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701Y1 -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701Y1
KR200373701Y1 KR20-2004-0023450U KR20040023450U KR200373701Y1 KR 200373701 Y1 KR200373701 Y1 KR 200373701Y1 KR 20040023450 U KR20040023450 U KR 20040023450U KR 200373701 Y1 KR200373701 Y1 KR 200373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d
crushing
bowl cup
bundle
hemi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회
박세연
Original Assignee
박순회
박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회, 박세연 filed Critical 박순회
Priority to KR20-2004-0023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44Preparation of bone graft, bone plugs or bone dowels, e.g. grinding or milling bon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9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physical conditions of the treatment, e.g.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mposition, pressure cycles, ultrasonic/sonication or microwave treatment,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44Preparation of bone graft, bone plugs or bone dowels, e.g. grinding or milling bone material
    • A61F2002/4645Devices for grinding or milling bon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자가본이 으깨짐이 아닌 조각화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 골조직을 온전히 보존시킴에 따라 이식 복원성형과 임플란트 구조체에 대한 골유착 및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 성공율을 극대화시키며, 파쇄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취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자가본 파쇄분을 별도의 용기로 옮겨담을 필요가 없어짐으로 시술작업이 현저히 간편해지도록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자가본 파쇄기구에 있어서, 바닥면이 반구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오목공간이 구비된 보울컵과; 상기 보울컵이 안착 지지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체와; 상기 보울컵의 반구형 오목공간에 대응하는 파쇄부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소형 오목공간이 형성된 파쇄뭉치와; 상기 파쇄뭉치의 소형 오목공간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상부에는 플랜지형으로 된 헤드가 형성된 타격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울컵 반구형 오목공간 바닥면과 파쇄뭉치의 파쇄부 저면 중 어느 한 쪽에는 돌기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타격자는 헤드가 수직길이는 짧고 평면적은 넓게 형성되어 상기 파쇄뭉치의 상면에 덮여지는 마개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A CRUSHER FOR DENTAL SURGERY SELF-BONE}
본 고안은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자가본이 으깨짐이 아닌 조각화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 골조직을 온전히 보존시킴에 따라 이식 복원성형과 임플란트 구조체에 대한 골유착 및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 성공율을 극대화시키며, 파쇄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취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타격소음을 저감시켜 환자에게 안정된 환경을 조성하고, 자가본 파쇄분을 별도의 용기로 옮겨담을 필요가 없어짐으로 시술작업이 현저히 간편해지도록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대체물로서 외형 및 기능면에서 자연치아와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형성하는 인공치아이다.
종래 인공치아의 형성방법인 보철은 주변의 다른 여러 치아를 깎아내야 함으로 건실한 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수명도 길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는 임플란트 방식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인공치아의 임플란트 시술은 인공치아의 뿌리로 기능하는 임플란트 구조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골유착이 이루어진 후, 상기 임플란트 구조체에 보철물을 고정하고, 이 후 상기 보철물을 골조로 하여 인공치아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인공치아는 주변의 다른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식립이 완료된 후에는 자연치아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외형과 기능을 다하고 수명도 관리상태에 따라 반영구적인 장점이 있어 널리 각광받고 있다.
