함께 쾌적한 난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소기에 의해 완전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방열관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튜브히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연소기에 의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방열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열관을 통해 열이 발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통상의 튜브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관의 내부 상에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갖는 촉매플레이트가 적어도 한 개소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방열관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히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인 튜브히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튜브히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튜브히터의 주요부인 촉매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튜브히터(100)는 연소기(110)에 의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방열관(12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열관(120)을 통해 열이 발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통상의 튜브히터(100)에 있어서, 상기 방열관(120)의 내부 상에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131)을 갖는 촉매플레이트(130)가 적어도 한 개소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방열관(12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상기 촉매플래이트의 열선(131)이 완전 연소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소기(110) 및 방열관(120)은 대략 장방형의 본체(140)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연소기(110)는 본체(14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관(120)은 본체(14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상기 방열관(120)의 입구는 연소되는 불꽃이 위치한 연소기(110)의 연소관(111)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방열관(120)의 출구는 본체(14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40)의 전면에는 방열관(120)을 통해 발열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보호망(141)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140)의 저면에는 장소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142)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기(110) 및 촉매플레이트(130)의 작동은 본체(140)의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14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촉매플레이트(130)는 방열관(120)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플레이트(130)는 가스가 지나는 통공(132a)이 다수 형성된 다공블럭(132) 내측에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131)이 배열 설치되고, 상기 열선(131)의 단부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133)이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원선(133)을 통해 열선(131)으로 전달되는 전원의 통전 및 단전은 상기 컨트롤(143)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다공블럭(132)은 세라믹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열선(131)은 다공블럭(132)의 상면이나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다공블럭(132)의 내부에 열선(131)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촉매플레이트(130)의 작동은 미연소가 일어나기 쉬운 연소기(110)의 작동정지 10초 전부터 연소기(110)의 작동정지 10초 후 그리고 연소기(110)의 작동시작 10초 전부터 연소기(110)의 작동시작 10초 후 까지 작동되도록 컨트롤(143)에 의해 제어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튜브히터(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튜브히터(100)의 작동시작을 예약하게되면, 컨트롤(143)에 의해 연소기(110)의 작동시작 10초 전부터 촉매플레이트(130)의 열선(131)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열선(131)의 온도가 미연소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온도로 상승된다.
이후 연소기(110)의 작동이 시작되면, 연소관(111)가 미처 가열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으로 초기에 연료가 완전 연소되지 않은 미연소가스가 발생되고 이러한 미연소가스는 방열관(120)을 통해 촉매플레이트(130)의 통공(132a)을 지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촉매플레이트(130)에 구비된 고온의 열선(131)에 의해 상기 통공(132a)을 지나는 미연소가스가 완전히 연소되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후 연소기(110)의 작동시작 후 10초가 지나게되면 컨트롤(143)에 의해 상기 촉매플레이트(130)의 열선(131)으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촉매플레이트(130)의 작동이 정지된다.
또한, 튜브히터(100)의 작동정지를 예약하게되면, 컨트롤(143)에 의해 연소기(110)의 작동정지 10초 전부터 촉매플레이트(130)의 열선(131)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열선(131)의 온도가 미연소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온도로 상승된다.
이후 연소기(110)의 작동이 정지되면, 급속히 식어버린 연소관(111)에 잔여분의 미소량 연료가 분사되면서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미연소가스가 발생되고 이러한 미연소가스는 방열관(120)을 통해 촉매플레이트(130)의 통공(132a)을 지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촉매플레이트(130)에 구비된 고온의 열선(131)에 의해 상기 통공(132a)을 지나는 미연소가스가 완전히 연소되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후 연소기(110)의 작동정지 후 10초가 지나게되면 컨트롤(143)에 의해 상기 촉매플레이트(130)의 열선(131)으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촉매플레이트(13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튜브히터는 연소기에 의해 연료가 미처 완전 연소되지 못한 상태로 방열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촉매플레이트가 완전 연소시켜 배출하기 때문에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악취 및 유해가스를 완전히 제거하게 됨으로 보다 쾌적한 실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튜브히터는 연소기에 의해 연료가 미처 완전 연소되지 못한 상태로 방열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촉매플레이트가 재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게 됨으로 연소의 낭비 방지 및 연소의 효율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튜브히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튜브히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튜브히터의 주요부인 촉매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브히터
110 : 연소기 111 : 연소관
120 : 방열관 130 : 촉매플레이트
131 : 열선 132 : 다공블럭
132a : 통공 133 : 전원선
140 : 본체 141 : 안전보호망
142 : 바퀴 143 : 컨트롤

Claims (4)

  1. 연소기(110)에 의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방열관(12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열관(120)을 통해 열이 발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통상의 튜브히터(100)에 있어서,
    상기 방열관(120)의 내부 상에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131)을 갖는 촉매플레이트(130)가 적어도 한 개소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방열관(12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플레이트(130)는 가스가 지나는 통공(132a)이 다수 형성된 다공블럭(132) 내측에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131)이 배열 설치되고, 상기 열선(131)의 단부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133)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히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플레이트(130)의 작동은 연소기(110)의 작동정지 10초 전부터 연소기(110)의 작동정지 10초 후 그리고 연소기(110)의 작동시작 10초 전부터 연소기(110)의 작동시작 10초 후 까지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히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플레이트(130)가 방열관(12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히터.
KR20-2004-0032488U 2004-11-17 2004-11-17 튜브히터 KR200376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488U KR200376684Y1 (ko) 2004-11-17 2004-11-17 튜브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488U KR200376684Y1 (ko) 2004-11-17 2004-11-17 튜브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684Y1 true KR200376684Y1 (ko) 2005-03-09

Family

ID=4367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488U KR200376684Y1 (ko) 2004-11-17 2004-11-17 튜브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6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85660A (ja) 薪ストーブ
KR101156188B1 (ko) 펠렛 난로 온풍기
JP2004077060A (ja) 薪ストーブ
JP5274985B2 (ja) 廃油燃焼装置及び廃油燃焼方法
EP2738459A1 (en) Combustion device
KR200376684Y1 (ko) 튜브히터
EP1384031B1 (en) Burner for pellets
JP4768465B2 (ja) バイオマス燃料の着火方法
KR20070096133A (ko) 고체연료용 난로
KR200189229Y1 (ko) 벙커씨유, 경유, 석유, 폐유 연소장치 보일러
JP2007042354A (ja) 燃料電池の発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ガスバーナ並びにそのガスバーナを備えたガス器具
JP5109204B2 (ja) 自然燃焼式廃油焼却装置
JP2004069113A (ja) ガスコンロ
JP3850823B2 (ja) 液体加熱装置
KR102649269B1 (ko) 예혼합 연소 방식의 메탈화이버 가스버너를 적용한 온풍 및 탄산가스 공급장치
KR200387964Y1 (ko) 튜브형 히터
KR200435362Y1 (ko) 원적외선 튜브히터
KR200181640Y1 (ko) 온수 보일러
KR200327481Y1 (ko) 고효율 폐타이어 연소장치
JP2005233498A (ja) ガスコンロ
KR200268791Y1 (ko) 팬이 장착된 난방 장치의 연소 가스 배출 구조
JP2005257185A (ja) ガスコンロ
KR200307992Y1 (ko) 히터
JP2002180060A (ja) 生ごみ炭化装置
KR19990022714U (ko) 난방용온수를가열하는숯불점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