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640Y1 -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640Y1
KR200181640Y1 KR2019990028043U KR19990028043U KR200181640Y1 KR 200181640 Y1 KR200181640 Y1 KR 200181640Y1 KR 2019990028043 U KR2019990028043 U KR 2019990028043U KR 19990028043 U KR19990028043 U KR 19990028043U KR 200181640 Y1 KR200181640 Y1 KR 200181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blower
combustion chamb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복
Original Assignee
전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복 filed Critical 전대복
Priority to KR2019990028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6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6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연소통 내부의 온수통에 들어있는 난방수를 가열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 했을때 연료펌프에서 공급된 연료를 노즐에서 분사시켜 예열된 점화히타로부터 점화시킨 후 화염을 방사하여 송풍기에서 나오는 바람을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연소실로 화염이 지나가면서 온수통내부에 있는 난방수를 골고루 가열시켜 줌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온수통 내부에 있는 난방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해 줄 수 있음은 물론, 온수통 내부에는 전기히터를 온수통 외측에서 내부로 삽입시켜 설치함으로써 값싼 심야전기를 사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온수 보일러{A hot water boiler}
본 고안은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연소실내부에 화염을 골고루 방사하여 빠른시간내에 연소실 내부에 있는 온수통이 가열되도록 하고 또한 값싼 심야전기를 이용하여 보일러를 가열시킬수 있도록 한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온수 보일러는 온수통이 구비되고 온수통의 내부에 있는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해 온수통 밑에 버너가 구비되어 온수통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버너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위로만 전달되어 온수통의 하부면을 가열하게 되고 온수통 내부의 난방수는 밑에서 부터 위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난방수를 가열시키는데 많은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비례한 에너지의 소모가 큰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소통 내부에 있는 온수통에 화염을 골고루 방사시켜 온수통내부에 있는 난방수를 빠른시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온도로 가열시킴은 물론 온수통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전기히터로도 온수통 내부에 있는 난방수를 가열시켜줄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는 값싼 심야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온수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온수 보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온수 보일러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온수 보일러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연소통
10a : 연소실
20: 온수통
21 : 난방수
22 : 순환 파이프
22a : 순환펌프
23 : 적열체
24 : 막음판
30 : 노즐
31 : 연료펌프
40 : 점화히터
41 : 송풍관
50 : 송풍기
60 : 배기구
70 : 전기히터
71 : 온도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통형 연소통을 구비하고, 연소통 측면에는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가 부착될 수 있도록 송풍관이 연결되며, 송풍관 내부에는 연료펌프에서 연료를 공급받아 이를 연소실 내부로 분사시키는 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통 내부에는 온수통이 구비되어 있으며, 온수통의 상, 하측에는 순환파이프가 연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온수통 내부 일측면에는 심야전기를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시켜주는 전기히터와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온도센서가 삽입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고안의 정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연소통(10) 내부에 연소실(10a)이 형성되도록 동심원을 이루며 일정간격 떨어진 온수통(20)이 구성되고,
송풍기(50)는 연소통(10) 외주면에 설치되고 송풍기(50)에서 연소통(10)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송풍관(41)이 구성되며,
송풍관(41) 내부에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노즐(30)이 구성된다.
난방수(21)를 가열하여 순환시킬수 있도록한 원통형 온수통(20)과, 온수통(20)의 내부에서 난방수(21)가 대류작용을 이루도록 온수통(20)의 상,하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순환파이프(22)가 구성된다.
또한, 가열된 난방수(21)를 방으로 강제 순환 시키기위해 순환펌프(22a)가 온수통(20) 하측에 고정되어 있는 순환파이프(22)에 부착되며,
온수통(20)의 외주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온수통(20)을 감싸고 있는 연소통(10)이 구성된다.
온수통(20)의 외주면에 공간을 이루는 연소실(10a)이 형성되고,
연소실(10a) 내부에는 역화방지용 막음판(24)과 미연소 가스를 완전연소시키는 적열체(23)가 구성되며,
연소통(10) 외주면 일측에는 연소통(10) 내부로 연소용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5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송풍관(41)이 연결되고,
송풍관(41)중앙에는 연료펌프(31)에서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 연소실(10a)로 분사시켜주는 노즐(30)이 구성된다.
송풍관(41)의 하부면에는 노즐(30)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주기 위해 점화히타(40)가 장착되며,
연소통(10) 외주면 상측에는 배기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구(60)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온수통(20) 내부에는 난방수(21)를 직접 가열하기 위해 전기히타(70) 및 온도센서(71)가 삽입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을 하기 위해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에 의해 송풍기(5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점화히터(40)가 예열되기 시작한다.
송풍기(50)의 회전력에 의한 공기가 송풍관(41)을 통해 연소실(10a)로 들어가게 되고 연소실(10a) 내부에 남아있는 먼지나 불순물이 연소실(10a) 상측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구(6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송풍관(41)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30)은 연료펌프(31)에서 연료를 공급받아 분사하게 되는 것으로서, 노즐(30)의 하단부에 있는 점화히터(40)가 처음 전원인가시 예열되어 점화온도까기 가열되면 노즐(30)에서 분사되는 연료가 점화되어 화염이 온수통(20)을 향해 방사된다.
이때 방사된 화염은 연소실(10a)을 통하여 온수통(20)을 가열함으로 온수통(20)이 전면에 걸쳐 골고루 가열된다.
연소실(10a)내부의 막음판(11)은 연료펌프(31)에서 공급되는 연료가 노즐(30)에서 방사되어 점화히터(40)에 의해 점화된 뒤 그 화염이 송풍기(50)에서 발생되는 공기에 의해 일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화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해준다.
