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227Y1 -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227Y1
KR200374227Y1 KR20-2004-0030173U KR20040030173U KR200374227Y1 KR 200374227 Y1 KR200374227 Y1 KR 200374227Y1 KR 20040030173 U KR20040030173 U KR 20040030173U KR 200374227 Y1 KR200374227 Y1 KR 200374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anel
heat
heating
connec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식
유승청
Original Assignee
정홍식
유승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식, 유승청 filed Critical 정홍식
Priority to KR20-2004-0030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되는 히트패널 간에 높낮이차, 이격 및 유동 발생이 저지되어 누수 또는 전선단락 등이 방지되고 수평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생산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수관과 전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발열수단이 내설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히트패널의 연결부 둘레에 입구가 측방으로 개방되어 결속구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요홈이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이 형성된 히트패널 사이에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삽지부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속구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요홈은 마감대에 형성되어 히트패널의 연결단부에 취부되며, 상기 요홈에는 결속구 조립시 유동이 방지되기 위한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는 양측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삽지부에 상기 걸림홀에 대응하는 걸림돌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트패널에서 발열수단의 외부연결을 위한 연결목에는 하나 이상의 발열수단 관통로가 상부체와 하부체에 분할형성되어 조합되는 연결목프레임이 취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DRY INSTALLATION CONNECT STRUCTURE OF HEAT PANNEL}
본 고안은 난방용 히트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인접 연결되는 히트패널 간에 높낮이차, 이격 및 유동 발생이 저지되어 누수 또는 전선단락 등이 방지되고 수평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생산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물의 바닥난방을 위한 온돌시공법으로 슬라브면 위에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온수관을 배관하며 계속하여 시멘트몰탈 미장을 함으로써 완성하는 습식공법이 보편화되어 있으나, 이러한 습식공법은 다수의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공장에서 단열판 위에 발열수단인 온수관 또는 전열선 등을 배설하고 그 위에 마감재를 덮어 패널화하여 제작된 히트패널을 현장에서 배설 조립하는 건식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난방용 히트패널에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열수단으로서 열전도성이 뛰어난 히트파이프가 결합되고 있기도 하다.
그리하여 건식공법에 사용되는 히트패널은 발열수단에 따라 온수관, 또는 온수관과 히트파이프가 복합구성되는 온수패널, 전열선 또는 전열선과 히트파이프가 복합구성되는 전기패널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반 세라믹 합판, 황토, 옥돌, 등 패널의 소재에 따라 다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건식공법에 사용되는 이러한 난방용 히트패널(100)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끼움결합되는 요철(113)(114), 다시 말하면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자유로운 수직관통형 요철(113)(114)이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직관통형 요철결합구조는 끼워맞춤 연결은 가능하나 수평을 잡아주지 못함으로 패널간에 높낮이차가 발생되는 한편, 이러한 높낮이차에 의한 기울기 발생으로 연결부에 틈새가 발생되고 패널간에 유동이 발생되어 누수 또는 전선 단락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온수관 또는 전기배선 등이 들어가고 나오는 발열수단(111)의 연결목의 프레임(117)은 판재에 관통로를 형성한 후 절곡하여 용접이음함으로써 공수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접 연결되는 히트패널 간에 높낮이차, 이격 및 유동 발생이 저지되어 누수 또는 전선단락 등이 방지되고 수평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목프레임이 단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상태 일부 상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들의 연결상태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연결상태 일부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히트패널 11: 발열수단 13: 요홈
13a: 마감대 13b: 걸림홀 17: 연결목프레임
17a: 상부체 17b: 하부체 17c: 관통로
20: 결속구 21: 삽지부 21a; 걸림돌부
23: 가이드돌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는, 온수관과 전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발열수단이 내설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히트패널의 연결부 둘레에 입구가 측방으로 개방되어 결속구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요홈이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이 형성된 히트패널 사이에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삽지부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속구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요홈은 마감대에 형성되고, 상기 마감대가 히트패널의 연결단부에 취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요홈에는 결속구 조립시 유동이 방지되기 위한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는 양측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삽지부에 상기 걸림홀에 대응하는 걸림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히트패널에서 발열수단의 외부연결을 위한 연결목에는 하나 이상의 발열수단 관통로가 상부체와 하부체에 분할형성되어 조합되는 연결목프레임이 취부된다.
이하, 본 고안의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연결상태를 보이는 일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1)는 온수관과 전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발열수단(11)이 내설되는 난방용 히트패널(1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히트패널(10)의 연결부 둘레에 입구가 측방으로 개방되어 결속구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요홈(13)이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13)이 형성된 히트패널(10) 사이에 상기 요홈(13)에 끼워지는 삽지부(21)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속구(20)가 부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요홈(13)은 마감대(13a)에 형성되고, 상기 마감대(13a)가 히트패널(10)의 연결단부 둘레에 취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13)과 결속구(20)의 모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요홈(13)의 단면은모양으로 되어 인접하는 히트패널(10)이 상호 대향하여 배설되고, 상기 결속구(20)는 이에 대응하여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바아 형태로 된다(도 1, 도 2 참조).
또한, 상기 결속구(20)는 삽지부(21)를 양측에 형성하고 패널의 높낮이(h)와 일치되도록 상하로 돌출되는 가이드돌부(23)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도 3a 참조). 또한, 상기 결속구(20)의 단면이 마름모 형태 또는 원형으로 되고, 상기 요홈(13)이 이에 대응 형성되어도 무방하다(도 3b, 도 3c 참조).
또한, 상기 요홈(13)에는 결속구 조립시 유동이 방지되기 위한 걸림홀(13b)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20)는 양측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삽지부(21)에 상기 걸림홀(13b)에 대응하는 걸림돌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도 3d 참조).
