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328Y1 -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 Google Patents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328Y1
KR200375328Y1 KR20-2004-0032995U KR20040032995U KR200375328Y1 KR 200375328 Y1 KR200375328 Y1 KR 200375328Y1 KR 20040032995 U KR20040032995 U KR 20040032995U KR 200375328 Y1 KR200375328 Y1 KR 200375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safety
mesh
net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평
성수복
Original Assignee
김길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평 filed Critical 김길평
Priority to KR20-2004-0032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8Special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형을 손쉽게 가할 수 있는 망 형태의 매쉬망 본체와; 상기, 매쉬망 본체의 최상부와 양측 외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간극 유지대와; 상기, 매쉬망 본체 최상부에 설치되는 전,후 간극 유지대 사이공간에 등간격으로 수개 연결 설치되어 초기 설치 상태의 변동이 발생시 스위치 작용을 통해 감지한 후 이러한 감지신호를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에 송출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감지 스위치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의해, 균열로 인한 누수와 이로 인한 형태 변형과 같은 파손의 우려가 예견되고 진행되는 터널 구간 내에 설치하여 겨울철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결빙체가 도로로 낙하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균열로 인해 발생될 터널 내의 변형 정도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어, 관리상의 편리성과 더불어 신속 대응을 취할 수 있고, 더불어 터널 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 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a safety net for safety sensing of tunnel inside }
본 고안은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균열로 인한 누수와 이로 인한 형태 변형과 같은 파손의 우려가 예견되고 진행되는 터널 구간 내에 설치하여 겨울철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결빙체가 도로로 낙하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균열로 인해 발생될 터널 내의 변형 정도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어, 관리상의 편리성과 더불어 신속 대응을 취할 수 있고, 더불어 터널 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 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용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에는 크게 산악 터널, 방재적 터널(낙석방지 등)에서 설치하는 터널, 시가지 또는 그 주변에서 토지 고도 이용의 목적으로 설치하는 터널(지하도), 수저 터널 등이 있다.
이러한 터널 대부분은 초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하중에 의한 균열 또는 콘크리트 자체 부식등의 원인으로 부분 균열이 발생되어 천장과 벽면 등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된다.
여기서, 이렇게 발생된 누수는 터널 내를 운행하는 차량을 오염시키는가 하면 운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를 제공하였다.
특히, 대기의 기온이 급강하하는 겨울철에는 누수가 고드름과 같은 결빙체로 변하므로 운행 중에 있는 차량 파손과 더불어 대형 교통 사고를 유발시킬 우려를 한층 고조시켰다.
한편, 이러한 문제는 전동차 또는 전차 전용 터널의 경우 그 심각성을 더욱 고조시키는데, 전동차의 경우는 고드름을 부서뜨리면서 주행하여도 큰 문제가 없으나, 전차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발생된다.
즉, 터널의 천장으로부터 생성되어 발전한 고드름은 낙하시 가공선로에 접촉하게 되고, 이와 같이 고드름에 의해 고압의 전류가 누전 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고 가공선로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법이 고안되었는바, 첫번째는 철판에 열선을 부착시킨 후 이를 터널 상부에 부착하여서 누수가 얼지 않도록 하는 게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열풍이 분사되는 호스를 터널 내에 설치하여서 터널 상부에 열풍이 분사되도록 하므로 누수가 얼지 않도록 하는 게 한 예이다.
그런데 이러한 두 가지 방법들은 설치상태 및 내구성이 약하여 운행하는 차량이 고속 주행시 발생되는 풍압, 진동 등에 의해 열선, 호스 등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끊어지고 파손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실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이러한 설치물이 이탈 낙하할 경우 대형사고를 불러일으킬게 당연히 예측되므로 항상 주위 관리를 소홀히 할 수 없어 유지 관리상의 상당한 불편함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제조가가 너무 높고,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을 통한 가동을 취해야 함에 따라 실적용하는데 있어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구조가 복잡하고, 고하중을 취하므로 제작 및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계절이 바뀌면 다시 해체하여 보관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불편은 물론이고 보관상의 애로사항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까지도 한겨울에는 주기적으로 터널을 순시하며 작업자가 긴 길이의 절연봉 등으로 터널 천장 등에 생성된 고드름을 절단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균열로 인한 누수와 이로 인한 형태 변형과 같은 파손의 우려가 예견되고 진행되는 터널 구간 내에 설치하여 겨울철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결빙체가 도로로 낙하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균열로 인해 발생될 터널 내의 변형 정도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어, 관리상의 편리성과 더불어 신속 대응을 취할 수 있고, 더불어 터널 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 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용 안전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변형을 손쉽게 가할 수 있는 망 형태의 매쉬망 본체와; 상기, 매쉬망 본체의 최상부와 양측 외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간극 유지대와; 상기, 매쉬망 본체 최상부에 설치되는 전,후 간극 유지대 사이 공간에 등간격으로 수개 연결 설치되어 초기 설치 상태의 변동이 발생시 스위치 작동을 통해 감지한 후 이러한 감지신호를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에 송출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감지 스위치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의 요부 구성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널 2 : 조명등
10 : 매쉬망 본체 12 : 간극 유지대
14 : 자료획득시스템 16 : 감지 스위치부
18 : 스위치 막대 20 : 연결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의 요부 구성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을 손쉽게 가할 수 있는 망 형태의 매쉬망 본체(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매쉬망 본체(10)의 최상부와 양측 외부에는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간극 유지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매쉬망 본체(10) 최상부에 설치되는 전,후 간극 유지대(12) 사이공간에는 초기 설치 상태의 변동이 발생시 스위치 작동을 통해 감지한 후 이러한 감지신호를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14)에 송출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감지 스위치부(16)가 등간격으로 수개 설치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스위치부(16)는 상부와 양측에는 접촉하고 있는 터널 천장 면의 변형에 의해 초기 설치 상태의 변동이 발생시 스위치 작동을 이뤄 이러한 상태를 자료획득시스템(14)으로 자동 송출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막대(18)가 삽입 설치되어 있고, 정중앙 하부에는 상기 간극 유지대(12)와 연결 고정이 가능한연결바(20)가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설치방법과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설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균열로 인한 누수와 이로 인한 형태 변형과 같은 파손의 우려가 예견되고 진행되는 터널(1) 구간 내의 천장 중앙과 양 벽체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간극 유지대(12)를 먼저 설치 고정하고, 상기 천장에 설치된 간극 유지대(12)에 감지 스위치부(16)를 연결 고정한 후 매쉬망 본체(10)를 터널 형상에 맞게 절곡시켜 상기 간극 유지대(12)에 연결 고정시키면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참고로, 이때 상기 감지 스위치부(16)는 조명시설의 전원라인을 따라 관리자가 위치해 있는 컴퓨터에 프로그램된 자료획득시스템(14)과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 스위치부(16)의 설치는 일체로 구비된 스위치 막대(18)를 터널(1) 천장과 벽체면에 일정 눌려지게 조절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설치된 본 고안은 실사용시 상기 감지 스위치부(16)를 통해 터널 천장 부위가 파손되거나 주저앉는 등의 변형이 감지될 시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할 수 있어 붕괴 사고에 대한 사전 조치와 파손 지점의 위치를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겨울철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결빙체가 낙하시 매쉬망 본체(10)를 통해 도로로 낙하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 운행에 장애를 주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통과 차량에 의해 튀어 오르게 되는 이 물질로 부터 조명시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통과차량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관리상의 편리성과 더불어 신속한 안전 대응책을 취할 수 있게 되며, 조명등과 같은 터널 부가 시설물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에 따른 유지 관리 비용상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균열로 인한 누수와 이로 인한 형태 변형과 같은 파손의 우려가 예견되고 진행되는 터널 구간 내에 설치하여 겨울철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결빙체가 도로로 낙하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균열로 인해 발생될 터널 내의 변형 정도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체크할 수 있어, 관리상의 편리성과 더불어 신속 대응을 취할 수 있고, 더불어 터널 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 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 등이 있다.