임플란트 인공치아 시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대한 골유착 및 지지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견고한 치조골이 필수요건이 되는데, 특히 상악 치조골은 피질골이 적을 뿐만 아니라 골조직이 매우 엉성하며 치밀하지 못하고, 또한 손상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임프란트 구조체의 골유착이 어렵고, 따라서 좋은 예후를 보장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하악골 등에서 자가본(SELF BONE)을 채취, 파쇄하여 시술위치에 충진 이식시켜 임플란트 구조체가 식립될 수 있는 치조골을 구축하는 자가본 이식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가본 이식에서 자가본의 이식 복원성형, 임플란트 구조체에 대한 골유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가본의 미세 골조직이 손상받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는 자가본의 파쇄과정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자가본 파쇄구(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베이스체(120), 상기 베이스체(120)에 안치되며 오목공간(113)이 형성된 보울컵(110), 상기 보울컵(110)의 오목공간(110)에 끼워지는 파쇄뭉치(130), 상기 파쇄뭉치(130)에 착탈되는 길다란 타격봉(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울컵(110) 오목공간의 바닥(111)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파쇄뭉치(130)의 저면(131)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면 상에 十자 형태의 돌출부(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十자 형태의 돌출부(131a) 역시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파쇄뭉치(130) 상부에도 상기 타격봉(140)이 끼워지는 소형 오목공간(133)이 형성되어 있어 자가본의 량이 적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보울컵(110)의 오목공간에 자가본(2)을 넣은 후 파쇄뭉치(130)와 타격봉(140)을 차례로 맞추어 올린 다음 타격봉(140)의 상단을 가격함으로써 자가본을 파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우선, 보울컵(110) 오목공간 바닥면(111)과 이에 대응하는 파쇄뭉치(130)의 저면이 평탄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대개 평편형태로 채취되는 자가본(2)이 납작하게 짓눌려 으깨어짐으로 미세 골조직이 파괴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미세 골조직이 파괴된 자가본은 복원 성형 및 임플란트 구조체에 대한 골유착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미흡하게 일어나 점점 흔들리고 주위 잇몸이 붓거나 염증이 계속됨으로 결국 괴사되어 빼내야 되는데, 이러한 괴사가 불러오는 더욱 큰 문제는 인접하는 건실 치조골까지 손상시켜 최초 1회 시술이 실패할 시는 재시술이 불가능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격봉(140)이 길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머 타격시에는 타격봉(140)을 한 손으로 잡아주는 상태에서 타격해야 되고, 이 때 타격 각도가 수직에서 벗어날 경우 타격봉(140)이 흔들리게 되는 등 매우 불안정하며 작업자가 자신의 손을 타격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이 때문에 반드시 바닥에 놓고 타격을 해야 되는 등으로 취급이 번거로우며 소음발생이 커서 시술환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파쇄된 자가골분은 뭉치기를 위하여 바닥면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경사형성되어 자가골분이 가운데로 모아지도록 하는, '본웰'이라 불리는 별도의 용기에 옮겨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반구형 오목공간이 형성된 보울컵과 그에 대응하는 반구형 파쇄부를 구비한 파쇄뭉치를 구비하고 거기에 또한 파쇄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자가본이 균열에 이은 조각화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 골조직이 온전히 보존되고, 이에 따라 복원성형과 임플란트 구조체에 대한 골유착 및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 성공율을 극대화 시키도록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타격자를 마개형으로 형성하여 파쇄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취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타격소음을 저감시켜 환자에게 안정된 환경을 조성토록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가본 파쇄분을 별도의 용기로 옮겨담을 필요가 없어짐으로 시술작업이 현저히 간편해지고 자가본의 손실도 방지되도록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쇄요철부 돌기의 구성도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격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2: 자가본
10: 보울컵 11: 반구형 오목공간의 바닥면
13; 오목공간 20: 베이스체
21: 홀 23: 요입부
27: 패킹 30: 파쇄뭉치
31: 파쇄부 33: 소형 오목공간
35: 단턱 37: 파지단
40: 타격자 41: 돌출부
43: 헤드 43a: 헤드의 외주연
a: 파쇄요철부의 돌기 C: 파쇄요철부
100: 종래 기술의 자가본 파쇄기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는,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자가본 파쇄기구에 있어서,
