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539B1 -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539B1
KR100596539B1 KR1020060000038A KR20060000038A KR100596539B1 KR 100596539 B1 KR100596539 B1 KR 100596539B1 KR 1020060000038 A KR1020060000038 A KR 1020060000038A KR 20060000038 A KR20060000038 A KR 20060000038A KR 100596539 B1 KR100596539 B1 KR 10059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support
semicircular
semi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기
Original Assignee
안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기 filed Critical 안영기
Priority to KR102006000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터널 내부의 천장에 매설되는 매설바가 형성되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지지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고리가 배열된 걸이고정대와;
상부에 상기 걸이고정대의 걸고리에 걸림고정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되며, 전후방측면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터널 내측면과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반원형상을 이루는 사각관체로 터널 내측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된 반원지지대와;
상기 반원지지대의 지지공에 삽입되어 중심의 체결핀에 의해 상하측으로 신축되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반원지지대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와 내측에 위치된 부위의 색상을 다르게 도색하여 터널 내측면의 균열시 상하로 돌출되어 상반된 색상을 노출시켜 균열지점을 외부에 쉽게 알리는 다수개의 탄발스페이서와;
상기 반원지지대의 사이에 위치되어 내측으로 요부(凹部)형성된 반원형상의 판체로 양측단에 인접된 반원지지대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체결바가 형성되어 누수를 양측단으로 유도하는 반원형배수판과;
상기 반원지지대의 양단과 상기 반원형배수판의 양단에 길게 고정결합되어 반원형배수판에 흐르는 누수를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공이 형성된 집수구를 구비하는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여 특정지점에서 누수가 발생시 누수를 양측 하부에 위치한 집수구로 유도 집수할 수 있고, 누수가 발생된 지점을 예측하여 이에 손쉽게 대응을 이룰 수 있으며, 탄발력에 의해 일정 상태를 유지하는 탄발스페이서가 터널 내부의 특정부위에 균열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 상부 또는 하부로 상반된 색상이 튀어나와서 외부의 작업자가 이러한 지점의 파악을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발스페이서, 반원지지대, 걸이고정대, 반원형배수판, 집수구

Description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Safety sensing apparatus for watching leaking water and crack of tunnel inside}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시공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시공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집수구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반원지지대와 탄발스페이서 및 반원형배수판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탄발스페이서 11 : 체결핀
12 : 스프링 20 : 반원지지대
21 : 지지공 22 : 체결공
23 : 고리 30 : 걸이고정대
31 : 매설바 32 : 지지대
33 : 걸고리 40 : 반원형배수판
41 : 체결바 50 : 집수구
51 : 유도공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여 특정지점에서 누수가 발생시 누수를 양측 하부에 위치한 집수구로 유도 집수할 수 있고, 누수가 발생된 지점을 예측하여 이에 손쉽게 대응을 이룰 수 있으며, 탄발력에 의해 일정 상태를 유지하는 탄발스페이서가 터널 내부의 특정부위에 균열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 상부 또는 하부로 상반된 색상이 튀어나와서 외부의 작업자가 이러한 지점의 파악을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에는 크게 산악 터널, 방재적 터널(낙석방지 등)에서 설치하는 터널, 시가지 또는 그 주변에서 토지 고도 이용의 목적으로 설치하는 터널(지하 도), 수저 터널 등이 있다.
이러한 터널 대부분은 초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하중에 의한 균열 또는 콘크리트 자체 부식등의 원인으로 부분 균열이 발생되어 천장과 벽면 등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된다.
여기서, 이렇게 발생된 누수는 터널 내를 운행하는 차량을 오염시키는가 하면 운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를 제공하였다. 특히, 대기의 기온이 급강하하는 겨울철에는 누수가 고드름으로 변하므로 운행중에 있는 차량 파손과 더불어 대형 교통 사고를 유발시킬 우려를 한층 고조시켰다.
한편, 이러한 문제는 전동차 또는 전차 전용 터널의 경우 그 심각성을 더욱 고조시키는데, 전동차의 경우는 고드름을 부서뜨리면서 주행하여도 큰 문제가 없으나, 전차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발생된다. 즉, 터널의 천정으로부터 생성되어 발전한 고드름은 낙하시 가공선로에 접촉하게 되고, 이와 같이 고드름에 의해 고압의 전류가 누전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고 가공선로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법이 고안되었는바, 첫번째는 철판에 열선을 부착시킨 후 이를 터널 상부에 부착하여서 누수가 얼지 않도록 하는게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열풍이 분사되는 호스를 터널 내에 설치하여서 터널 상부에 열풍이 분사되도록 하므로 누수가 얼지 않도록 하는게 한 예이다.