상기 히트패널(10)에서 발열수단(11)의 외부연결을 위한 연결목에는 하나 이상의 발열수단 관통로(17c)가 상부체(17a)와 하부체(17b)에 분할형성되어 조합되는 연결목프레임(17)이 취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대(13a) 및 결속구(20)는 금속재를 비롯하여 목재,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본 고안은 히트패널을 이용하여 난방을 시공하는 건식공법에 있어서, 상기 히트패널(10)의 요홈(13)과 결속구(20)를 이용하여 상호 유격이 방지되는 견고한 결속과 수평시공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히트패널(10)에 형성된 상기 요홈(13)이 삽지방향이 수평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히트패널(10) 사이에 상기 요홈(20)에 대응하는 삽지부(21)가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는 바아형태의 결속구(20)가 개입됨으로 인접 연결되는 히트패널(10) 간에 높낮이차, 이격 및 유동 발생이 저지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요홈(13)에 걸림홀(13b)이 형성되고, 삽지부(21)에 걸림돌부(21a)가 형성된 결속구(20)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연결시킨 경우에는 탈거가 방지되는 더욱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결되는 인접 히트패널(10) 간에 수평이 자연적으로 잡혀지고 유동발생이 차단됨으로 히트패널에 내설되는 온수관, 전열선, 또는 히트파이프와 같은 발열수단(11)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누수 또는 전선단락 등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연결목프레임(17)은 상부체(17a)와 하부체(17b)로 분할 형성되어 단순 조립식으로 취부됨으로써, 관통로를 가공하고 절곡하여 용접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는, 인접 연결되는 히트패널 간에 높낮이차, 이격 및 유동 발생이 저지되어 누수 또는 전선단락 등이 방지되고 수평시공이 자연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목프레임은 단순 조립식으로 취부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온수관과 전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발열수단(11)이 내설되는 난방용 히트패널(1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히트패널(10)의 연결부 둘레에 입구가 측방으로 개방되어 결속구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요홈(13)이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13)이 형성된 히트패널(10) 사이에 상기 요홈(13)에 끼워지는 삽지부(21)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속구(20)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13)은 마감대(13a)에 형성되고, 상기 마감대(13a)가 히트패널(10)의 연결단부에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13)에는 결속구 조립시 유동이 방지되기 위한 걸림홀(13b)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20)는 양측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삽지부(21)에 상기 걸림홀(13b)에 대응하는 걸림돌부(21a)가 중앙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20)는 상기 삽지부(21)를 양측에 형성하고 히트패널의 높낮이와 일치되도록 상하로 돌출되는 가이드돌부(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패널(10)에서 발열수단(11)의 외부연결을 위한 연결목에는 하나 이상의 발열수단 관통로(17c)가 상부체(17a)와 하부체(17b)에 분할형성되어 조합되는 연결목프레임(17)이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KR20-2004-0030173U 2004-10-26 2004-10-26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KR200374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173U KR200374227Y1 (ko) 2004-10-26 2004-10-26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173U KR200374227Y1 (ko) 2004-10-26 2004-10-26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227Y1 true KR200374227Y1 (ko) 2005-01-26

Family

ID=4944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173U KR200374227Y1 (ko) 2004-10-26 2004-10-26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22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37A1 (ko) * 2009-10-13 2011-04-21 Park Byoung Seo 온돌 난방용 패널 조립체
CN111174267A (zh) * 2020-02-28 2020-05-1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地暖用沟槽保温模块及其使用方法
KR20200059470A (ko) * 2018-11-21 2020-05-29 옥 자 윤 경량전열패널
EP3760934A1 (en) * 2019-07-01 2021-01-06 Fundació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Heat-radi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20220106599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코인 심미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복사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37A1 (ko) * 2009-10-13 2011-04-21 Park Byoung Seo 온돌 난방용 패널 조립체
KR20200059470A (ko) * 2018-11-21 2020-05-29 옥 자 윤 경량전열패널
KR102140100B1 (ko) 2018-11-21 2020-07-31 옥 자 윤 경량전열패널
EP3760934A1 (en) * 2019-07-01 2021-01-06 Fundació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Heat-radi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CN111174267A (zh) * 2020-02-28 2020-05-1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地暖用沟槽保温模块及其使用方法
KR20220106599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코인 심미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복사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448632B1 (ko) * 2021-01-22 2022-09-29 주식회사 베노홀딩스 심미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복사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JPH02263495A (ja) 基板接続構造
KR200374227Y1 (ko) 난방용 히트패널의 건식시공 연결구조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CN107171262B (zh) 一种多片立式母排的交叉结构及交叉方法
CN106049908A (zh) 泳池落地式玻璃墙安装结构
JP4916588B1 (ja) 太陽光発電パネル装置
CN108425435A (zh) 压卡导流密封条、导流密封墙体及其施工方法
CN106253180A (zh) 一种复合浇注耐火母线槽
CN205752629U (zh) 电连接器
CN102127956A (zh) 铺板连接件及铺板连接结构
KR100842794B1 (ko)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전기선 매설구조
CN206250414U (zh) 一种能够按需在接线盒上插拔的接头
CN207277622U (zh) 复合墙面结构
CN106961032A (zh) 电源连接器及其制备方法
KR102669552B1 (ko)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한 샌드위치판넬
CN210917851U (zh) 顶龙骨
CN104005526A (zh) 室内建筑取暖装饰墙板
KR200423752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KR101626609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20150097960A (ko) 온수난방패널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구조
KR101372070B1 (ko) 전기배선박스
CN217388164U (zh) 一种免焊接电线的大电流连接器
KR200445966Y1 (ko) 난방용 바닥재
CN220209399U (zh) 一种拼接式的焊接组合母线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