바닥면이 반구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오목공간이 구비된 보울컵과;
상기 보울컵이 안착 지지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체와;
상기 보울컵의 반구형 오목공간에 대응하는 파쇄부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소형 오목공간이 형성된 파쇄뭉치와;
상기 파쇄뭉치의 소형 오목공간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상부에는 플랜지형으로 된 헤드가 형성된 타격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보울컵 반구형 오목공간 바닥면과 파쇄뭉치의 파쇄부 저면 중 어느 한 쪽에는 돌기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울컵 반구형 오목공간 바닥면과 파쇄뭉치의 파쇄부 저면에는 돌기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울컵과 파쇄뭉치에 각각 형성되는 파쇄요철부의 돌기는 상호 어긋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체의 외주면 둘레에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미끄럼방지를 위한 패킹이 결속되며,
상기 보울컵의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파쇄뭉치의 소형 오목공간 바닥면과 타격자의 돌출부 저면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파쇄뭉치는 상기 보울컵의 상단과 결합되기 위한 단턱이 상기 파쇄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연하여 상부로 파지단이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파쇄뭉치의 소형 오목공간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격자의 돌출부도 상기 파쇄뭉치의 소형 오목공간에 대응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타격자는 헤드가 수직길이는 짧고 평면적은 넓게 형성되어 상기 파쇄뭉치의 상면에 덮여지는 마개형으로 되고, 헤드의 외주연은 널링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1)는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자가본 파쇄기구에 있어서, 바닥면(11)이 반구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오목공간(13)이 구비된 보울컵(10)과, 상기 보울컵(10)이 안착 지지되기 위한 홀(21)이 형성되는 베이스체(20)와, 상기 보울컵(10)의 반구형 오목공간(13)에 대응하는 파쇄부(31)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소형 오목공간(33)이 형성된 파쇄뭉치(30)와, 상기 파쇄뭉치(30)의 소형 오목공간(33)에 대응하는 돌출부(41)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1) 상부에는 플랜지형으로 된 헤드(43)가 형성된 타격자(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울컵(10) 반구형 오목공간 바닥면(11)과 파쇄뭉치(30)의 파쇄부(31) 저면 중 어느 한 쪽에는 돌기(a)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울컵(10) 반구형 오목공간 바닥면(11)과 파쇄뭉치(30)의 파쇄부(31) 저면 모두에 돌기(a)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C)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울컵(10)과 파쇄뭉치(30)에 각각 파쇄요철부(C)가 형성될 경우, 각각의 돌기(a)는 상호 상호 어긋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울컵(10)과 파쇄뭉치(30)에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는 돌기(a) 사이에는 요부공간(b)이 형성된다.
상기 파쇄요철부(C)에 형성되는 돌기(a)의 모양은 자가본(2)이 자연스럽게 분절됨과 아울러 으깨짐이 방지되기 위하여 원뿔형(도 5의 a 참조), 또는 삼각뿔형(도 5의 b 참조), 사각뿔형(도 5의 c 참조) 등의 다각뿔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요철부에 형성되는 돌기(a)의 밀도 및 크기는 자가본이 500 ∼1000 메쉬 정도의 크기로 조각화 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체(20)의 외주면 둘레에는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입부(23)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요홈(25)을 형성하여 미끄럼방지를 위한 패킹(27)이 결속되며, 상기 보울컵(10)의 외주연에도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부(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쇄뭉치(30)의 소형 오목공간(33) 바닥면과 타격자(40)의 돌출부(41) 저면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a)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뭉치(30)는 상기 보울컵(10)의 상단과 결합되기 위한 단턱(35)이 상기 파쇄부(31)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턱(31)에 연하여 상부로 파지단(37)이 돌출형성되어 마개처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뭉치(30)의 소형 오목공간(33)도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격자(40)의 돌출부(41)도 상기 파쇄뭉치(30)의 소형 오목공간(33)에 대응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격자(40)는 헤드(43)가 수직길이(43h)는 짧고 평면적(43b)은 넓게 형성되어 상기 파쇄뭉치(30)의 상면에 덮여지는 마개형으로 되고, 헤드(43)의 외주연(43a)은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널링처리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작용 상태를 살펴본다.