그런데 이러한 두 가지 방법들은 설치상태 및 내구성이 약하여 운행하는 차 량이 고속 주행시 발생되는 풍압, 진동등에 의해 열선, 호스등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끊어지고 파손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실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이러한 설치물이 이탈 낙하할 경우 대형사고를 불러 일으킬게 당연히 예측되므로 항상 주위 관리를 소홀히 할 수 없어 유지 관리상의 상당한 불편함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제조가가 너무 높고,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을 통한 가동을 취해야 함에 따라 실적용하는데 있어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구조가 복잡하고, 고하중을 취하므로 제작 및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계절이 바뀌면 다시 해체하여 보관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불편은 물론이고 보관상의 애로사항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까지도 한겨울에는 주기적으로 터널을 순시하며 작업자가 긴 길이의 절연봉 등으로 터널 천장 등에 생성된 고드름을 절단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널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여 특정지점에서 누수가 발생시 누수를 양측 하부에 위치한 집수구로 유도 집수할 수 있고, 누수가 발생된 지점을 예측하여 이에 손쉽게 대응을 이룰 수 있으며, 탄발력에 의해 일정 상태를 유지하는 탄발스페이서가 터널 내부의 특정부위에 균열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 상부 또는 하부로 상반된 색상이 튀어나와서 외부의 작업자가 이러한 지점의 파악을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천장에 매설되어 누수를 양측단으로 유도하는 배수판이 형성되고, 배수판을 통해 집수되는 집수구가 형성되는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터널 내부의 천장에 매설되는 매설바가 형성되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지지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고리가 배열된 걸이고정대와;
상부에 상기 걸이고정대의 걸고리에 걸림고정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되며, 전후방측면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터널 내측면과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반원형상을 이루는 사각관체로 터널 내측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된 반원지지대와;
상기 반원지지대의 지지공에 삽입되어 중심의 체결핀에 의해 상하측으로 신축되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반원지지대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와 내측에 위치된 부위의 색상을 다르게 도색하여 터널 내측면의 균열시 상하로 돌출되어 상반된 색상을 노출시켜 균열지점을 외부에 쉽게 알리는 다수개의 탄발스페이서와;
상기 반원지지대의 사이에 위치되어 내측으로 요부(凹部)형성된 반원형상의 판체로 양측단에 인접된 반원지지대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체결바가 형성되어 누수를 양측단으로 유도하는 반원형배수판과;
상기 반원지지대의 양단과 상기 반원형배수판의 양단에 길게 고정결합되어 반원형배수판에 흐르는 누수를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공이 형성된 집수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시공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시공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집수구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터널 내부의 안전 진단장치의 반원지지대와 탄발스페이서 및 반원형배수판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는, 터널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반원지지대(20)를 터널 상부에서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고정대(30)와, 터널 내측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되는 반원지지대와(20), 반원지지대(20)에 다수개 탄발설치되어 터널 내측면의 변 형시 돌출 또는 함몰되어 색상을 변화시키는 탄발스페이서(10)와, 반원지지대(20)의 사이에 고정결합되어 연결시켜주고 누수를 양측단으로 배출유도하는 반원형배수판(40)과, 유도되어 배출되는 누수를 모아 하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50)로 구성된다.
상기 탄발스페이서(10)는 상기 반원지지대(20)의 지지공(21)에 삽입되어 중심의 체결핀(11)에 의해 상하측으로 신축되는 스프링(12)이 장착되고 반원지지대(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와 내측에 위치된 부위의 색상을 다르게 도색하여 터널 내측면의 균열로 인한 내측면의 변형시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어 상반된 색상을 외부로 노출시켜 균열지점을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에 반원지지대(20)는 터널 내측면과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반원형상을 이루는 사각관체로서 터널 내측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된 것으로, 중심측에는 걸이고정대(30)의 걸고리(31)에 걸림고정되는 고리(23)가 형성되고, 고리(23)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공(21)이 형성되며, 전후방측에는 반원형판체(40)가 삽입고정되는 체결공(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고정대(30)는 반원지지대(20) 터널 상부에 걸림고정시키는 것으로, 상부에는 터널 내부의 천장에 매설되는 매설바(31)가 형성되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지지대(32)가 형성되며, 지지대(32) 하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고리(33)가 배열되어 반원지지대(20)의 고리(23)가 걸림고정된다.