Claims (2)

  1. 터널 내의 천장등에 부착하여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결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변형을 손쉽게 가할 수 있는 망 형태의 매쉬망 본체(10)와;
    상기, 매쉬망 본체(10)의 최상부와 양측 외부에 연결 고정을 취할 수 있는 간극 유지대(12)와;
    상기, 매쉬망 본체(10) 최상부에 설치되는 전,후 간극 유지대(12) 사이 공간에 등간격으로 수개 연결 설치되어 초기 설치 상태의 변동이 발생시 스위치 작동을 통해 감지한 후 이러한 감지신호를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14)에 송출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감지 스위치부(16)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용 안전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스위치부(16)는 상부와 양측에 접촉하고 있는 터널 천장면의 변형에 의해 초기 설치 상태의 변동이 발생시 스위치 작동을 이뤄 이러한 상태를 자료획득시스템(14)으로 자동 송출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막대(18)가 삽입 설치되어 있고, 정중앙 하부에는 상기 간극 유지대(12)와 연결 고정이 가능한 연결바(20)가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용 안전망.
KR20-2004-0032995U 2004-11-22 2004-11-22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KR200375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95U KR200375328Y1 (ko) 2004-11-22 2004-11-22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95U KR200375328Y1 (ko) 2004-11-22 2004-11-22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826A Division KR20040104441A (ko) 2004-11-22 2004-11-22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328Y1 true KR200375328Y1 (ko) 2005-02-07

Family

ID=4944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95U KR200375328Y1 (ko) 2004-11-22 2004-11-22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3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78B1 (ko) 2008-07-04 2008-12-12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터널 내부 안전 진단용 안전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78B1 (ko) 2008-07-04 2008-12-12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터널 내부 안전 진단용 안전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24124A (zh) 一种公路桥梁的安装方法
KR20190023573A (ko) 도로 결빙방지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KR20040104441A (ko)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KR101570511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노면 결빙 예방 및 제거 장치
KR200375328Y1 (ko)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KR100883400B1 (ko) 터널의 누수감지 및 안전진단장치
KR20040104948A (ko) 터널 내부의 누수 안전 진단용 에어 매트
US20180236281A1 (en) Mobile firefightng unit
KR101931753B1 (ko) 철도레일 융설히터용 고정클립
KR100840950B1 (ko)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진단장치
KR100596539B1 (ko)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KR200375329Y1 (ko) 터널 내부의 누수 안전 진단용 에어 매트
KR200383499Y1 (ko) 도로결빙방지장치 구조
KR200473591Y1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도로 해빙장치
KR102039612B1 (ko) 핸드 레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0449473Y1 (ko) 균열위치 확인 및 계측이 용이한 터널 내 안전진단 장치
KR200472087Y1 (ko) 엘이디 유도등을 갖는 노출형 융설액 분사 헤드
CN208460438U (zh) 一种铠装多芯分支电缆
CN207347980U (zh) 一种防冻融特制混凝土隔离装置
KR20220111157A (ko) 강설 감지센서 모듈
KR20150002063U (ko) 헬리 데크
JP2001201477A (ja) 構造物保全支援システム
KR20100007448U (ko)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CN205329432U (zh) Pc轨道梁加热钢管融冰雪装置
KR200244110Y1 (ko) 터널용 결빙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