본 고안은 상기 보울컵(10)의 오목공간 바닥면(11)과 파쇄뭉치(30)의 파쇄부(31)가 반구형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자가본이 으깨지지 않고 분절 파쇄되도록 한다. 즉, 평편상태의 자가본(2)이 반구형 곡면 틈새에서 타격됨으로 일차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고 그 균열을 따라 쪼개지는 조각화 파쇄가 이루어짐으로 미세 골조직이 그대로 보존되는 것이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의 짓눌려 으깨짐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미세 골조직이 거의 그대로 보존된다.
또한, 여기에 돌기(a)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C)가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분절 파쇄작용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파쇄요철부(C)는 돌기(a)가 자가본(2)에 파쇄균열을 일으키고 돌기(a) 사이의 요부공간(b)으로 인하여 분절된 자가본 조각의 분절 조각화 작용을 더욱 배가시킨다. .
또한, 보울컵(10)과 파쇄뭉치(30) 양측에 모두 파쇄요철부(c)가 형성되는 경우 양측의 돌기(a)가 상호 어긋나게 형성됨으로써 자가본에 대한 분절압력이 상하방에서 엇갈려 가해지게 되어 상기 분절 파쇄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된다.
이와 같은 분절 파쇄작용은 소량을 다루기 위한 파쇄뭉치의 소형 오목공간(33)과 타격자(40)의 돌출부(41)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작용된다.
또한, 상기 타격자(40)가 파쇄뭉치(30)의 상면을 거의 덮는 마개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타격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타격자(40)의 헤드(43)가 수직길이(43h)는 짧고 평면적(43b)은 넓은 마개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해머 타격시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던 흔들림 등의 불안정이 없고, 타격자(40)를 손으로 잡아줄 필요가 없음으로 다칠 위험도 없는 안전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쪽 손바닥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하여 타격을 가할 수 있음으로 취급이 간편하며 소음발생이 현저히 저감되어 환자에게 안정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마치 절구와 같은 반구형 오목공간(13)이 형성된 보울컵(10)과 그에 대응하는 반구형 파쇄부(31)를 구비한 파쇄뭉치(30)를 구비하고 거기에 또한 파쇄요철부(C)를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자가본이 으깨짐이 아닌, 균열에 이은 조각화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 골조직이 온전히 보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골조직의 복원성형과 임플란트 구조체의 식립 및 골유착 및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 성공율을 극대화 시키게 된다.
또한, 타격자(40)를 마개형으로 형성하여 파쇄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취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타격소음을 저감시켜 환자에게 안정된 환경을 조성토록 한다.
또한, 상기 보울컵(10) 자체의 오목공간이 반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자가골 파쇄분이 바닥중심으로 모아지게 되어, 파쇄 후, 보울컵(10)을 베이스체(20)로부터 들어내 보울컵(10) 내에서 자가골 파쇄분을 그대로 뭉쳐 시술하게 된다. 이것은 별도용기인 '본웰'로 옮겨담아야 했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시술작업이 현저히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는, 반구형 오목공간이 형성된 보울컵과 그에 대응하는 반구형 파쇄부를 구비한 파쇄뭉치를 구비하고 거기에 또한 파쇄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자가본이 균열에 이은 조각화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 골조직이 온전히 보존되고, 이에 따라 복원성형과 임플란트 구조체에 대한 골유착 및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 성공율을 극대화 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타격자를 마개형으로 형성하여 파쇄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취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타격소음을 저감시켜 환자에게 안정된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자가본 파쇄분을 별도의 용기로 옮겨담을 필요가 없어짐으로 시술작업이 현저히 간편해지고 자가본의 손실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인공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자가본 파쇄기구에 있어서,
    바닥면(11)이 반구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오목공간(13)이 구비된 보울컵(10)과;
    상기 보울컵(10)이 안착 지지되기 위한 홀(21)이 형성되는 베이스체(20)와;
    상기 보울컵(10)의 반구형 오목공간(13)에 대응하는 파쇄부(31)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소형 오목공간(33)이 형성된 파쇄뭉치(30)와;