상기 반원형배수판(40)은 상기 반원지지대(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연결되고 중심측이 내측으로 요부(凹部)형성된 반원형상의 판체로, 양측단에는 인접된 반원지지대(20)의 전후방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22)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체결바(41)가 형성되어 누수를 양측단으로 유도한다.
상기 집수구(50)는 상기 반원지지대(20)의 양단과 상기 반원형배수판(40)의 양단에 길게 고정결합되어 반원형배수판(40)에 흐르는 누수를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공(51)이 형성되어 터널 내부의 양측단 하부로 누수를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널 내부의 중심측 상단에 걸이고정대(30)의 앵측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매설바(31)를 매설고정킨다.
이 상태에서 터널 내측면과 일정거리로 이격되는 반원지지대(20)를 고정시켜야 하는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반원지지대(20)의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된 고리(23)를 걸이고정대(30) 하부의 걸고리(33)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반원지지대(20)의 지지공(21)에 체결핀(11)에 걸림고정된 스프링(12)에 의해 상하로 탄발되는 탄발스페이서(10)를 설치하되, 내측단은 도 4와 같이, 터널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도록 형성되긴 다음, 반원지지대(20)에서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는 내측면에 위치된 부위와 한눈에 구별, 대비되는 색상을 도색한다.
이 다음, 반원지지대(20)의 전후방측면에 형성된 체결공(22)에 반원형배수판(40)의 체결바(41)를 삽입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런 상태로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반원형지지대(20)와 반원형배수판 (40)을 반복적으로 배열한 다음에는, 그 양측단에 집수구(50)를 고정시키되, 반원형배수판(40)의 중심측에 유도공(51)이 위치되도록 체결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도 1과 같이, 반원지지대(20)와 반원형배수판(40) 및 집수구(50)를 미리 조립한 다음에 터널 상단에 고정된 걸이고정대(30)의 걸고리(33)에 고리(23)를 걸어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에는 반원지지대(20)와 반원형배수판(40) 및 집수구(50)를 걸이고정대(30)에 고정시킨 다음에 반원지지대(20)에서 돌출된 탄발스페이서(10)의 돌출부위를 눈에 띄는 대비색상으로 채색하여야 한다.
이런 상태에서, 터널 내부의 특정지점에 누수가 발생될 때에는, 반원형배수판(40)에 의해 누수를 양측하단에 위치한 집수구(50)의 유도공(51)으로 유도하여 집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누수가 발생된 지점을 예측하여 이에 손쉽게 대응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널 내부의 특정부위에 균열과 같은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는, 이 지점을 탄발력을 가해 지압하고 있던 탄발스페이서(10)가 터널 변형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튀어나오는 과정에서 반원지지대(20)에 취부되어 있던 탄발스페이서(10)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과정에서 상반된 색체가 노출되어 작업자가 이러한 지점의 파악을 외부에서 손쉽게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조치를 바로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여 특정지점에서 누수가 발생시 누수를 양측 하부에 위치한 집수구로 유도 집수할 수 있고, 누 수가 발생된 지점을 예측하여 이에 손쉽게 대응을 이룰 수 있으며, 탄발력에 의해 일정 상태를 유지하는 탄발스페이서가 터널 내부의 특정부위에 균열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 상부 또는 하부로 상반된 색상이 튀어나와서 외부의 작업자가 이러한 지점의 파악을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터널 내부의 천장에 매설되어 누수를 양측단으로 유도하는 배수판이 형성되고, 배수판을 통해 집수되는 집수구가 형성되는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터널 내부의 천장에 매설되는 매설바가 형성되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지지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고리가 배열된 걸이고정대와;
    상부에 상기 걸이고정대의 걸고리에 걸림고정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되며, 전후방측면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터널 내측면과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반원형상을 이루는 사각관체로 터널 내측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된 반원지지대와;
    상기 반원지지대의 지지공에 삽입되어 중심의 체결핀에 의해 상하측으로 신축되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반원지지대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와 내측에 위치된 부위의 색상을 다르게 도색하여 터널 내측면의 균열시 상하로 돌출되어 상반된 색상을 노출시켜 균열지점을 외부에 쉽게 알리는 다수개의 탄발스페이서와;