그리고 적열체(23)는 화염이 지나가는 연소실(10a)에 3개 이상 구비되며 불완전 연소된 가스를 완전연소 시켜준다.
온수통(20)의 상측에 부착되어 있는 순환파이프(22)로 난방수(21)가 유입되고, 유입된 난방수(21)는 온수통(20) 내부에서 가열되어 온수통(20)의 하측에 있는 순환펌프(22a)가 장착된 순환파이프(22)를 통해 각 방으로 난방수(21)가 공급 순환된다.
또한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통(20)내부에는 전기히터(70)를 외부로부터 온수통(20)내부로 삽입시켜 전기를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할 수 있으며, 전기히타(70)의 하단부에는 온도센서(71)가 부착되어 있고, 난방수(21)가 일정온도가 되면 전기히타(70)를 ON/OFF 시킨다.
따라서, 연소실(10a)에서는 노즐(30)에서 분사되는 연료가 점화히터(40)에 의해 점화된 후 송풍기(50)에서 불어나오는 공기에 의하여 온수통(20)의 외주면으로 화염이 돌면서 온수통(20)을 전체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온수통(20) 내부에 있는 난방수(21)가 빠른 시간내에 가열된다.
또한 온수통(20)내부에 있는 전기히터(70)를 사용하여 난방수(21)를 가열 시킬수 있다.
그러므로 연료펌프(31)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노즐(30)에서 분사시켜 점화히터(70)로 점화시킨 후 점화된 화염을 방사하여 온수통(20)의 난방수(21)를 가열할 수 있음은 물론, 값싼 심야전기로 전기히터(70)를 작동시켜 난방수(21)를 선택적으로 가열시킬수도 있다.
본 고안은 등유등의 기름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도시가스를 노즐(30)에서 분사시켜 점화히터(40)로 점화시킨후 화염에 의하여 가열할 수 있으므로 기름연료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온수통의 내부에 있는 난방수를 가열시키는 과정에서 연료펌프에서 공급된 연료를 노즐로서 분사시켜 점화히터로 점화시킨후 화염을 발생시켜 연소실에서 온수통에 들어 있는 난방수를 가열할 수 있어서 빠른 시간 내에 온수통 내부에 있는 난방수를 가열시킬수 있으며, 낮 시간 때에는 기름연료로 난방수를 가열하고, 밤에는 값싼 심야전기를 사용하여 전기히터를 작동 시킴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난방수를 가열시켜줄뿐 아니라,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게 되므로 보일러 구동시 기름사용시와 같은 모터의 회전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실내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원통형 연소통(10) 내부에 순환파이프(22)가 연결된 온수통(20)이 구성되고,
    온수통(20)의 외주면과 연소통(10)의 내주면에 연소실(10a)이 구성되며,
    연소실(10a)에는 역화방지용 막음판(24)과 미연소가스를 완전연소 시키는 적열체(23)가 구성되고,
    연소통(10)상측에는 배기구(60)가 구성되며, 일측에는 송풍관(41)과 연결된 송풍기(50)가 구성되고,
    송풍관(41)에는 연료펌프(31)에 의하여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실(10a)에서 연소시키는 노즐(30)이 구성되며,
    송풍관(41)의 내부에는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히터(4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온수통(20)의 내부에는 온수를 직접 가열하는전기히터(70)와 전기히터(70)를 제어하는 온도센서(71)가 구성되고 전기히터(70)는 심야전기로 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KR2019990028043U 1999-12-13 1999-12-13 온수 보일러 KR200181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043U KR200181640Y1 (ko) 1999-12-13 1999-12-13 온수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043U KR200181640Y1 (ko) 1999-12-13 1999-12-13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640Y1 true KR200181640Y1 (ko) 2000-05-15

Family

ID=1960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043U KR200181640Y1 (ko) 1999-12-13 1999-12-13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6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188B1 (ko) 펠렛 난로 온풍기
KR20110066258A (ko) 펠릿 보일러용 펠릿 연소기
KR200181640Y1 (ko) 온수 보일러
KR200189229Y1 (ko) 벙커씨유, 경유, 석유, 폐유 연소장치 보일러
KR20070096133A (ko) 고체연료용 난로
KR20130075870A (ko) 펠릿 원적외선 히터
CN212673195U (zh) 一种热风机用燃烧器
KR100383115B1 (ko) 열 집약형 세라믹버너
KR102619832B1 (ko) 예혼합 연소 방식의 메탈화이버 가스버너를 적용한 온풍 및 탄산가스 공급장치
KR920004197Y1 (ko) 미니보일러용 분사식 석유버어너
KR0132199Y1 (ko) 온풍난방기의 연소장치
KR102649269B1 (ko) 예혼합 연소 방식의 메탈화이버 가스버너를 적용한 온풍 및 탄산가스 공급장치
KR102399003B1 (ko) 휴대용 보일러
RU2000128735A (ru) Горелка для жидкотопливных аппаратов сжигания
JP2005233498A (ja) ガスコンロ
KR850003174Y1 (ko) 난로 겸용 온수 보일러
KR200183576Y1 (ko) 사우나용 방열 장치
KR100438961B1 (ko) 가스복사조리기의 배기조절장치
JP3116719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200238349Y1 (ko) 보일러
KR200227905Y1 (ko) 수냉식 사이클론 파이프를 구비한 액체 및 고체연료 겸용보일러
JPS605208Y2 (ja) 石油燃焼器
KR200198405Y1 (ko) 석유 난방기구의 세라믹 방열장치
JP3594458B2 (ja) 燃焼装置
KR200376684Y1 (ko) 튜브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