    상기 파쇄뭉치(30)의 소형 오목공간(33)에 대응하는 돌출부(41)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1) 상부에는 플랜지형으로 된 헤드(43)가 형성된 타격자(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보울컵(10) 반구형 오목공간 바닥면(11)과 파쇄뭉치(30)의 파쇄부(31) 저면 중 어느 한 쪽에는 돌기(a)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C)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컵(10) 반구형 오목공간 바닥면(11)과 파쇄뭉치(30)의 파쇄부(31) 저면에는 돌기(a)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C)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컵(10)과 파쇄뭉치(30)에 각각 형성되는 파쇄요철부(C)의 돌기(a)는 상호 어긋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20)의 외주면 둘레에는 요입부(23)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요홈(25)을 형성하여 미끄럼방지를 위한 패킹(27)이 결속되며,
    상기 보울컵(10)의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부(1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뭉치(30)의 소형 오목공간(33) 바닥면과 타격자(40)의 돌출부(41) 저면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a)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파쇄요철부(C)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뭉치(30)는 상기 보울컵(10)의 상단과 결합되기 위한 단턱(35)이 상기 파쇄부(31)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턱(31)에 연하여 상부로 파지단(37)이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뭉치(30)의 소형 오목공간(33)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격자(40)의 돌출부(41)도 상기 파쇄뭉치(30)의 소형 오목공간(33)에 대응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타격자(40)는 헤드(43)가 수직길이(43h)는 짧고 평면적(43b)은 넓게 형성되어 상기 파쇄뭉치(30)의 상면에 덮여지는 마개형으로 되고, 헤드(43)의 외주연(43a)은 널링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요철부(C)에 형성되는 돌기(a)는 원뿔형 또는 다각뿔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KR20-2004-0023450U 2004-08-17 2004-08-17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KR200373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50U KR200373701Y1 (ko) 2004-08-17 2004-08-17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50U KR200373701Y1 (ko) 2004-08-17 2004-08-17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561A Division KR100665564B1 (ko) 2004-08-17 2004-08-17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701Y1 true KR200373701Y1 (ko) 2005-01-21

Family

ID=4944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450U KR200373701Y1 (ko) 2004-08-17 2004-08-17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7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189B1 (ko) 2006-01-04 2007-04-02 박순회 본 밀
KR101232251B1 (ko) 2011-03-03 2013-02-22 조선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의료용 뼈 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189B1 (ko) 2006-01-04 2007-04-02 박순회 본 밀
KR101232251B1 (ko) 2011-03-03 2013-02-22 조선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의료용 뼈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US8075564B2 (en) Piezotome for maxillary sinus operation
US4416629A (en) Osseointerfaced implanted artificial tooth
US8002548B2 (en) Method of maxillary sinus bone grafting for placement of implant
US6309219B1 (en) Periotome
MX2008012842A (es) Barreno para la colocacion satisfactoria de implante.
JP2009131634A (ja) インプラント施術用リーマー
KR100962166B1 (ko)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절개 확장기
KR20080046749A (ko) 치아 임플란트
MX2012008604A (es) Ensamblaje de plataforma dental y metodos.
KR20100017311A (ko) 보철 마운팅 장치 및 어셈블리
US880800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ntal implant installation
KR200373701Y1 (ko)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KR100665564B1 (ko) 치과용 자가본 파쇄기구
KR101192668B1 (ko) 상악동막 거상기
TW558435B (en) Bone chisel for oral implantation therapy
JP3287956B2 (ja) 人工歯根
RU186260U1 (ru)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TW201302165A (zh) 給用於種植體植入孔的初始孔內面邊緣賦予凹凸形態的骨整形器
US20190321142A1 (en) Dental implant
KR20110100016A (ko) 팁을 구비한 오스테오톰
KR10064962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CN217938435U (zh) 一种上颌窦内提升装置
KR101471803B1 (ko)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KR100936678B1 (ko)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