    상기 반원지지대의 사이에 위치되어 내측으로 요부(凹部)형성된 반원형상의 판체로 양측단에 인접된 반원지지대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체결바가 형성되어 누수를 양측단으로 유도하는 반원형배수판과;
    상기 반원지지대의 양단과 상기 반원형배수판의 양단에 길게 고정결합되어 반원형배수판에 흐르는 누수를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공이 형성된 집수구를 구비하는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KR1020060000038A 2006-01-02 2006-01-02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KR10059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038A KR100596539B1 (ko) 2006-01-02 2006-01-02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038A KR100596539B1 (ko) 2006-01-02 2006-01-02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6539B1 true KR100596539B1 (ko) 2006-07-05

Family

ID=3718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038A KR100596539B1 (ko) 2006-01-02 2006-01-02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5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2077A (zh) * 2011-07-19 2012-01-18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塑料排水板式导流减压防渗体结构施工方法
KR20180097954A (ko) 2017-02-24 2018-09-03 (주)세원개발 터널안전을 위한 유,무선 스마트 통합 감지시스템
CN109013174A (zh) * 2018-08-08 2018-12-18 阮春花 一种组合式路灯灯柱刷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948A (ko) * 2004-11-22 2004-12-13 김길평 터널 내부의 누수 안전 진단용 에어 매트
KR20060000386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메틱스 단말기를이용한 피오아이 위치 표시및경로설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386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메틱스 단말기를이용한 피오아이 위치 표시및경로설정 시스템
KR20040104948A (ko) * 2004-11-22 2004-12-13 김길평 터널 내부의 누수 안전 진단용 에어 매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104948
1020060000038 - 62813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2077A (zh) * 2011-07-19 2012-01-18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塑料排水板式导流减压防渗体结构施工方法
KR20180097954A (ko) 2017-02-24 2018-09-03 (주)세원개발 터널안전을 위한 유,무선 스마트 통합 감지시스템
CN109013174A (zh) * 2018-08-08 2018-12-18 阮春花 一种组合式路灯灯柱刷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684B1 (ko) 융설 기능이 구비된 사장교 케이블
KR100596539B1 (ko)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 진단장치
CU20110183A7 (es) Sistemas y métodos para marcar y detectar instalaciones subterráneas
KR100883400B1 (ko) 터널의 누수감지 및 안전진단장치
US7694641B2 (en) Snow marker for fire hydrants and other utilities
RU164052U1 (ru) Оголовок наблюдательной самоизливающейся скважины
ES2637717T3 (es) Placa de resbalamiento de una aguja de cambio
KR20040104948A (ko) 터널 내부의 누수 안전 진단용 에어 매트
KR100840950B1 (ko)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진단장치
KR101328067B1 (ko) 터널 진출입로의 결빙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375329Y1 (ko) 터널 내부의 누수 안전 진단용 에어 매트
KR100796532B1 (ko) 동파 방지기능을 갖는 배수관
KR200449473Y1 (ko) 균열위치 확인 및 계측이 용이한 터널 내 안전진단 장치
KR200444017Y1 (ko) 터널 내부의 누수와 균열을 감시할 수 있는 안전진단장치
KR200472087Y1 (ko) 엘이디 유도등을 갖는 노출형 융설액 분사 헤드
CN112376414B (zh) 一种现浇混凝土桥梁桥面伸缩缝防渗漏水装置及防渗漏水方法
CN109193517B (zh) 一种电力工程用电缆接线防护装置及使用方法
KR20100007448U (ko) 터널 내부 안전진단용 안전망
CA2802204A1 (en) Ice and slush mitigation for bridge supports and other overhead bridge structures
CN207200235U (zh) 一种电缆保护结构
CN218599020U (zh) 车辆段运用库内空气采样管布设结构
KR200460573Y1 (ko) 앵커볼트에 직접 결합 가능한 누설 동축 케이블 클램프
US6082409A (en) Thawing tube guide for a culvert
RU94596U1 (ru) Водосточная труба
KR100872378B1 (ko) 터널 내부 안전 진단용 안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